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에서 얼음 덩어리가 우수수 내려와… 우박이 쏟아지는 이유는?

'우박이 쏟아지는 이유'

지난 10일 서울 경기 일부 지역에서 우박이 쏟아져내렸다. 기상청은 오는 12일까지 내륙에 돌풍과 함께 천둥·번개가 치는 곳이 있겠고, 일부 내륙에는 우박이 떨어지는 곳도 있으므로 안전사고에 유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그렇다면 우박이 쏟아지는 이유는 뭘까.

우박이 쏟아지는 이유는 기류의 영향인 것으로 알려졌다.

우박은 상승 기류를 타고 수직으로 크게 발달한 적란운에서 발생한다.

온도가 -5 ~ -10℃ 정도 되는 꼭대기에서는 지표면에서 데워져 상승한 공기 중의 수증기가 눈이나 얼음덩어리로 변해 존재하는데, 하강 기류가 생기게 되면 눈이나 얼음덩어리가 떨어져 강한 비가 되기도 하지만 수증기가 다시 상승 기류를 타고 높이 올라가면 다시 얼음덩어리나 눈으로 변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상승과 하강을 여러 번 거치면서 우박은 점점 크게 성장하고 상승 기류가 약해지면 우박은 무게를 지탱하지 못해 지면으로 떨어진다.

우박은 땅이 많이 뜨거워져 있는 오후에 주로 발생하지만 한 여름에는 오히려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한여름에는 너무 덥기 때문에 우박이 떨어지는 도중에 녹아버리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우박은 주로 초여름이나 가을에 많이 발생한다.

우박의 크기는 5mm~10cm 정도이며, 유럽에서는 배구공 정도인 20cm 되는 우박이 떨어진 적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놀라움을 자아낸다.

10cm 크기의 우박은 1초에 1m 정도의 속력으로 하강하는데, 이를 맞을 경우에는 큰 피해를 입을 수 있다. 특히 농작물의 경우 우박의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망 같은 것으로 덮어 우박과의 접촉을 막아야 한다.

또 우박이 내릴 때는 외출을 삼가해 우박을 피하는 것이 좋다.

우박이 쏟아지는 이유에 누리꾼들은 "우박이 쏟아지는 이유, 기류 때문이었구나", "어제 정말 무섭더라", "우박이 쏟아지는 이유, 다들 조심하세요" 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김예나 기자 yena@kyeonggi.com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