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방역강화 조치 무기한 연장…이제 PC방도 QR코드 전자명부 의무화

집단감염 우려가 상존하는 PC방은 고위험시설에서 제외돼 방역 구멍이 우려된다는 지적(경기일보 11일자 7면)에 대해 정부가 대책 마련에 나섰다. 12일 방역 당국은 수도권 중심으로 확산 중인 코로나19 집단발병 사태에 대처하고자 현행 수도권 방역강화 조치를 무기한 연장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수도권의 PC방과 학원은 QR코드 기반의 전자출입명부 시스템 도입이 의무화된다. 아울러 방역수칙 강제 적용 대상인 고위험시설 업종도 확대되는 등 방역 관리의 강도가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지금까지 PC방은 밀접 접촉이 많은 다중이용시설임에도 중위험시설로 분류돼 QR코드 전자명부 도입 대상에서 제외됐다. 이날 박능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보건복지부 장관)은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대응 브리핑에서 이같이 설명했다. 방역 당국은 고시원, 쪽방촌, 함바식당 등 제도밖 시설 종사자에 대해서도 증상 유무와 관계없이 진단검사를 시행, 집단감염 가능성을 조기에 차단하겠다는 방침이다. 필요할 경우 한시적으로 무료 검사 대상 확대까지 검토할 예정이다. 박능후 중대본 1차장은 다시 사회적 거리두기로 돌아갈 때 빚어질 수 있는 피해를 최소화하면서도, 수도권에 집중된 연쇄감염의 고리를 차단하고자 이런 조치를 마련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5월29일부터 이달 11일까지 발생한 국내 확진자 중 96.4%가 수도권에 집중되고 있다며 향후 일일 신규 확진자 수가 한 자릿수로 줄어들지 않는다면 더 강화된 사회적 거리두기나 그 이상의 방역 단계 이행도 검토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방역 당국은 수도권 확진자 증가에 따른 병상 부족 가능성이 제기되는 것과 관련해 수도권 공동 병상대응체계 계획을 조속히 확정하겠다는 입장이다. 이와 함께 각 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는 시설 외에 국가 지정 공동 생활치료센터를 안산 중소벤처기업연수원과 광주 고용노동연수원 2곳에 신설키로 했다. 장희준기자

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