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지역 방문피해 급증

최근 농촌지역에서 방문판매로 인한 농업인 피해 사례가 급증함에 따라 농촌지역 주민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지금까지 나타난 피해유형은 농촌지역 마을회관이나 가건물에서 노인·부녀자를 대상으로 특정제품을 소개하며 특효가 있다는 과장광고로 인한 피해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게임·노래 등 여흥을 제공하고 사은품을 준다고 속여 키토산, 건강벨트 등을 강매하는 행위도 적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실제로 가평에 사는 박모(75) 할머니는 무료로 온천 관광을 따라갔다가 판매원들의 강압적 권유에 못이겨 96만원짜리 온열 치료기를 구입했다. 성남에 거주하는 서모씨(67)는 방문 판매원이 무료 사은 기간이라며 준 인삼 엑기스 세트를 받고 이름과 주소를 적어 주었더니 3주후에 인삼 엑기스 대금 25만원을 내라는 청구서를 받아 피해를 입었다. 이에 경기농협은 지역본부와 시·군지부, 지역조합에 상시감시단을 구성하고 전화나 인터넷 등으로 피해사례를 접수, 구제에 나서기로 했다. 또한 피해사례와 구제에 관한 내용이 담긴 안내문을 농업인에게 배포하는 등 홍보활동도 펼치기로 했다. 경기농협 기획관리팀 권혁진 과장은 “방문판매로 인한 피해를 구제받을 수 있는데다 제대로 알지 못해 피해를 보는 경우가 적지 않다”며 “감시활동은 물론 한국소비자보호원과 함께 피해구제에 적극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근호기자 ghjung@kgib.co.kr

인천상의 전자상거래 활성화 지원센터 운영

인천상공회의소가 전자상거래에 필요한 전문인력 양성 등 전자상거래 활성화 기반 조성을 위한 지원센터를 운영한다. 인천상의는 지난해 8월 산업자원부로부터 전자상거래지원센터 지원기관으로 지정됨에 따라 다음달 중 개소식을 갖고 본격적인 센터운영에 들어간다고 26일 밝혔다. 인천시 지원금 3억원과 산자부지원금 4천만원 등 총 4억6천만원이 투입될 전자상거래 지원센터는 전자상거래에 필요한 전문인력 양성과 기술지원 및 지도, 기술제공 등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지원센터는 전자상거래에 필요한 기본적인 컴퓨터 네트워크 및 표준화 기술 교육 실시를 통해 지역 기업체간 비지니스(B2B) 활성화를 꾀할 방침이다. 또 기업경영 및 관리기법에 대한 기술지원 컨설팅 내용을 중심으로 인천지역 기업체 대표들을 상대로 연중 교육을 실시, 전자상거래에 대한 필요성을 부각시켜 나갈 예정이다. 이밖에도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위해 수시로 관련 세미나를 개최하는 한편 지역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차원의 산·학·연·관 통합 데이터베이스도 구축한다. 상공회의소 관계자는 “인천지역 기업체들은 앞으로 4∼5년안에 일반화될 전망인 전자상거래에 대한 준비욕구가 부족한 실정”이라며 “이번 지원센터 운영을 계기로 전자상거래 인프라 구축에 힘써 나가겠다”고 말했다. /류제홍기자 jhyou@ kgib.co.kr

경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