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행정구역 개편 서둘러야”

이명박 대통령은 30일 “원칙적으로 선거제도와 행정구역 개편은 정치권에서 빠른 시간 내에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가진 ‘G20 정상회의 유치 보고 특별기자회견’에서 “나라의 품격을 높이는 것이고 국민과 소통하는 가장 빠른 길이라고 생각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선거제도를 바꿔야 한다는 것인데 어떻게 바꾸라는 것은 제안하지 않겠다”면서 “필요하면 정부가 내놓겠지만 정치권이 자발적으로 소통을 위해서, 지역 위해, 일할 사람을 위해서 제도를 바꿔달라”고 요청했다. 이 대통령은 “호남에 가면 여당 의원이 한사람도 없다. 구의원도 없다. 시의원 한사람 없다. 영남에 가면 야당 의원·구의원·시의원이 없다”면서 “제도가 이렇게 돼 있는데 국민 소통을 아무리 얘기해도 이대로 두면 10년, 20년이 돼도 소통이 안된다”고 지적했다. 행정구역 개편 문제와 관련해 이 대통령은 “1890년대 행정구역이 정해졌다고 한다. 벌써 120년 가까이 됐는데 그때는 완전 농경시대 아니냐”고 반문한 뒤 “모든 균형 발전이 행정구역 따라 하게 됐는데 지역을 만들어줘야 발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또 “G20 정상회의 유치는 대한민국이 세계의 중심에 서게 됐다는 것을 의미한다”면서 “우리가 G20 정상회의를 성공적으로 개최함으로써 세계와 함께 성장 발전하는데 기여하고, 대한민국의 국격을 한층 높이는 기회로 삼아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강해인기자 hikang@kgib.co.kr

이 대통령-박근혜 前대표 회동

이명박 대통령과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가 16일 오전 청와대에서 43분간 단독회동을 가졌다. 이 대통령과 박 전 대표는 이날 비공개 회동에서 남북 문제와 4대강 사업 등 현안에 대해 의견을 나눈 것으로 전해졌다. 박선규 청와대 대변인은 회동 후 브리핑을 통해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박 전 대표 등 유럽 특사단 일행을 접견해 방문성과를 보고 받고 노고를 치하했다”면서 “접견은 오전 10시30분에 시작돼 12시5분에 끝났고, 이 대통령과 박 전 대표는 보고가 끝난 뒤 43분 동안 단독회동을 가졌다”고 밝혔다. 박 대변인은 “본관 백악실에서 진행된 접견은 여러 차례 웃음이 터지는 등 시종 화기애애한 분위기 속에서 진행이 됐다”며 “접견이 끝난 뒤 이 대통령은 접견실 밖까지 나와 손을 흔들며 특사단을 배웅했다”고 말했다. 이날 접견에서 박 전 대표는 “일정이 빡빡했지만 만날 사람은 다 만났다. 큰 보람이 있었다”고 말했고, 이 대통령은 “다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으로 최선을 다해주신 것으로 안다. 중요한 시기에 특사단이 성공적인 업무수행으로 큰 역할을 해줬고, 당장도 물론이지만 향후 국정 운영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감사를 표했다고 박 대변인이 전했다. 이 대통령과 박 전 대표는 이어 단독회동에서 정국 현안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 것으로 알려졌으나 단독회동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다. 박 전 대표는 회동 후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개헌 이야기는 안했고, 남북문제라든지 4대강 등 여러가지 현안에 대해서 얘기를 나눴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이 당선된 이후 박 전 대표와 단독 회동한 것은 이번이 4번째로, 회동에는 박 전 대표 외에 유정복(김포)·김태원(고양 덕양 을)·안경률·김성태 의원, 청와대에선 박형준 정무수석과 김성환 외교안보수석, 박 대변인이 배석했다. /강해인·김재민기자 jmkim@kgib.co.kr

李 대통령, 김정일 구두 메시지 받아

이명박 대통령은 23일 청와대에서 고 김대중 전 대통령의 조문을 위해 방문한 김기남 노동당 비서 등 북한 조문단 일행을 약 30분간 면담하고,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구두 메시지를 전달받았다. 이 대통령이 청와대에서 북한 정부 고위 관계자를 접견한 것은 현 정부 들어 처음이다.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은 면담 결과 브리핑을 통해 “이 대통령은 오늘 오전 9시부터 30분간 청와대에서 김 비서 등 조문단 일행을 접견했다”며 “접견에서 북한 조문단은 남북 협력의 진전에 관한 김 위원장의 구두 메시지를 전달했다”고 밝혔다. 이 대변인은 이어 “이에 대해 이 대통령은 우리 정부의 일관되고 확고한 대북 원칙을 설명한 뒤 이를 김 위원장에게 전달해 달라고 당부했다”고 덧붙였다. 앞서 이 대통령은 북한측 조문에 대해 감사의 뜻을 전한 뒤 “남과 북이 어떤 문제든 진정성을 갖고 대화로 문제를 풀어 나간다면 해결하지 못할 일이 없다”고 강조했으며, 북한 조문단은 “면담 기회를 준 것에 감사한다”면서 “남과 북이 협력해 모든 문제를 해결해 나가기를 바란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이 대변인은 전했다. 이날 면담은 진지하고 부드러운 분위기에서 진행됐으며, 면담에는 우리 측에서 현인택 통일부장관과 김성환 외교안보수석 등이 배석했고, 북측은 김기남 노동당 비서와 김양건 노동당 통일전선부장, 원동연 아태위 실장이 참석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이날 면담형식과 관련, “한마디로 ‘패러다임 시프트(전환)’라고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김 비서는 청와대 예방 후 홍은동 그랜드힐튼호텔에서 기자들에게 “좋은 기분으로 간다”고 말했으며, 김 비서 등 북한 조문단은 2박3일간의 일정을 소화한 뒤 이날 오후 12시10분께 김포공항에서 북한 고려항공 특별기편으로 평양으로 돌아갔다. /강해인기자 hikang@kgib.co.kr

DJ 전직 대통령 첫 국장 결정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의 장례가 건국 이후 전직 대통령으로는 처음으로 ‘국장(國葬)’으로 엄수된다.★관련기사 3면 장례 기간은 김 전 대통령이 서거한 18일부터 오는 23일까지 6일간으로 결정됐으며, 장지는 서울 동작동 국립현충원으로 결정됐다. 영결식은 오는 23일 오후 2시 국회 광장에서 열리며, 장의위원장은 한승수 국무총리가 단독으로 맡기로 했다. 정부는 이날 저녁 세종로 중앙청사에서 한승수 국무총리 주재로 임시 국무회의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고 김대중 전 대통령 국장 계획안’을 심의, 의결한다. 계획안은 이명박 대통령의 재가를 거쳐 최종 확정된다. 건국 이후 전직 대통령의 장례가 국장으로 엄수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며, 재임 중인 1979년 10월26일 서거한 박정희 전 대통령의 국장 이후 30년 만의 일이다. ‘국장·국민장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전직 대통령이 서거하면 국장으로 장례를 거행할 수 있으나 퇴임 이후 서거한 최규하, 노무현 전 대통령의 장례는 국민장으로 치러졌다. 정부는 당초 관례에 따라 김 전 대통령 측에 국민장을 권유했으나 민주당과 유족 측은 고인의 민주화 및 남북화해 노력과 업적 등을 감안, 국장을 할 것을 요청했다. 정부는 지난 5월 국민장을 치른 노 전 대통령 장례와의 형평성, 향후 서거하는 전직 대통령 장례 등에 미치는 영향 등을 이유로 고심했으나 유족 측의 입장을 고려, 국장을 치르기로 결정했다. 정부 핵심 관계자는 “국장(國葬)이 형평성에 맞지 않는다는 일부 의견도 있었으나 이명박 대통령이 보고를 받고 대국적 견지에서 (국장으로) 결정을 내렸다”고 말했다. 한편 북한의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김대중 전 대통령의 조문을 위해 화환과 함께 5명의 조의방문단을 1박2일 일정으로 파견한다. 민주당 박지원 의원은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오늘 날짜로 조선아시아태평양위원회로부터 김 위원장이 조문을 보내고 특사를 보내기로 결정했다는 통보를 받았다”고 밝혔다. /강해인기자 hikang@kgib.co.kr

정치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