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화 거모공공주택지구 대책위원장 “대대로 뿌리 내려온 터전, 헐값 보상 터무니 없어”

“적정한 보상 위해 LH와 일전 불사 토지주·주민들 적극적 참여 절실해”

▲ 시흥, 박근화 대책위원장1
“시흥 거모공공주택지구 내 건물과 토지는 대부분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재산이다. 수십 년간 그린벨트로 묶여 재산권 행사도 제대로 못한 지주들이 대부분인데 택지개발로 헐값 보상이라니 절대 안된다.”

 

시흥 거모공공주택지구 대책위원회 박근화 위원장은 적정한 보상을 위해 LH와 일전을 불사하겠다는 각오다.

 

박 위원장은 “개발지구 내 건물주나 토지주 등 이해 관계인을 한데 모아 한목소리를 내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현재 지주들의 연락처를 파악해 총회를 열고 동의서를 받는 등 본격적인 제반 준비절차에 나섰다”고 밝혔다.

 

그는 “적정한 보상이 이뤄지려면 연말쯤 이뤄질 LH의 지구지정을 연기하는 게 급선무”라고 강조했다. 이는 “연말에 지구지정이 이뤄지면 올해 결정된 공시지가 기준으로 보상을 받아 보상가가 낮아진다. 이에 따라 내년 초 공시지가 인상 후 지구지정이 가능하도록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절실하다”고 덧붙였다.

 

박 위원장은 “주택, 토지, 기타 건물의 보상가가 결정되고 이어 협의자 이주대책, 영업ㆍ축산ㆍ농가에 대한 생활대책 등 구체적인 보상협의에 대해 주민의 불만이 있을 경우 LH는 적극적인 협상에 응해야 하며, 적정보상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못박았다.

 

박 위원장은 지난 23일 부위원장, 사무국장, 대의원 등 보상 관련 대책위원회의 구성을 완료하고 세무, 법무, 보상 관련 업체 등 자문단 상견례도 가졌다. 현재 200여 명의 원주민을 확보한 거모대책위원회는 추가로 타지역에 거주하는 토지주의 주소록을 확보해 전체 토지 1천200필지 중 3분의 2 이상 회원을 확보할 계획이다.

 

박 위원장은 “대대로 뿌리내리고 살아온 터전을 잃고 떠날 것을 생각하니 앞이 캄캄하다”며 “아쉽지만 LH의 택지개발에 협조하는 대신 주민이 적정한 보상을 받고 이주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LH는 시흥시 거모동ㆍ군자동 일대 그린벨트 1천522천㎡에 신혼부부 및 청년 등 젊은 계층 2만 6천833명(1만 1천140세대)을 수용하는 공공임대주택을 건설할 계획이다.

시흥=이성남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