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길 먼 시흥시 문화시설 ‘아트 독·창공’ 정상운영

시의회 예산안 싸고 불협화음
민간단체 위탁동의안도 보류

시흥시가 시민들의 생활문화ㆍ여가생활을 돕고자 운영하고 있는 월곶아트독과 창공 등의 운영이 시의회 일부 의원들 간 알력과 예산 편성에 따른 불만 등을 이유로 민간 위탁과 민간경상보조 등 지급방법을 놓고 오락가락하면서 정상 운영이 상당 기간 늦어질 전망이다. 

일부 시의원들이 지난해 예산안 심의과정에서 해당 상임위에서 삭감된 이들 시설 관련 예산 5억 원(민간위탁금)을 예결특위에서 다시 부활시킨 것은 상임위를 존중하지 않는 처사라며 시가 최근 시의회에 상정한 월곶아트독과 창공 등의 민간위탁동의안을 보류시켰기 때문이다.

 

대외적으로는 이들 기관의 민간위탁금 예산을 민간경상 보조금으로 다시 편성, 지급하라는 게 보류 이유였다. 시가 올해 이들 예산을 민간위탁금으로 편성한 데는 지난해 정부 보조금과 시비를 매칭, 민간경상보조금으로 지원했으나 시의회가 공모를 통해 민간위탁을 추진하라고 주문한 데 따른 것이다.

시는 이에 따라 올해 이들 시설에 대한 예산을 민간위탁금으로 편성하고, 1월 시의회에 민간위탁 동의안을 상정했지만 결국 보류됐다. 시의회가 민간경상보조금으로 예산을 편성해 지급하라며 애초 주문을 번복한 것이다.

 

운영 방법을 놓고도 견해차를 보이고 있다. 최근 이복희 의원은 “민간위탁금으로 지급할 경우 특정단체의 전유물이 될 수 있다”며 시가 직영하는 방법을 요구했지만, 지난해 홍지영 의원은 “시설물과 사업콘텐츠를 운영하기 때문에 공모를 통한 민간위탁으로 운영돼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이들 시설을 운영하려면 또다시 예산을 수정, 편성해야 하는 데 그 기간을 고려할 때 오는 3월 1차 추경을 거처 보조금을 지급하려면 하반기에나 가능할 전망이어서 시민들의 불만도 커지고 있다. 

지난해 목공공예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한 시민(41ㆍ정왕동)은 “취미삼아 배운 목공공예로 집안에 탁자, 의자 등을 만들어 놓기도 했다”면서 “많은 사람이 참여를 기다리고 있는데 시민을 대변해야 할 의원들 때문에 사업이 보류된 것은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지난해는 정부 보조금과 시비 매칭사업으로 부득이 보조금으로 운영했지만, 올해는 시설과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이들 사업에 대해 민간위탁으로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면서 “시의회가 운영방법을 결정하지 못하는 바람에 프로그램에 참여를 희망하는 시민들과 골탕을 먹고 있다”고 말했다.

시흥=이성남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