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단둥산업단지 활성화 전망

중국 단둥(丹東)시에 조성된 인천산업단지에 방송제어시스템 제조업체와 유아교육용품 제조업체, 목재가공업체 등이 입주하면서 국내 기업들의 북한 진출 전진기지로 거듭 날 전망이다. 인천시는 지난 98년 5월 사업비 53억여원을 들여 중국 단둥시 외곽지역 13만3천평에 인천산업단지를 조성, 부지임대료로 평당 5만1천810원에 50년동안의 임대조건에다 입주업체들에 대해 단지 주변 아파트형 공장을 설립하기 전까지 3년간 무료로 임대해주고 중기육성자금도 업체당 3억원씩 연리 5%에 5년 상환조건으로 융자해 주고 있다. 이같은 조건에도 불구, 국내 기업들의 입주현황은 지난 99년 1개 업체에 이어 지난달 6개 업체가 입주계약을 체결하는데 그치는 등 설립한 지 2년이 지나도록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었다. 시는 이같은 현실을 감안, 박상은 정무부시장과 임석봉 인천상의 부회장, 지역내 중소기업 대표 11명 등 17명으로 ’인천산업단지 시찰단’을 구성, 27일부터 다음달 3일까지 중국 단둥시와 톈진(天津)시 등을 방문, 방송 제어시스템 제조업체인 솔로먼전자와 유아교육용품 제조업체인 애듀베베, 목재가공업체인 성림목재와 영임임업 등 4개 업체들이 계약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라고 26일 밝혔다. 지난달 중순 중국을 방문한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신의주를 경제특구로 개발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신의주와 인접한 단둥시에 공장설립을 구상하는 기업인들의 입주문의가 계속되고 있어 이번을 계기로 단둥시 인천산업단지의 공장 입주가 계속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허행윤기자 heohy@kgib.co.kr

도시근로자가구 소득불균형 여전

외환위기 이후 급격히 심화된 도시근로자가구의 소득불균형 구조가 여전히 개선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경기침체로 도시근로자가구의 소비지출 증가율이 5분기째 떨어지고 하락폭도 커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통계청이 26일 발표한 ‘지난해 4·4분기 및 연간 도시근로자가구의 가계수지동향’에 따르면 수치가 ‘1’에 가까울수록 소득불균형 정도가 높음을 나타내는 지니계수는지난해 연간 0.317, 소득이 가장 많은 상위 20%의 소득을 하위 20%의 소득으로 나눠 계산하는 소득배율은 5.32를 각각 기록했다. 이같은 수치는 지난 99년의 0.320과 5.49에 비해 다소 낮아진 것이나 외환위기 이전인 97년의 0.283, 4.49에 비해서는 여전히 높은 것으로 소득불균형 구조가 개선되지 않고 있음을 보여줬다. 이와함께 작년 4·4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164만7천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4.7% 증가했다. 소비지출 증가율은 99년 3·4분기 17.9%를 기록한 이후 4·4분기 14.3%, 작년 1·4분기 12.7%, 2·4분기 11%, 3·4분기 10.4%에 이어 5분기째 하락했다. 한편, 지난해 연간 도시근로자가구의 월평균소득은 238만6천900원으로 전년에 비해 7.3% 증가했다. 월평균 가계지출은 188만8천200원, 소비지출은 161만4천800원으로 전년에 비해각각 9.1%와 9.6% 늘었다./연합

폭설피해 이어 광우병에 힘겨운 축산농가

“폭설로 축사가 무너졌으나 정책자금 지원은 요원하고 광우병 파동으로 한우가격이 폭락했는데 다시 구제역 여파로 당분간 가격 인상은 힘들 것으로 보여 걱정만 앞섭니다”. 용인시 백암면 근곡리 효정농장 이희석씨(47)는 지난 1월7일 폭설 피해로 무너진 축사를 볼수록 안타깝기만 하다. 100여두의 한우를 사육하는 이씨는 40여일전 내린 폭설로 120평규모의 축사 7동중 5동이 붕괴되는 피해를 입었으나 현재 1동만 철거하고 축사뼈대만 갖추었을뿐 나머지 4동은 철거조차 못하고 있다. 이는 그동안 광우병 파동 등으로 한우가격이 폭락해 출하를 못하고 있어 자금회전이 이뤄지지 않고 있는데다 정부에서 지원하기로 한 정책자금을 한푼도 지원받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철거비용 등이 필요한 이씨는 최근 지역축협에서 1천만원을 11%에 대출받아 축사설치 비용 등에 필요한 계약금만을 걸고 외상으로 축사설치 작업에 들어갈 수 있었다. 이씨는 “요즘 140만원을 주고 송아지를 사서 250만∼270만원에 출하해 봤자 사료비 등을 빼고 나면 남는 것이 없다”며“정부는 농가들이 하루빨리 폭설피해 등으로부터 벗어나도록 자금지원을 신속하게 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지역 백암 한우회 김상우회장(56)은 “회원중 10여농가가 폭설피해를 입었지만 정책자금을 지원받은 농가는 아직 한곳도 없다”며 “이때문에 돈이 당장 필요한 농가들이 고금리의 사채 등을 빌어 피해 복구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처럼 폭설과 광우병 파동으로 시름에 빠져 있던 백암 한우회를 비롯한 이 지역 축산농가들은 최근 영국, 몽골, 태국 등에서 발생한 구제역으로 긴장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은 지난해 파주에서 발생한 구제역 으로 인해 축산농가들이 피해를 입었던 점을 상기하면서 구제역이 발생하면 축산기반이 붕괴될 것으로 보고 자체 소독을 강화하고 예방대책을 세우는 등 분주하다. 김 회장은 “폭설과 혹한 등으로 인한 피해는 자연재해라 어쩔 수 없다 하더라도 구제역만큼은 전 축산농가가 한마음이 되어 막을 수 있다”며 자신감을 보였다. /정근호기자 ghjung@kgib.co.kr

8개 공기업 2천689억원규모 부당거래 적발

한국도로공사, 대한주택공사 등 8개 공기업이 2천689억원 규모의 부당내부거래 및 불공정거래를 한 혐의로 46억8천만원의 과징금을 부과받았다. 특히 도로공사와 주택공사는 공정거래법을 반복적으로 위반하고 위반 규모가 크다는 이유로 공기업 가운데 처음으로 검찰에 고발됐다. 공정거래위원회는 25일 8개 공기업에 대한 불공정 거래행위 조사결과(조사기간 작년 11월16일∼12월16일)를 발표하고 이들 기업에 법 위반 사실을 신문에 공표하도록 명령했다. 조사결과, 5개 공기업에서 2천642억1천만원의 부당내부거래가 적발됐으며 기업별 규모는 ▲주택공사 2천585억6천600만원 ▲도로공사 37억9천800만원 ▲한국토지공사 11억6천500만원 ▲한국수자원공사 4억5천900만원 ▲한국가스공사 2억2천200만원이다. 이들 공기업은 이를 통해 7개 자회사에 35억3천200만원을 순수하게 지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공기업의 독과점적인 지위를 이용, 거래업체에 각종 비용을 떠넘기는 등 불공정거래를 한 규모는 주택공사 17억6천만원, 가스공사 11억5천900만원, 농업기반공사 8억원, 도로공사 6억5천900만원이다. 또 지역난방공사 2억300만원, 토지공사 1억2천500만원, 한전KDN 4천200만원, 수자원공사 1천500만원 등 총 47억6천400만원이다. 공정위는 이에 따라 ▲도로공사 16억6천만원 ▲주택공사 15억4천만원 ▲토지공사 5억5천만원 ▲수자원공사 3억9천만원 ▲농업기반공사 3억1천만원 ▲지역난방공사 1억9천만원 ▲가스공사 4천만원의 과징금을 각각 부과했다./연합

경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