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흥시가 효율적인 행정 서비스 제공을 위해 운영 중인 대야신천행정복지센터(일명 대동제)가 오히려 주민 이용 불편과 주민 간 거리감 유발, 시와 주민 간 유대관계 악화 등의 이유로 폐지해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2일 시와 주민들에 따르면 시는 2015년 5월 대야동과 신천동을 관할하는 대야신천행정복지센터를 개설했다. 대야동 ABC행복학습센터 내 들어선 대야신천행정복지센터는 마을자치과, 복지협력과, 안전생활과 등 3과 9팀, 39명으로 출발했다.
당초 대야동과 신천동의 모든 행정 업무를 대야신천행정복지센터로 통합해 운영할 계획이었지만, 신천동 주민들의 반발로 신천동주민센터는 그대로 유지한 채 대야동 업무만 담당하는 반쪽 대야신천행정복지센터로 전락했다.
이에 따라 신천동 주민들은 평소대로 주민센터를 이용해 편리한 반면 동사무소가 폐지된 대야동 주민들은 대야신천행정복지센터 방문 시 교통불편이 초래되는 불만이 쌓여갔다. 이에 시는 대야동 주민의 불편을 해소하고자 지난 1월부터 구 대야동사무소 자리에 민원실을 별도로 운영하고 있다.
이로 인해 공무원들은 부서 내 소속감이 결여되고, 민원인들은 허가 등 민원업무와 복지 등 주민센터 업무의 이원화로 혼란만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일반 동사무소의 경우 행정ㆍ복지 등 지원업무만 하지만, 대야신천행정복지센터는 청소ㆍ환경ㆍ도로ㆍ건축분야를 담당하면서 단속업무도 병행해 주민과의 유대관계에 어려움을 겪는 등 유기적인 행정 추진이 어려운 형편이다. 또 중요 건축민원 등은 본청과의 협의로 민원처리가 지연되는 것도 민원의 대상이 되고 있다.
결국, 주민 반발을 이유로 신천동을 대동제에 포함시키지 못한 것이 대야신천행정복지센터의 실패 요인으로 지적되자 임병택 당선자 인수위원회도 대야신천행정복지센터의 부작용 실태를 당선자에 보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 관계자는 “각종 부작용과 장점 등의 공론화를 통해 폐지가 결정되면 시의회에 안건을 상정해 조례개정으로 대동제를 폐지해야 하지만, 그 이전에 행자부와의 정원조정 협의 등 절차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시흥=이성남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