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러운 환경에 영양이 부족할 때 많이 생겨 후진국 병으로 불려온 결핵 환자 발생이 우리나라에서는 나이 들수록 증가하고, 소득수준과 별 상관없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07~2009년 결핵 보험청구 환자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결핵 환자는 20대 보다 60~74세 환자가 약 2배, 75세 이상이 약 3배였다. 소득 수준이 낮으냐 높으냐에 따른 환자 발생은 큰 차이가 없었다.
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결핵 환자는 2007년 34만5226명에서 2009년 33만383명으로 약 1만5000명 감소했다. 노인 나이에 이를수록 결핵 환자는 더 많았고 치료도 더길어졌다. 2009년 기준 인구 10만 명 당 결핵 환자는 20세 미만이 190명, 20대 717명, 30대 648명, 40대 608명, 60~74세 1320명, 75세 이상 2064명 이었다.
결핵 치료를 9개월 이상 받는 환자는 20세 미만이 인구 10만명 당 6명, 20대 31.1명,30대 28.7명, 40대 26.7명, 50대 37.4명, 60~74세 60.5명, 75세 이상이 90.9명이었다.
특히 후진국 병으로 여겨왔지만 우리나라에선 가난하다고 더 많이 걸리고 잘 산다고 잘 걸리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10만 명당 결핵 환자는 저소득층에서 649명, 고소득층에서 666명으로 크게 차이가 없었다. 중간 소득층에서도 10만 명당 644명~656명등으로 비슷했다.
결핵은 결핵균의 전염으로 생기는데 감염돼도 모두 발병하는 것은 아니고 특히 당뇨병, 영양실조, 알코올 중독, 기타 만성질환 등으로 면역기능이 떨어진 사람이 위험이 높다. 또 결핵균은 매우 더디게 자라기 때문에 발병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걸린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호흡기내과 한창훈 교수는 폐결핵은 기침, 가래, 열,전신 무력감과 체중감소가 주로 나타나는데 감기 증상과 비슷해 증상만으로 진단하기는 어렵다며 감기 증상이 2~3주 넘게 가거나 잘 먹는데도 체중이 빠진다면 병원에가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건강·의학
코메디닷컴
2011-05-08 1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