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침몰 사고 당시 구조된 인원과 실종자 수가 또다시 바뀌어 논란이 일고 있다.
지난 7일 해경은 또다시 구조자와 실종자 수를 바꿨다. 이날까지 범정부대책본부와 해경 등이 탑승자, 구조자 수 등을 번복한 것은 모두 7차례.
김석균 해양경찰청장은 이날 "잠정 확인된 인원은 탑승자 476명, 생존자 172명, 사망자 269명, 실종자 35명"이라며 "탑승자 수는 변동이 없으나, 구조자가 2명 감소하고 실종자가 2명 늘었다"고 밝혔다.
실종자 수가 늘어난 이유로 김 청장은 명단에 없던 중국인 2명을 신용카드 매출전표 확인 등을 통해 추가 발견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김 청장이 언급한 중국인 2명은 지난달 21일과 23일 발견돼 이미 장례까지 마친 것으로 확인됐다. 일단 실종자는 아닌 셈.
앞서 해경은 지난 17일 논란이 된 중국인 2명의 탑승사실을 중국 주(駐)광주총영사관에 통보한 바 있다. 이 통보가 맞다면 탑승자는 476명이 아닌 478명이 돼야 하지만 해경측은 이를 정정하지 않고 고수해왔다.
이에 대해 해경의 한 관계자는 "이씨와 한씨가 세월호에 탑승했다는 정황이 드러난 상황에서 이를 확인하던 중에 두 사람의 시신이 수습됐다"면서 "매번 탑승자 수를 수정할 수 없기 때문에 정확히 확인하고 발표하려 했다. 수색 중간 발표 브리핑 전에 이들이 사용한 신용카드 전표가 발견됐고 이번에 종합해 발표한 것이다"고 해명했다.
이 때문에 탑승자 수 번복에 부담을 느낀 해경이 생존자 중복 집계로 2명이 줄자 이를 이용해 빠졌던 탑승자 2명을 포함시켰다는 의혹이 일고 있다.
한편 영유아 탑승과 무임승차 인원이 더 있었을 가능성 또한 배제하기 어려워 탑승인원이 더 늘 수도 있는 상황이다.
신지원 기자 sj2in@kyeonggi.com
사진= 세월호 침몰 사고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