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와 인천 지역 기초 지방자치단체장 41명이 신고한 아파트 가격이 실제 재산보다 46% 축소 신고됐다는 시민단체의 주장이 제기됐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이 3일 발표한 ‘경기ㆍ인천 41개 단체장 부동산 재산 분석 결과’에 따르면 본인과 가족이 아파트를 보유한 지자체장 25명의 신고 재산은 109억원으로 1인당 평균 4억4천만원이었다.
그러나 올해 3월 기준 시세로 계산하면 아파트 시세는 신고액보다 92억원 더 비싼 201억원으로 집계됐다. 1인당 평균 아파트 시세는 신고액의 약 2배인 8억원이었다. 경실련은 공직자 재산공개 관보와 KB국민은행 등 부동산 시세정보 등을 참고해 아파트 신고 재산과 시세 차이를 비교했다고 설명했다.
신고액과 시세 차이가 가장 큰 지자체장은 서철모 화성시장으로 신고가액이 시세보다 14억원 낮았다. 서철모 시장은 10억6천700만원을 신고했으나 시세는 24억8천800만원이었다. 다만 경실련은 서철모 시장의 재산이 공개된 3월 5채를 매각했다고 밝혔지만 신고 당시에는 6채를 보유하고 있어 시세와의 차액이 컸다고 밝혔다.
이어 신동헌 광주시장은 차액이 9억5천만원, 홍인성 인천 중구청장은 8억1천만원, 조광한 남양주시장은 7억7천만원, 이재준 고양시장은 4억6천만원 순으로 신고액과 시세 차이가 큰 것으로 조사됐다.
보유한 아파트 시세가 가장 많이 오른 지자체장은 신동헌 광주시장으로 과천시 별양동 아파트가 4년 동안 9억3천만원(100%) 상승했다. 서철모 화성시장은 서울시 노원구 주공아파트가 5억8천만원(126%) 올랐고, 홍인성 인천 중구청장이 보유한 서울시 양천구 목동아파트는 5억원(56%)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홍완식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