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강화 볼음도, 80t 육박 해양 쓰레기 가득 [현장, 그곳&]

인천시민‧대학생 150명, 4t 규모 대형 백 20개 치워

image
지난 26일 인천 강화군 서도면 불음도의 영뜰해변에서 인천시민과 대학생들이 해양쓰레기 수거를 하고 있다. 이민우기자

 

지난 26일 오전 11시 인천 강화군 서도면 불음도의 영뜰해변. 2㎞의 긴 해변에는 각종 스티로폼을 비롯해 페트병 등 각종 해양 쓰레기로 가득하다. 주민들이 수시로 해안가의 쓰레기를 주워 모래사장 윗편에 모아둔 쓰레기 더미가 무려 40여개에 이른다. 이 쓰레기 더미에선 성인 남성 키만한 대형 스티로폼 부표를 비롯해 바다에서 떠내려오며 잘게 부서진 조각들, 그리고 엉켜있는 밧줄까지 가득하다. 여기에 각종 포장용으로 쓰이는 스티로폼 상자와 중국에서 온 것으로 보이는 음료 페트병은 물론 크고 작은 생수 페트병과 과자 봉지, 컵라면 용기 등도 잔뜩 쌓여 있다.

 

이 곳에서 만난 주민 A씨는 “주민들이 수시로 해변에 있는 쓰레기를 주워 윗쪽에 모아둔다”며 “하지만 대부분 고령자다보니, 이 모인 쓰레기를 치울 마땅한 방법이 없어 이렇게 쌓아 둔다”고 말했다. 이어 “비가 많이 오거나 대조기 등 바닷물이 많이 찰 때는 자칫 이 쓰레기가 또 바라쪽으로 쓸려내려가기도 한다”고 덧붙였다.

 

더욱이 해변 끝자락 사람이 오가기 어려운 바위절벽이 있는 곳은 이 같은 해양쓰레기가 아예 잔뜩 널부러져 있다. 크고 작은 스티로폼 부표부터 각종 플라스틱 생활쓰레기들이 파도에 밀려 바위 위까지 올라와 있다는데도 주민들의 손이 닿지 못해 치워지지 못하고 있다.

 

image
지난 26일 인천 강화군 서도면 불음도의 영뜰해변에서 인천시민과 대학생들이 해양쓰레기 수거를 하고 있다. 이민우기자

 

인천의 섬 지역의 해양 쓰레기가 각종 장비와 인력 등이 부족해 해안가에 쌓여만 가고 있다.

 

이날 인하대학교(경기·인천씨그랜트센터), 인천대학교, 볼음도생태계마을영농법인, 가톨릭환경연대, 강화도시민연대, 기후&생명정책연구원, 인천녹색연합, 인천환경운동연합·푸른두레생협 등은 공동으로 볼음도 해안에서 해양쓰레기 수거를 했다. 해양쓰레기 수거에는 시민과 대학생 150여명과 인천시 해양환경과 및 강화군 볼음출장소의 협조 등으로 함께 이뤄졌다.

 

볼음도는 주민들이 공공근로로 해양쓰레기를 수거하고 있다. 하지만 인력부족과 함께 노령화로 접근이 어려운 해안에 대해서는 사실상 수거가 이뤄지지 않고 계속 쌓이고 있다.

 

볼음도가 한강하구의 바다 쪽 끝에 위치하고 동서로 길쪽하게 하구를 막고 있는 형태다보니, 북쪽 해안에는 한강과 임진강, 예성강 등 강에서 떠내려온 하천유입 쓰레기들이 쌓인다. 남쪽 해안에는 스티로폼 부표 등 바다에서 떠밀려온 해양쓰레기가 집중적으로 쌓이고 있다.

 

이 때문에 그동안 많은 시민단체와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해양쓰레기수거활동을 벌이고 있지만, 집하장까지 운반문제와 최종처리까지 시간이 걸리다보니 다시 흩어지는 문제도 생기고 있다.

 

지난 26일 인천 강화군 서도면 불음도의 영뜰해변에서 인천시민과 대학생들이 해양쓰레기 수거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이민우기자
지난 26일 인천 강화군 서도면 불음도의 영뜰해변에서 인천시민과 대학생들이 해양쓰레기 수거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이민우기자

 

이날 시민과 대학생 등이 수거한 해양쓰레기는 4t 규모의 대형 백 20개 분량에 이른다. 이 해양쓰레기는 인천시와 강화군의 협조로 주민들의 트렉터를 이용해 해안에서부터 도로까지 옮긴 뒤, 다시 운반트럭에 옮겨싣어 당일 섬 밖으로 옮겨졌다.

 

박상영 인하대 학생은 “한강 하구 해양쓰레기의 심각성을 직접 확인하고 조금이라도 보탬이 될 수 있어 의미있는 시간이었다”며 “앞으로도 이 같은 해양쓰레기 문제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겠다”고 말했다.

 

장정구 기후&생명정책연구원 대표는 “볼음도는 한강 하구에 있다보니 하천유입쓰레기, 어업기인쓰레기 문제가 심각하다”며 “이번 캠페인을 계기로 행정기관에서 장비와 인력을 배치, 정기적으로 수거작업을 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인하대 경기·인천씨그랜트센터, 가톨릭환경연대, 강화도시민연대, 기후&생명정책연구원, 인천녹색연합, 인천환경운동연합 등은 지난 7월 업무협약을 통해 한강하구 부유쓰레기, 해안과 특정도서, 하천쓰레기에 대해 시민모니터링을 하고 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