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개동 중 13개 동만 추진… 타 지자체 비해 현저히 낮아
평촌·평안동은 기존 복지팀이 담당… 전문성 우려 목소리
안양시가 주민의 복지욕구에 대한 맞춤형 대응을 강화하고자 추진 중인 ‘洞 복지허브화사업’이 도내 타 지자체와 비교해 추진율이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일부 지역에선 해당 사업을 전담하는 부서도 신설하지 않고 진행되고 있어 전문성 결여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제기되고 있다.
22일 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해 보건복지부가 국책사업으로 선정한 읍ㆍ면ㆍ동 복지허브화정책에 선도적 대응을 위해 ‘洞 복지허브화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 사업을 통해 복지서비스의 최일선인 읍ㆍ면ㆍ동사무소 기능을 확대, 찾아가는 복지 상담을 통한 복지 사각지대 발굴, 민ㆍ관 협력을 통한 복지서비스 연계 등을 추진한다.
그러나 현재 31개 동 가운데 13개 동만이 해당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부터 추진 중인 안양2동과 박달1동, 관양1동, 호계1동 등을 포함해 지난달 9개 동이 추가로 사업을 진행하고 있지만 타 지자체에 비해 추진율이 현저히 떨어지고 있다.
실제 부천시는 36개 동 모두 이 사업을 추진하고 있고, 광명시(18개 동)와 의정부시(14개 동) 역시 100% 추진율을 보이고 있다. 화성시(24개 동)와 남양주시(16개 동) 등은 각각 19개 동과, 13개 동에서 해당 사업을 추진하는 등 80% 이상의 추진율을 보이고 있다.
더욱이 사업이 추진 중인 13개 동 가운데 평촌동과 평안동의 경우 이 사업을 전담하는 ‘맞춤형 복지팀’ 신설 없이 기존 복지팀이 해당 업무를 담당하고 있어 맞춤형 대응이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 사업을 이끄는 팀장들 역시 사회복지직 출신은 4명에 그쳐 맞춤형 복지에 대한 전문성 결여도 우려되고 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안양이 타 지자체에 비해 추진율이 낮은 건 알고 있지만, 현재 내실 있는 운영을 위해 노력 중”이라며 “내년에는 인력 충원을 통해 31개 동 전체에서 복지허브화사업을 추진, 복지 혜택을 받지 못하는 시민들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안양=양휘모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