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만 대도시 가운데 안양에만 없는 차량등록사업소, 대책마련 시급

안양시가 경기도내 인구 50만 이상 지자체 가운데 유일하게 별도의 차량등록사업소 없이 차량민원업무를 처리하고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1일 시에 따르면 시는 청사 1층에 위치한 민원실 내에 차량 신규 및 변경ㆍ말소 및 이전 등록, 압류, 저당, 번호판 영치 등 하루 평균 2천여 건의 차량 관련 민원 업무를 처리하기 위해 8개 전용창구를 운영 중이다.

 

시의 경우 현재 21만1천743대(6월 기준)의 자동차와 1만4천234대의 이륜자동차, 1천410대의 건설기계가 등록됐음에도 차량등록사업소 마련에 대한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인구 50만 이상의 도내 시ㆍ군의 경우 통상적으로 차량등록 대수가 15만대 이상 초과 시 별도의 차량등록사업소를 설치ㆍ운영하고 있다. 수원과 성남, 용인, 화성 등 50만 이상 대도시 지자체 9곳을 포함한 대다수의 지자체들이 효율적인 차량업무 처리를 위해 별도의 차량등록사업소를 설치해 관련 업무를 처리한다.

 

더욱이 지난 2007년 2월 안양시 민원실이 여권업무대행기관으로 지정됨에 따라 안양시민뿐만 아니라 의왕과 과천, 군포 등 인근 주민들이 여권 신청 및 발급을 위해 하루 평균 500여 명이 몰리고 있는 상황이다.

 

상황이 이렇자 일각에서는 민원실 인근 주차장과 민원실 옆 테니스장 등 일부 시설을 차량등록사업소로 교체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평소 청사 내 주차공간 부족으로 주차난을 겪고 있는 상황을 고려하면 주차 면적을 줄일 수도 없는데다 지난 1999년 10월 안양시테니스 협회에 위탁해 운영 중인 해당 테니스장(4개 면, 2천902㎡) 역시 하루 평균 40~50여 명의 회원들이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민원인 H씨(54ㆍ여)는 “여타 시ㆍ군과 다르게 청사 내에서 차량등록 업무가 진행되고 있어 민원실이 연일 북적거리고 있다”며 “차량 처리 업무만을 위한 별도의 공간 마련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한때 별도의 차량등록사업소 마련을 위한 부지 선정 논의가 있었던 것으로 알고 있지만 마땅한 부지와 예산 등 현실적인 문제가 있어 해결이 쉽지 않다”며 “인터넷을 이용한 신청도 많이 이뤄지고 있어 현재로써는 차량등록사업소와 관련된 논의는 진행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안양=양휘모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