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초점 : 쌍용차 근로자로 산다는 것]"악몽 되풀이 안돼, 정상화 안간힘"

쌍용자동차 근로자들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는 가운데 평택 지역사회는 지난 2009년의 악몽을 피하기 위해 쌍용차 조기 정상화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평택시를 비롯해 정치권, 시민단체 등까지 나서며 쌍용차 정상화에 힘을 보태는 모양새다.

29일 평택시와 평택지역 시민단체 등에 따르면 평택 지역사회 대표와 노사가 함께 참여하는 노ㆍ사ㆍ민ㆍ정 특별 협의체는 쌍용차의 조속한 경영 정상화 및 지역사회 안정을 위한 ‘쌍용차 정상화 지원 범시민운동’을 전개키로 했다.

지역의 시민단체들도 쌍용차의 경영 정상화를 위해 힘을 더하면서 평택상공회의소와 평택시발전협의회 등 30개 시민단체가 참여했다. 특히 평택시는 쌍용차 협력업체를 지원하고자 사업비 210억원을 확보, 저금리로 대출받을 수 있게 했다.

정치권에서도 회생절차가 조기에 마무리될 수 있도록 정부와 산업은행 등에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쌍용차 노사 역시 현재 임금 반납과 복지후생 중단, 비핵심자산 매각 등 자구노력과 고강도 경영쇄신을 통해 부족한 재원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노력 중이다.

지역사회의 이 같은 노력은 지난 2009년 쌍용차 사태가 되풀이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또다시 쌍용차 근로자들을 구조조정 위기에 내몰리게 해서는 안 된다는 분위기가 지역사회 전반에 형성되고 있는 것이다.

2009년 당시 쌍용차 노조원들은 사측이 전체 임직원의 36%인 2천600여명을 정리해고 하기로 하자 강력하게 반발, 공장 문을 걸어 닫고 ‘옥쇄파업’을 벌였다. 77일간 이어진 파업 과정에서 64명이 구속됐고 1천700여명이 명예퇴직 등으로 회사를 떠나야만 했다.

조합원 970여명은 옥쇄 파업을 벌이며 끝까지 버텼지만 무급휴직(454명)이나 명예퇴직을 택해야 했고, 165명은 끝까지 선택하지 않아 결국 해고자 신세가 됐다.

지난 2010년 인도의 마힌드라가 쌍용차를 인수하면서 경영 정상화에 착수한 쌍용차는 2013년 무급휴직자 454명을 복직시키고 이후 해고자 및 희망 퇴직자 304명을 복직시켰다.

이와 관련, 단순한 인력감축 방식의 한계를 지적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평택대 국제물류대학 박기철 교수는 “구조조정은 진정한 해결 방식이 아니다. 효율성과 생산성을 동시에 높일 수 있는 방안과 신차 개발을 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드는 것이 시급하다”며 “정부, 지자체, 기업이 함께 머리를 맞대고 융합적인 사고로 해결책을 적극적으로 찾아야 한다”고 밝혔다.

이날 평택지역 경기도의원들이 참여한 기자회견에서 더불어민주당 소속 양경석 의원(평택1)은 “쌍용차 근로자와 협력업체 직원들의 삶을 단순히 경제적 채산성에 따라 사지로 몰아넣는 것은 무책임하고 부도덕한 행동”이라며 “회사가 해결하지 못한다면 지역사회와 국가가 나서서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평택=최해영ㆍ정정화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