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초교 앞 화물차 ‘쌩쌩’... 스쿨존 안전 ‘빨간불’ [현장, 그곳&]

주변 200m ‘교육환경보호구역’ 무색
중·서구 등 일부 학교 인근 대형창고
도로변 불법주차도 즐비… 위험천만
市 “차량 감지센서 등 사고 예방 강구”

11일 오전 인천 서구 A초등학교. 통학로에 화물차가 불법주차되어 있다. 멀찍이 뒤에는 가구창고가 보인다. 박기웅기자
12일 오전 인천 서구 A초등학교. 통학로에 화물차가 불법주차되어 있다. 멀찍이 뒤에는 가구창고가 보인다. 박기웅기자

 

“화물차는 사각지대도 넓은데 어린 학생들을 못보고 사고가 날까 두렵네요.”

 

12일 오전 8시께 인천 서구 A초등학교 정문. 등교를 하기 위해 횡단보도를 건너는 학생들 옆으로 커다란 화물차가 아슬아슬 지나다녔다. 왕복 2차로 좁은 도로를 사이에 두고 학교 정문과 가구창고 정문이 마주보는 형식으로 위치, 화물차와 학생들 동선이 겹쳤다.

 

학생들은 이따금씩 울리는 화물차 경적소리에 놀라 어깨를 움츠리기도 했다. 함께 등굣길에 오른 학부모들 역시 놀라기는 마찬가지였다.

 

더욱이 이곳은 도로 한쪽에 화물차들이 불법 주차를 한 상태라 학생들은 물론, 운전자들의 시야도 가려 사고 우려도 커 보였다.

 

김아람씨(33)는 “가뜩이나 화물차가 많이 다녀 위험한데 불법주차한 트럭들 때문에 오가는 차들이 잘 보이지도 않는다”며 “너무 불안해 매번 아이와 함께 등하교 한다”고 불안해 했다.

 

11일 오후 인천 중구 B초등학교. 하교하는 학생 맞은 편에서 대형트럭이 다가오고 있다. 박기웅기자
12일 오후 인천 중구 B초등학교. 하교하는 학생 맞은 편에서 대형트럭이 다가오고 있다. 박기웅기자

 

같은 날 오후 2시께 중구 B초등학교도 사정은 마찬가지였다. 이곳 역시 왕복 4차로 도로를 사이에 두고 학교 정문과 보세창고 정문이 마주해 학생들과 대형 화물트럭들이 뒤섞이는 장면들이 종종 연출됐다.

 

지역 어르신들이 등하교 시간에 맞춰 스쿨존 보행지킴이 봉사활동을 벌이지만, 봉사자들도 걱정은 이만저만이 아니다.

 

김일웅씨(65)는 “학교 맞은 편에 창고가 있어 대형 트럭들이 자주 드나든다”며 “노인들이 등하교 시간에 맞춰 나와 봉사하지만 불안해서 한시도 눈을 뗄 수 없다”고 우려를 표했다.

 

11일 오후 인천 중구 B초등학교. 학교 바로 앞 보세창고에서 화물차가 나오고 있다. 박기웅기자
12일 오후 인천 중구 B초등학교. 학교 바로 앞 보세창고에서 화물차가 나오고 있다. 박기웅기자

 

인천지역 일부 초등학교 인근에서 대형 창고들이 영업, 어린이 통학 안전을 위협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교육환경법은 학교 주변 반경 200m를 교육환경보호구역으로 정해 이 안에서는 유흥업소, 폐기물처리시설 등 학생 교육과 안전을 위협할 수 있는 시설을 설치할 수 없도록 제한했을 뿐, 금지시설에 창고는 포함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화성, 남양주 등 일부 지자체는 일찍이 도시계획조례에 ‘창고시설 개발행위허가 기준’을 따로 만들어 창고를 학교로부터 200~300m 떨어뜨리도록 했다.

 

11일 오전 인천 서구 A초등학교. 학교 바로 앞 가구창고에서 화물차가 나오고 있다. 박기웅기자
12일 오전 인천 서구 A초등학교. 학교 바로 앞 가구창고에서 화물차가 나오고 있다. 박기웅기자

 

전문가들은 창고를 학교로부터 떨어뜨리거나, 불가피하다면 차량·도로시스템이라도 바꿔 학생들을 보호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장일준 가천대 도시계획학과 교수는 “창고 진출입로 등 화물차 경로는 통학로와 겹쳐서는 안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미 시설이 자리잡은 경우는 차량에 감지센서를 달아 어린이들을 보호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강구, 사고를 예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에 시 관계자는 “학교와 창고 이격 조례는 아직 논의하고 있지 않으나, 화물차 우회 등 다른 방법을 논의 중”이라며 “지역에 창고 등 공업시설이 많아 방법을 찾는 데 어려움이 크다. 당장은 스쿨존 보행지킴이 등으로 학생안전을 도모하겠다”고 밝혔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