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암 사망률’…“저학력자 더 높아” 학력에 따른 건강불평등 ‘심화’

‘여성암 사망률’ 

▲ ‘여성암 사망률’ , 경기일보DB

‘여성암 사망률’…“저학력자 사망률 높아” 

저학력일수록 여성들의 암 사망률이 높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송윤미 교수팀은 최근 2001년, 2006년, 2011년에 집계된 사망원인통계와 인구주택총조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25~64세 여성 암환자들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4일 밝혔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저학력자 일수록 유방암, 자궁경부암, 난소암과 같은 여성암의 사망률이 높았다.

최근 들어 이러한 경향은 더욱 두드러졌다. 

유방암은 초등학교 이하 학력의 여성 사망률이 지난 2001년 인구 10만명당 8.5명에서 2011년 21.9명으로 크게 늘어났다. 

반면, 고등학교, 대학교 졸업자에서는 오히려 줄었다. 

    

자궁경부암 역시 고등학교 이상인 경우 줄거나 소폭 상승했지만, 초등학교와 중학교 이하 여성은 각각 1.5배, 3배 늘었다.

    

특히 이러한 격차는 초등학교 이하 학력 여성의 암사망률에 대비한 대학교 졸업 여성의 암사망률을 나타내는‘상대 불평등 지수’ 개념과 비교했을 때 더욱 두드러졌다.  

이 지수가 1보다 크다는 것은 학력에 따른 건강불평등 문제가 존재함을 의미한다.

    

분석 결과, 유방암의 상대 불평등 지수는 2001년 0.6에서 2011년 1.3으로 급격히 증가했다. 

자궁경부암의 상대 불평등 지수도 2001년 2.5에서 2011년 3.8로 격차가 심해졌다. 

송윤미 교수는 “한국 여성들의 학력수준이 이전 세대보다 비교적 높아졌지만 그만큼 학력이 낮은 여성에서 불평등 정도가 더 심해질 개연성도 커졌다”면서 “사회경제적 위치에 따라 암에 대한 관심이나 정보 접근성, 수진율이 다른 것도 사망률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정자연기자

사진=‘여성암 사망률’ , 경기일보DB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