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군 화도면사무소 직원들 불우이웃돕기

강화군 화도면사무소 직원들이 관내 불우이웃돕기에 앞장서 온 사실이 뒤늦게 밝혀져 가정의 달을 맞아 주위에 잔잔한 감동을 주고 있다. 이응식 면장(43)등 직원 17명은 지난 3·4월 잇딴 화재로 가옥전체가 불에 타 수백만원의 재산피해를 입고 실의에 빠진 한시적 생활보호대상자 백모씨(50)가정에 직원들이 십시일반으로 50여만원을 모금, 가전제품과 이불 등을 구입해 전달해 주었다. 이 면장등은 또 지난 2월10일께 화도면 운전기사 박종수씨의 딸 지연양(14·심도중 1학년)이 어렸을때부터 신장병을 앓고 있으나 가정형편이 어려워 수술할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다는 딱한 소식을 접하고 300여만원의 성금을 거둬 전해주기도 했다. 특히 지연양 수술비 마련 모금활동 소식이 전해지면서 강화군청을 비롯해 관내 기업체, 출향인사, 화도면 이장단 등도 즉각적인 모금운동을 전개해 모두 1천400여만원을 모아 박씨에게 전달하는 계기가 됐다. 화도면과 군청 등 각계의 도움으로 지난 4월초 신장 이식수술을 받았던 지연양은 13년간의 투병생활을 끝내고 지난 4월말께 퇴원, 통원치료를 받는등 병세가 호전됐다. 지연양(14)은 “도움을 주신 분들께 감사드리며 앞으로 건강을 회복하게 되면 반드시 이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사람이 되어 나보다 어려운 이웃을 도우며 살고 싶다”고 말했다. 이응식 면장은 “무엇보다도 지연양이 건강을 회복하게 돼 다행스럽다”며 “각계에서 베풀어주신 온정에 가족을 대신해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고종만 기자 kjm@kgib.co.kr

군포시청 세정과 수납팀 박연순 과장

공금관리에 대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자금관리 기법을 자체개발해 이자수입을 증대한 공무원이 있어 지방자치단체들로부터 관심을 모으고 있다. 군포시청 세정과 수납팀 박연순 과장(47)을 비롯한 나순실(여·32·전산7급)·신우선(여·28·세무8급)·양금모(33·세무9급)·박미정(여·30)씨가 그 주인공. 이들 팀원들은 시 전체 일반회계 세입관리 및 세외수입을 총괄해오면서 지난해 행자부에서 시행한 지역정보화 시책사업 제안평가에서 1억원의 특별교부세를 지원받아 전국 최초로 ‘현금 흐름관리 및 투자전략 전문가 시스템’을 독자 개발했다. 군포시 공금관리는 일반회계와 상수도사업 특별회계, 11개 기타 특별회계 및 9개 기금, 세입·세출외 현금 등으로 각각 구분 관리되고 있으며, 각 회계별로 별도 운용되는 자금에 있어서는 지출준비금으로 많은 현금을 보유하고 있다. 이에따라 이들 팀원들은 지출에 영향을 주지않는 범위내에서 현금보유액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 초단기 금융상품의 개발 등으로 이자수입증대를 위한 자금관리운용기법을 개발하게 됐다. 이같은 관리기법으로 시 전체 1일 평균 현금보유액이 지난해 1·4분기 102억3천500만원에서 올 같은기간에는 3억4천500만원으로 줄었으며, 정기예금(이자율 6%)을 98억7천만원으로 늘려 3개월동안 1억2천300만원의 이자수입을 증대시켰다. “이자수입을 증대하기 위해서는 공금관리 담당자의 전문성을 높여야 한다”는 박 과장은 “공금관리에서 누락된 일상 경비회계처리의 제도적 문제와 재정관리시스템의 보완 등을 통해 효율적인 자금운용을 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군포=설문섭기자 mssul@kgib.co.kr

교보생명 인사

<팀장> ▲상품개발 金容出 ▲보험금지급관리 鄭洙然 ▲주식운용관리 金泰成 ▲채권 〃 尹煐皓 ▲동서울지역본부 영업 金炫鎭 ▲〃 관리 金元國 ▲서서울 〃 영업 朴忠植 ▲〃 관리 黃圭奭 ▲남서울 〃 영업 朴炳洙 ▲〃 관리 申東鉉 ▲경인 〃 영업 邊癸源 ▲〃 관리 宋奎聖 ▲부산 〃 영업 李丁魯 ▲ 〃 관리 曺永圭 ▲중부 〃영업 金泰用 ▲〃 관리 柳瑩權 ▲대구 〃 영업 李賢雨 ▲〃 관리 林点燮 ▲호남 〃영업 李銀遠 ▲〃 관리 袁喜台 <지점장> ▲불광 權寧度 ▲양천 任正源 ▲인천 金基榮 ▲수원 金熙洪 ▲부평 趙連行 ▲도봉 朱贊根 ▲노원 任泰爀 ▲용산 金明訓 ▲일산 崔學洙 ▲제주 沈載德 ▲동작 呂寅哲 ▲마산 鄭炯烈 ▲서대전 朴性五 ▲청주 片正範 ▲서청주 朴貴正 ▲수성 金英雨 ▲안동 洪承吉 ▲전주 姜熙贊 ▲남동 全鍾大 ▲영등포 李柄佑 ▲동수원 魏垠彩 ▲익산 田昌權 ▲통영 李鎭哲 ▲대방 金尙鉉 ▲북전주 李在吉 ▲명동 金承煥 ▲강서 李浚植 ▲서대문 李成柱 ▲관악 金京石 ▲성남 嚴明鎔 ▲잠실 蔡碩塤 ▲평촌 李承沃 ▲제물포 金鍾旭 ▲부천 景垠昇 ▲금정 金濟咸 ▲진주 安英愛 ▲동부산 千重鎬 ▲송도 朴亨守 ▲대전 李祚淵 ▲평택 金文燮 ▲달서 李埈喆 ▲포항 李庚度 ▲남전주 張世光 ▲동광주 辛孝根 ▲북광주 梁成宇 ▲남광주 朴賢洙

고양여성민우회 시의원 의정활동 분석

고양여성민우회가 오는 가을 지난 2년간 시의원들의 의정활동 내용을 꼼꼼하게 분석한 보고서를 내놓을 예정이어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일부 의원중에는 자리에 앉아있는 시간이 5∼10분에 불과한 경우도 있습니다. 그래서 가을에 내놓을 방청 보고서에서는 실명을 사용할 예정입니다” 고양여성민우회 홍미숙 지역자치위원장(40)의 말이다. “2년전 처음 방청 할 때는 너무 실망스러웠어요. 그런데 지난해 말 도시건설위원회에서 노력하는 의원들의 모습을 보고 다행이라는 생각을 갖게 됐습니다” 홍위원장은 ‘의정활동을 잘하느냐’의 기준을 의원들이 정체성을 갖고 있는지 여부를 보고 판단한다. “일부 의원들은 도무지 출석도 않고 발언도 하지않아 있는지 없는지 모를 지경인데 나중에 알고보니 지역에서는 정말 열심히 활동한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그러나 지역민원도 중요하지만 ‘동(洞)의원’이 아니라 ‘시의원’이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는게 홍씨의 생각이다. 홍위원장을 비롯한 민우회 소속 지역자치위원들은 올바른 방청을 위해 예산학교에 참석하고 회계 전문가를 초빙해 공부를 한다. 오는 가을 정기회를 앞두고 공개될 보고서에는 출석상황, 시정질문 등 발언내용외에 의원들이 주민과 대화의 시간을 자주 가졌는지 여부도 게재된다. 주민들이 무엇을 원하는지 귀 기울이고, 자신이 무슨 활동을 했는지 뽑아준 유권자들에게 알려야 하는 것이 선량의 기본 이라는 생각 때문이다. /고양=한상봉기자 sbhan@kgib.co.kr

인천연수종합사회복지관 우경연 관장

10대에게 인기 있는 ‘힙합 댄스 동아리’등을 개설, 청소년들이 건전한 여가생활을 가질 수 있도록 해 준 사회복지관장이 있어 화제다. 인천연수종합사회복지관 우경연 관장(45)(한국복지재단 인천지부장 겸). 우관장은 최근 연수 2동 복지관 지하 강당 30여평에 청소년들을 위한 ‘힙합 댄스 동아리’를 열었다. 동아리 회원들은 공개된 장소에서 평소 하고 싶었던 자신들만의 ‘끼’를 마음껏 발산할 수 있는데다 의무적으로 노인·아동복지 시설에서 자원봉사를 하도록 규정돼 있어 정서함양에도 큰 도움이 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이에앞서 우 관장은 복지관 지하층에 연극동아리와 보컬동아리 방도 만들어 청소년들의 문화활동을 돕고 있다. 지난해 말 연수구청에서 발표회를 가진 연극과 보컬 동아리의 경우 기대 이상의 수준작을 내놓아 공연 요청이 들어 오기도 했다. 우 관장은 지난 82년 숭실대를 졸업한 뒤 곧바로 한국어린이재단에 입사해 수원·성남·광명 등에서 근무 했으며, 한국복지재단 경기지부장(93년) 경북지부장(96년)을 거쳐 98년부터 인천지부장과 연수사회복지관장을 겸하고 있다. “또다시 동인천 호프집 화재 사건 같은 일이 발생하지 않기 위해서는 이같은 공간을 더욱 늘여야 할 것”이라고 말하는 우관장은 ‘소년소녀가장’이란 용어를 국내에서 처음으로 사용한 장본인이기도 하다. /김신호기자 shkim@kg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