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시 ‘2030 도시계획’ 밑그림 완성

인구 65만5천명… 2도심·6지역에 4개 생활권 특성화사업

▲ 공간구조구상

오는 2030년까지 안양의 인구는 65만5천명이고 안양과 평촌 등 2도심에 석수, 박달, 명학, 비산, 인덕원, 호계 등 6지역 중심에 안양, 명학, 박달ㆍ석수, 비산ㆍ관양, 평촌ㆍ호계 등 4개의 생활권으로 조성될 전망이다.

 

안양시는 이 같은 내용의 ‘2030년 안양도시기본계획’을 최종적으로 확정하고 본격 추진에 나선다고 11일 밝혔다. 시가 성장형 도시에서 성숙형 도시로 전환됨에 따라 외연적 성장보다는 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방향으로 도시 정책을 수립할 방침이다.

 

특히 광명역세권과 인접해 있고 서안양 관문인 ‘박달’과 월곶~판교 및 인덕원~수원 등 광역교통망이 신설되는‘인덕원’을 지역 중심지로 신규 지정했다. 기반시설 및 각종 편의시설 등을 균형적으로 배치해 시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고 생활권별 특성화사업 발굴을 통한 지역활성화를 이끌어 낼 계획이다. 

안양교도소 일원 및 농림축산검역본부 이전지를 주거용지에서 상업용지로 변경해 부지 복합 개발을 통해 원도심 재생 및 일자리 창출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박달동 일원을 시가화 예정용지로 지정하고 기존 공업지역과 연계를 통해 토지이용 효율성을 높인다.

 

이밖에 ▲친환경 대중교통 중심의 교통망 계획 ▲생활권별 도시재생 계획 ▲신재생 에너지 확대 ▲온실가스 감축을 통한 쾌적한 도시환경 조성 ▲경관저해요소 개선 ▲ 안양천 등 중점경관관리구역 설정 ▲안양둘레길 등 녹지축 조성 ▲도시공원의 지속적 확충 등을 목표로 제시했다.

안양=양휘모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