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칼럼] 활동 많은 계절, ‘반월상연골판 손상’ 주의를

반월상연골판 손상은 일상생활과 부상으로 많이 발생한다.

우리의 무릎은 뻐근한 통증, 무릎이 구부려지거나 펴지지 않는 증상, 걷다가 힘이 빠지는 증상, 무릎에서 나는 소리, 무릎의 붓기 등 다양한 증상으로 반월상연골판 손상을 알린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2018년 월별 환자 수 추이를 살펴보면 활동이 늘어나는 3월부터 환자 수가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해서 휴가 시즌인 8월까지 유지됐다.

반월상연골판 손상은 40대 이상은 퇴행성 변화가 원인이다. 10대부터 30대까지는 외부적 요인이 많다. 젊은 층은 운동 중에 무릎이 뒤틀린다거나, 교통사고, 낙상 등에 의해서 발생한다.

40대 이상부터는 쪼그려 앉거나 제자리에서 일어나는 등의 작은 압력에 의해서도 다칠 수 있다.

반월상연골의 손상은 맥머레이 검사와 애플리 압박검사로 자가진단할 수 있다. 맥머레이 검사는 똑바로 누운 상태에서 무릎을 내측 또는 외측으로 돌리면서 구부리고 펴보며 통증을 체크한다.

애플리 압박검사는 엎드려 누운 다음, 무릎을 90도로 구부린 상태에서 발뒤꿈치를 아래로 누르면서 다리를 내·외로 회전 시켜주면서 통증을 검사한다. 이 검사들을 통해 통증이 있다면 반월상연골판 손상을 의심할 수 있다.

치료 방법으로는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가 있다. 보존적 치료로는 1~2주간 무릎에 깁스하고 진통소염제를 복용해 통증과 부종을 감소시키고 증상이 호전되면 5~10분 정도의 걷기 운동을 한다. 걷기를 해도 통증이 가볍다면 무릎을 피고 구부리는 동작을 해주는 기구인 CPM 등을 이용을 이용해서 근력강화 운동, 체외충격파 치료, 프롤로주사 등으로 치료해 증상을 더욱 호전시킬 수 있다.

반월상연골판 손상에 연골손상이 동반되는 경우에는 줄기세포 치료가 가능하다. 평소 무릎이 불편하다면 쪼그려 앉기, 계단 오르내리기 등을 가급적 피하고 아스팔트와 같은 딱딱한 길을 걷는 것도 자제하는 것이 좋다.

권오룡 연세스타병원 병원장(정형외과 전문의)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