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 박달스마트밸리 도마위…최대호 시장 “반드시 완수해야”

6일 열린 제269회 안양시의회 임시회에서 음경택 의원이 박달스마트밸리 조성사업 관련 시정질문을 하고 있다. 노성우기자
6일 열린 제269회 안양시의회 임시회에서 음경택 의원이 박달스마트밸리 조성사업 관련 시정질문을 하고 있다. 노성우기자

안양 최대 현안사업인 박달스마트밸리(박스밸) 조성사업의 불확실성이 도마 위에 올랐다.

최대호 시장은 6일 열린 제269회 시의회 임시회에서 음경택 의원과의 시정질문 도중 박스밸 조성사업 전망을 묻는 질문에 “최근 난항에 부딪혔다”며 이처럼 대답했다.

최 시장은 “국방부와 협의가 잘 진행돼 합의각서안이 기재부까지 올라간 상태”라면서도 “개발제한구역(GB) 해제결정권은 국토부와 중앙도시계획심의위 몫이다. (GB 해제가) 쉽지 않지만 이 사업을 성공시켜야 한다는 일념에는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박스밸 조성사업은 낙후된 박달동 국방부 탄약대대 일원 328만㎡ 군용지 중 114만㎡에 탄약시설을 지하화ㆍ이전하고 나머지 양여부지를 확보해 4차산업 중심의 첨단산업과 주거ㆍ문화가 융합된 복합스마트단지를 조성하겠다는 구상이다.

총사업비만 1조8천억원대인 초대형 프로젝트다.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운영 5개년 계획에 포함됐으며 이재명 경기지사와 최대호 시장의 공약사업으로도 주목을 받았다.

현재 시는 연내 국방부와 합의각서안 체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후 2022~2025년 기본 및 실시설계, 탄약시설 이전을 추진하고 2027년 박스밸 부지조성과 토지공급을 완료할 계획이다.

시는 가장 큰 걸림돌로 박스밸 예정부지 78%인 GB 해제를 꼽고 있다.

게다가 전체면적 213만㎡ 중 가용면적이 80만㎡(37.6%)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됐다.

시는 GB 해제를 위해 경기도와 국토부 등과 협의하고 있지만 행정절차가 장기간이고 시가 원하는 충분한 가용지 확보가 어려운 실정이다.

GB 해체는 물론 가용지 확보가 안될 경우 사업 성패를 가늠키 어려운 셈이다.

이런 가운데, 음 의원은 “현 시점에서 민간사업자를 선정하는 게 적절치 않다”고 꼬집었다.

현재 안양도시공사의 박스밸 민간사업자 공모에는 대형건설사를 비롯한 105개사가 참여의향서를 제출한 상태다.

음 의원은 “전체 사업비 약 2조원, 탄약시설 기부체납비만 1조1천100억원이다. LH와 GH 등 공기업 수지분석 결과, 사업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한다. 민간사업자를 조기에 잘못 선정하면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음 의원은 또 시 담당부서 관계자의 발언을 인용, “(시가 사업을 서두르는 이유에 대해) 관계공무원으로부터 내년 정권이 바뀌면 사업이 무산될 수 있다는 말을 들었다”며 “이 사업은 대통령이 바뀌어도 정권이 바뀌어도 계속 추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최 시장은 “이 사업은 현 정부 국정 5개년 사업이자 경기도지사, 안양시장 등의 공약이다. 공약이란 시민과의 약속을 지키기 위함”이라고 일각의 우려를 불식시키려 노력했다.

이어 “이 사업에서 공기업이 발을 빼겠다는 것은 책임회피다. LH와 GH 등에 항의했다”며 “민간사업자 공모는 기재부 요청사항으로 중단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안양=한상근ㆍ노성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