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구부터 ‘와르르’… 인천 강화 유물 ‘건평돈대’ 찬밥신세 [현장, 그곳&]

표지판 없고 성벽·포좌 등 곳곳 무너진 채 방치 처참… 정비 시급
문화재 역사·교육적 가치 무색... 군 “복원 설계용역 마무리 단계”

image
9일 오전 인천 강화군 건평돈대 전경. 돈대로 향하는 진입로부터 어수선하고 유서 깊은 돈대를 설명하는 표지판조차 찾아볼 수 없다. 조향래기자

 

“손 보면 문화재 탐방이나 역사 교육에 좋을텐데 왜 방치하며 역사를 잊어가는지 이해하기 힘들어요.”

 

9일 오전 11시께 인천 강화군 건평돈대. 조선시대에 서양식 화포 ‘불랑기포’를 배치했다는 기록과 고증을 거친 국내 유일의 돈대다. 하지만 역사적 가치에 비해 건평돈대는 입구부터 초라하기 그지없었다. 돈대로 향하는 진입로부터 어수선하고 유서 깊은 돈대를 설명하는 표지판조차 찾아볼 수 없었다.

 

해안 쪽 석벽은 비교적 양호하게 복원했지만 입구는 형체도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처참한 모습이었다. 입구 안팎의 석축 또한 여기 저기 무너져 내린 채 석재들이 어지러이 널브러져 있었다.

 

이곳에서 만난 최모씨(56)는 “오랜만에 고향을 찾았는데 예나 지금이나 초라한 돈대 모습은 여전하다”라며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는 데 하루 빨리 복원해 우리의 뿌리를 바로 알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인천 강화 건평돈대의 성벽과 포좌가 허물어진 채 오랜 기간 방치, 복원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이날 강화군 등에 따르면 지난 2017년 4월 인천시립박물관의 발굴조사를 통해 건평돈대에서 온전한 모습의 불랑기포가 발견됐다.

 

불랑기포는 16세기 유럽에서 들어온 서양식 화포다. 지금껏 남아있는 불랑기포는 모두 12문으로, 서울시 신청사 부지에서 출토된 불랑기포 1점 외에는 발굴된 장소를 알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건평돈대는 돈대에 불랑기포를 배치했다는 조선시대 기록을 실증한 유일한 사례다. 불랑기포는 포신에 명문이 남아 조선시대 무기사와 국방체계 연구에도 가치가 크다고 평가된다.

 

image
9일 오전 인천 강화군 건평돈대 전경. 돈대로 향하는 진입로부터 어수선하고 유서 깊은 돈대를 설명하는 표지판조차 찾아볼 수 없다. 조향래기자

 

이에 전문가들은 건평돈대를 복원, 문화재를 보전하고 역사 교육에도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인천지역 한 문화재 관계자는 “건평돈대 불랑기포는 실천 배치 장소에서 나왔다는 점에서 우리나라 병장기 역사에 중요한 의의를 지니고 있다”며 “허물어진 돈대를 정비 복원해서 불랑기포 모형이라도 설치한다면 문화재 탐방과 역사 교육에도 유용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이에 대해 강화군 관계자는 “그동안 부분 정비가 이뤄지긴 했지만, 붕괴된 부분의 본격적인 복원을 위한 설계용역이 마무리 단계에 와 있다”며 “조속한 복원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건평돈대는 외적의 침입을 탐지하고 상륙을 저지할 목적으로 강화도에 구축한 조선 후기의 대표적 군사 시설 중 하나로, 출토된 불랑기포는 현재 강화역사박물관에 보관·전시 중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