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시, 대장동 개발 용적률 상향 승인에 '성남의뜰' 1천억 이득

성남시 분당구 대장동 개발 의혹과 관련해 애초 계획보다 용적률이 높아져 ‘성남의뜰’이 혜택을 본 것으로 나타났다.

2일 성남시에 따르면 지난 2016년 11월 고시된 ‘판교대장 도시개발사업 변경계획인가’에 따르면 대장동 12개 아파트단지의 용적률은 185∼195%로 전체 가구 수는 5천268가구다.

하지만 지난 2015년 3월 이 사업지구의 민간사업자 선정 당시 공모지침서 등에는 13개 아파트단지 용적률을 모두 180%로 명시했고, 전체 가구 수는 5천89가구였다.

전체 아파트단지 면적은 37만4천498㎡에서 37만4천344㎡로 별 차이가 없으나, 5∼15%의 용적률 상향으로 전체 건축 가구 수가 179가구 늘었다.

이로 인해 성남의뜰에 참여해 사업을 주도한 자산관리회사 ‘화천대유’가 186가구의 아파트를 더 지어 분양했으며, 이를 통해 1천억원이 넘는 매출을 추가로 올렸을 것으로 추산된다.

사실상 ‘성남의뜰’이 아파트를 더 짓겠다며 신청한 용적률 상향 조정을 성남시가 인가하면서 추가로 이익을 얻은 셈이 됐다.

특히 성남의뜰에 자산관리회사로 참여한 화천대유는 4개 아파트단지(A1, A2, A11, A12블록)를 직접 시행했는데, 이들 단지는 용적률이 180%에서 195%로 15%포인트씩 높아지면서 전체 가구 수는 1천778가구에서 1천964가구로 186가구 증가했다.

이들 아파트는 84㎡형으로 분양가는 7∼8억원에 달해 화천대유는 1천300억원의 분양 매출을 추가로 올린 것으로 추산된다.

반면 2개 국민임대 아파트단지의 경우 분양가구가 1천532가구에서 1천421가구로 오히려 111가구 줄어들어 공영개발의 취지가 퇴색됐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용적률 상향을 인가해준 정확한 이유는 아직 파악되지 않고 있다”며 “당시 직원들을 대상으로 확인하고 있는데 일부는 퇴직했다”고 말했다. 성남=진명갑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