시흥시가 쌀 대책 작물로 연(蓮)을 새로운 소득작목으로 집중적으로 육성키로 하고 지난 2015년 20.8ha 규모인 재배면적을 대폭 늘리기로 했다고 10일 밝혔다.
쌀 생산량은 증가하는 데 소비는 줄어 농가의 소득 감소로 이어짐에 따라 벼 이외의 작물을 심는 농가에 인센티브를 제공, 쌀 생산을 줄이고 농가 소득도 창출하겠다는 취지에서다.
시는 이에 따라 우선 광석·금이·하중·하상 등 10개 법정동 일대 논 2천 필지 456ha에 연 재배를 희망하는 농가와 단체 등을 대상으로 이달 말까지 경작 신청을 받아 경영비를 지원해주기로 했다. 심사를 거쳐 선정된 농가에 대해선 연 재배에 필요한 인건비, 비료, 포장 상자 등 경영비의 50%를 지원해준다. 연 재배로 전환해 첫 농사를 지을 때 종근 구매비도 지급해주기로 했다.
시는 안정적인 재배기술 교육과 판로 확보 등을 위해 연 생산자 영농조합법인과 연계, 처음으로 연 재배에 나서는 농가를 도울 방침이다. 지역에선 지난 2015년 20.8ha에서 연 재배가 이뤄져 204.4t을 수확, 연간 6억7천만 원의 소득을 올렸다.
논에 연을 심으면 벼농사보다 약 2배의 소득을 올리고 수질도 개선하는 친환경 경관 농업이 되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한편,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2015년 우리나라 국민의 하루 평균 쌀 소비량은 172.4g으로 지난 2014년보다 3.3% 줄었다. 보통 밥 한 공기에 들어가는 쌀이 100∼120g인 점을 감안하면 하루에 공깃밥 2그릇도 먹지 않는 셈이다.
시흥=이성남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