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야 '1808년 5월 3일'
전쟁의 야만성과 잔학성을 드러내는 작품 중 많은 예술가의 작품 활동에 영감을 주었으며. 미술사뿐 아니라 세계 각국의 교과서에도 빠짐없이 소개되는 작품이 바로 스페인의 화가 프란시스코 고야의 대표작 중 하나인 <1808년 5월 3일>이다.
<1808년 5월 3일>은 프랑스군이 스페인에서 자행한 민간인 저항군을 처형하는 사건을 그린 작품이다. 1808년 마드리드를 점령한 나폴레옹이 강제로 자신의 형인 조세프를 스페인의 왕위에 앉힌다. 이에 분노한 마드리드의 시민들이 1808년 5월 2일 프랑스에 항거하였고 이에 대한 보복으로 프랑스 점령군이 5월 3일 밤에 수많은 민간인을 학살하였다. 고야는 사건 6년 뒤인 1814년에 스페인 국민이 겪은 고통과 상처를 기억하고 전제군주에 대항한 그들의 모습을 기리기 위해 <1808년 5월 3일>을 완성했다.
<1808년 5월 3일>의 왼쪽부터 보면 이미 처형되어 비참하게 쓰러진 사람들의 몸과 바닥에 흘러내리는 피를 진홍색으로 강렬하게 표현하고 있다. 그 옆으로 수도승이 기도하듯 양손을 모으고 있고, 처형을 기다리는 분노로 양 주먹을 쥔 채 눈을 부릅뜬 남자와 그 뒤의 남자는 처형자들을 노려보고 있다.
작품의 중심인물인 가운데 흰옷을 입은 남자는 무릎을 꿇고 저항하듯 팔을 높이 들고 있다. 그의 옷에 빛이 밝게 흐르고 있다는 인상을 주며 주변의 어둠과 대비되어 그를 부각하며 이런 모습이 십자가에 못 박힌 그리스도를 연상시킨다. 그 옆으로는 끔찍한 광경에 두 손으로 얼굴을 가리거나 체념하고 고개 숙인 인물들이 있으며, 그 뒤로 총살 집행 장소로 내몰려 떠는 사람들이 중앙의 등불을 통해 극적이고 처절하게 묘사되고 있다. 우측에는 얼굴을 볼 수 없는 프랑스 군인들이 일렬로 정렬해 총을 겨누고 있는데, 고야는 병사들을 일괄 집단으로 그려 기계적이고 비인간적인 분위기를 조성했다.
<1808년 5월 3일>은 가운데의 인물을 중심으로 감정이 잘 드러나는 희생자들을 좌측에 감정 없이 뒷모습만 보이는 가해자들을 우측에 배치하여 작품 전체를 양분시키고 있다. 고야의 이러한 구성은 새로운 도상학적 전통이 되었고 우리에게 친숙한 피카소의 <한국에서의 학살>에도 차용된다.
현재 우크라이나 전 국민이 러시아의 침공에 맞서 자유와 주권을 지키고자 싸우고 있다. 이러한 그들에 모습에 전 세계가 감동하여 응원하고 지원하고 있고 미국은 우크라이나가 승리할 것이라는 전망까지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항전으로 전쟁이 장기화 국면에 접어들다 보니 어린아이들까지 목숨을 잃고 있다. 우크라이나 국민은 물론 전쟁인지 모르고 참가하여 괴로워하는 젊은 러시아 병사들까지 모두가 평화로운 일상으로 돌아가기를 바란다.
최문영 문화칼럼니스트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