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환경교육도시’에 군 단위로는 유일하게 선정
전국 최초 친환경농업특구인 양평군이 기후변화대응·탄소중립·친환경농업정책을 추진하며 국내 최고 수준의 환경교육을 병행해 환경교육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 같은 노력으로 양평군은 지난해 9월 군 단위 지자체로서는 유일하게 환경부 선정 ‘환경교육도시’에 선정되기도 했다.
4일 양평군에 따르면 군은 ‘사람과 자연 행복한 양평’이란 슬로건으로 ‘사람과 자연이 공존하는 지속 가능 도시’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군은 환경교육도시에 선정된 이후 환경의 패러다임 변화에 발빠르게 대응하기 위해 환경교육국을 신설했다.
오는 2035년까지 기후위기 적응사업, 온실가스 인지예산제 등을 도입하는 탄소중립 마스터플랜도 시동을 걸었다.
군은 오는 2027년 개소를 목표로 탄소중립지원센터 건립도 추진 중이다.
오는 6월까지 관련 조례를 개정해 센터의 운영 근거를 마련하고 내년 12월까지 관련 제반사항을 마무리해 오는 2027년 센터의 문을 열겠다는 계획이다.
1회용품 없는 도시 구축과 자원순환경제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한 ‘현장 체감형 자원순환교육’도 실시하고 있다.
군은 앞서 지난해 용문산 산나물축제, 밀 축제, 읍·면 행사 등에 다회용기 16만8천개를 지원해 연간 9.2t의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성과를 거뒀다.
이를 기반으로 올해는 32.8t의 탄소배출량 감축을 목표로 23개 축제에 60만개의 다회용기를 제공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공공기관 1회용품 제로화를 선언하고 군청 내 1회용 컵 사용을 전면 금지하고 다회용 컵 사용을 의무화했다.
군은 탄소중립을 위해 자전거레저특구와 환경생태프로젝트를 연계해 ‘두바퀴 in 양평’ 프로젝트를 추진하기로 했다.
친환경농업을 통해 건강한 먹거리를 생산하고 관련 환경정책도 펼치겠다는 방침이다.
전진선 군수는 “일상생활에 스며드는 대한민국 최고의 환경 교육을 추진하고 있다. 양평을 전국적인 환경 모범도시로 만들어 가고 있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