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시의회, 일제수탈현장 ‘옛 서이면사무소’…문화재 지정 해지 촉구

안양시의회가 경기도 문화재자료로 등록된 ‘옛 서이면사무소’의 문화재 지정 해지를 재차 촉구하고 나섰다.

 

옛 서이면사무소가 일제 수탈 현장인데다 안양역 인근 최대 상가 밀집지역인 1번가에 위치해 지역 발전을 가로막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최우규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22일 열린 제243회 2차 본회의 시정질문에서 “일제의 잔재인 서이면사무소가 안양역 인근 최대 상가 밀집지역인 1번가에 자리 잡고 있어 지역 발전을 가로막고 있다. 최근에는 서이면사무소 퇴출운동본부까지 출범한 상황”이라며 “안양시가 경기도에 적극 건의해 문화재 지정 또는 이전 등 해결책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최 대표에 따르면 해당 부지는 1941년 10월까지 서이면사무소로 사용돼 오다 1949년 8월까지 안양면사무소로 사용됐다. 이어 안양의 읍 승격 이후에는 읍청사를 신축하면서 개인에게 매각돼 병원과 음식점 등으로 사용돼 왔다.

 

이후 도는 옛 서이면사무소가 지역에 남은 유일한 고건물로 가치가 있다며 지난 2001년 1월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00호로 등록했다. 시는 29억2천700여만 원을 들여 이를 매입, 복원작업을 거쳐 2003년 12월 일반에 공개했다.

 

최 대표는 “옛 서이면사무소의 해체 복원 과정에서 상량문에 ‘조선을 합하여 병풍을 삼았다. 새로 관청을 서이면에 지음에 마침 천장절을 만나 들보를 올린다’고 경술국치를 정당화하고 찬양하는 내용의 글이 적혀 있는 것이 발견됐다. 이는 일왕의 생일인 ‘천장절’에 맞춰 상량식을 했다는 것을 확인시켜 주는 것”이라면서 “초대 면장이 조선총독부로부터 두 차례 훈장을 받은 사실도 드러나는 등 친일 잔재 복원이라는 논란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서이면사무소가 안양역 인근 최대 상가 밀집지역인 1번가에 자리 잡고 있어 ‘문화재보호구역지정’ 등 지역 발전을 가로막고 있다”며 “경기도에 강력 건의해 해지가 되든지 이전시키든지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대호 안양시장은 “서이면사무소가 어떻게 문화재자료로 지정됐는지 의아하다. 지정 이후 관리도 잘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라며 “많은 시민들이 문화재 지정 해지 및 이전을 원하고 있는 만큼 시 차원에서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서이면사무소에는 항일운동, 수탈 관련 자료, 행정 소품 등 200여 점이 전시돼 있다.

 

안양=한상근ㆍ박준상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