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부/시내 곳곳 무허가 건물 판친다

의정부시내 곳곳에 무허가 불법 건축물들이 우후죽순처럼 늘고 있으나 단속의 손길은 미치지 못하고 있다. 4일 시와 주민들에 따르면 시내 기존 도심권인 의정부3동 372와 365 일대 5∼6곳의 단독주택과 상가건물 옥상 등에는 무허가로 조립식 가건물들을 지어졌거나 판넬 등을 사용해 증축된 곳도 있어 도시미관을 해치고 있다. 그러나 적절한 단속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의정부2동 508, 509 등지와 가능2동 748 인근 일부 주택가나 음식점들도 건물옆이나 마당 등에 판넬이나 벽돌을 사용한 건축물이 불법으로 증축되고 있으나 시는 조사는 물론 건수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녹양동 종합운동장 주변 주택가와 의정부1동 구 시외버스터미널 부근 상가주택 3∼4곳도 옥탑에 가건물을 불법으로 증개축해 사용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시내 주택가 이면에 불법 건축물을 시공하는 사례가 많아 지속적인 단속을 펼치고 있다”며 “그러나 현재 단속 공무원이 1명 밖에 없는데다 불법 건축물 지도단속 이외에 건축심의와 현장확인 등 업무량이 많아 정확한 단속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의정부시는 올들어 지난달말까지 불법 건축물들을 지도·단속한 결과, 모두 83건(무허가 81건 무단용도변경 2건)을 적발, 이가운데 10건에 대해선 고발하고 23건에 대해선 시정 조치했으며 나머지 50건에 대해선 계고기간을 거쳐 이행강제금을 부과하기로 했다. /의정부=김현태기자 kht@kgib.co.kr

안양/유료주차장 관리 PDA로

안양시의 공영유료주차장 관리업무가 요금 징수는 물론 수입금 관리 등이 무선통신망(CDMA)인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휴대용단말기) 시스템으로 구축된다. 특히 PDA를 도입, 무선통신망을 통해 주차요금을 실시간 관리하면 현재보다 주차요금 수익금이 20% 이상 증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4일 시에 따르면 시설관리공단을 통해 운영하고 있는 주차장은 공영유료주차장이 36곳에 3천421면, 평촌지하주차장이 5천618평 891면 등으로 114명의 관리요원들이 요금을 징수하고 있다. 그러나 수작업을 통해 영수증을 발급하고 있어 비가 내릴 경우 훼손될 가능성은 물론 체납자 관리 등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시는 이에 따라 오는 6일 1억9천만원의 예산을 들여 휴대용단말기(PDA) 120대를 구입, 주차관리시스템(PDA)을 구축한 뒤 다음달 4일부터 본격 가동할 계획이다. 시는 휴대용단말기를 이용해 주차관리를 실시할 경우, 주차요금관리의 투명성 확보는 물론 전산화로 인해 주차수요에 대한 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주차요금 체납자들을 정확하게 관리할 수 있는데다 주차요금의 실시간 집계도 가능, 인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시 관계자는 “PDA를 활용할 경우, 체계적인 수입금 관리로 업무능력 향상은 물론 주차민원 발생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며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다양한 장점을 확보할 수 있다”고 밝혔다. /안양=구재원기자 kjwoon@kgib.co.kr

이천/설성면에 국립묘지 조성

안성과 인접한 이천시 설명면 대죽리 10여만평 일원에 6·25 참전용사들이 안치될 국립묘지가 조성될 전망이다. 그러나 혐오시설로 여기는 지역 주민들의 반대가 예상돼 사업이 본격화되기까지 상당기간 마찰이 우려된다. 4일 재향군인회 현충사업단과 주민들에 따르면 오는 2005년까지 이천시 설성면 대죽리 산 26 일원 부지 10여만평에 경북 영천과 전북 임실 등에 이어 서울과 대전국립묘지 등과는 별도의 신규 국립묘지를 조성키로 하고 현재 설계용역을 실시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부지 매입비 등을 포함, 모두 280여억원이 투입될 것으로 알려진 이 국립묘지는 6·25 참전용사와 제대 후 20년 이상된 퇴역군인 등이 안치될 것으로 보이며 납골묘 2만기와 납골당 3만기 등으로 구분, 모두 5만기가 들어설 계획이다. 하지만 미군기지 이전에다 쓰레기매립장 등으로 주민들의 반발이 거센 현안사업들과 맞물려 국립묘지에 대해서도 혐오시설로 간주하는 주민들의 주장이 팽배, 사업이 순조롭게 진행되지 않을 전망이다. 현충사업단 관계자는 “청와대 및 국회 등과 이미 협의된 사안으로 현재 부지매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내년 7월부터나 사업이 본격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재향군인회는 현재 무공수훈자를 비롯, 제대한 지 20년 이상된 퇴역군인만을 대상으로 한 묘지는 이미 서울과 대전 등에 조성됐는데도 모두 74만여명에 이르는 6·25 참전용사와 제대후 10년 이상된 퇴역군인 등을 수용할 만한 장소는 마련되지 않고 있다고 판단, 앞으로 각 도별로 1곳씩 참전용사를 위한 국립묘지를 조성할 방침이다. /이천=김동수기자 dskim@kgib.co.kr

정치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