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의회 반대로 사업비 확보 ‘난항’
道특조금지원도 불발돼 사업 표류
안양시가 16억 원의 예산을 들여 육군 수도군단 내부에 ‘민간개방형 생활체육시설’을 조성하려던 계획이 무산될 위기에 처했다.
안양시의회가 해당 사업 추진에 부정적인 입장을 고수하면서 사업비 확보가 벽에 부딪힌데다 최근 시가 경기도에 신청한 특별조정교부금 요청까지 반려되면서 사업이 표류하고 있다.
8일 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 1월 육군수도군단 내 생활체육시설을 조성하기로 하고 수도군단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으로 시는 사업비 16억 원을 투입해 수도군단 내 운동장에 축구장(1면), 족구장(2면), 풋살장(2면), 육상트랙(4레인) 등 체육시설을 조성하기로 했다.
수도군단은 체육시설이 조성되면 운동장을 시민에게 개방하되 군 부대 보안이 요구되는 만큼 낮 시간대에 한하며 군 작전 수행이나 긴급한 행사가 있을 경우는 제한하기로 했다.
이런 가운데 시의회가 해당 사업 추진에 부정적인 입장을 고수하면서 사업비 확보가 난항을 겪고 있다.
더욱이 시가 차선책으로 선택한 경기도 특조금 지원 요청은 지급기준상 ‘군부대 내부시설’의 경우 지원대상에서 제외돼 최근 불발된 것으로 확인, 사업이 표류하고 있는 상황이다.
A시의원은 “인근 비산체육공원도 평일에는 이용객이 없어 텅텅 비어 있다. 군 부대 내 체육시설을 이용할 시민이 얼마나 될지 의문”이라며 “군 부대 특성상 사용절차도 번거로울 수밖에 없어 시민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조건을 전혀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B시의원은 “적지 않은 혈세가 투입되는 만큼 시민이 중심이 되는 정책이어야 하는데 현재 구조로는 납득하기 어렵다”면서 “사용방법 등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부정적 의견이 팽배해 향후 사업비 확보 역시 녹록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경기도에 특별조정교부금을 신청했으나 지급기준에 해당하지 않아 반려됐다”며 “시의회의 반발이 거센 상황인 만큼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다.
안양=한상근ㆍ박준상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