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고속도 통행료 인천시민 반발확산

경인고속도로 통행료 징수와 관련, 계양·서구의회에 이어 부평구의회도 전면적인 통행료 징수 철폐운동에 나서기로 결정하는등 인천시민들의 반발이 확산되고 있다. 31일 부평구의회에 따르면 고진섭의원 등 의원 20명은 제82회 임시회 2차 본회의에서 한국도로공사가 수익에만 급급해 구민들에게 부당한 대우를 하고 있다며 ‘경인고속도로 통행료 징수 부당성에 대한 우리의 결의안’을 채택했다. 의원들은 결의안을 통해 “경인고속도로가 편리성에 기인한 목적을 이미 상실했음에도 인천시민들에게만 통행료를 징수하고 있다” 며 “이는 구로에 위치한 톨케이트를 부평으로 이전해 부천시민들에게 통행료를 면제해 주고, 서울 목동 5.5㎞ 구간을 지하차도로 신설, 무상이양 하는등 각종 편의를 제공하는 것과도 정면으로 배치된다”고 지적했다. 의원들은 특히 “도로공사측이 통행료 징수 거부운동이 거세지자 통행료를 30% 인하 하겠다는 미봉책으로 53만 부평구민들을 우롱하고 있다” 며 “부평구민들은 서울은 물론, 경부고속도로·서해안고속도로와 인근 시흥·장수·계양·일산·김포·판교를 갈 경우 통행료를 2∼3번씩 내야하는 불합리한 처지에 놓여 있다” 며 통행료 철폐를 요구했다. 이와관련, 이찬구 의원은 “이번 기회에 서울분기점 앞의 인천톨케이트를 즉각 철거해 부평구민과 인천시민을 수익대상으로 삼는 무책임한 교통정책을 바로 잡아야 한다” 며 “정당한 요구의 관철을 위해 부평IC에서 가두시위와 홍보전을 벌이는등 모든 수단을 동원할 것” 이라고 말했다. /김창수기자 cskim@kgib.co.kr

영세주민 대금 떼먹기 일쑤 경영난 호소

“밀린 우유값을 떼먹고 이사가는 사람들 때문에 빚더미에 올랐습니다. 이젠 본사에서도 더이상 물건을 대주지 않습니다.” 인천시 연수구 연수동 일대를 대상으로 우유 배달업을 하던 Y우유 대리점 김모씨(41)는 지난달 대리점 영업권을 포기했다. 이 일대 배달고객들 가운데 상당수가 우유값 지불을 차일피일 미루다 대금을 갚지 않은채 다른 곳으로 이사를 가버려 파산직전까지 이르렀기 때문이다. 최근 인천시 연수구 연수동을 비롯해 선학동과 서구 가정동 등 소규모 월세주택이 몰려 있는 지역을 중심으로 대금을 받지 못해 경제적 손실을 호소하는 영세 배달업자들이 속출하고 있다. C일보 연수지국을 운영하는 신모씨(35)도 신문대금을 받지 못해 지국운영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신씨는 “원룸이 많다보니 2∼3개월은 보통이고, 반년이 넘도록 수금을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며 “지로용지를 보내도 구독료를 내지 않은채 이사를 가는 얌체족들이 많아 피해가 크지만 속수무책” 이라고 말했다. 유선방송업체와 식당 등도 밀린 대금을 값지 않고 이사를 가버리는 일부 시민들로 인해 골머리를 앓고 있다. N유선방송 관계자는 “3달이상 대금을 지불하지 않으면 방송송출을 차단하는 업무적인 특성에도 불구하고 1∼2달씩 밀린 대금을 납부치 않고 이사를 가는 시민들로 경영손실이 만만찮다”고 밝혔다. /한경일기자 gihan@kgib.co.kr

음식물쓰레기 위탁처리업체 선정의혹 마찰

실업극복국민운동 인천본부(공동대표 김병상)가 인천시 연수구의 음식물쓰레기 위탁 처리업체 선정 과정이 공정하지 못했다며 업체 재선정을 주장하는 항의집회를 갖는등 구와 마찰을 빚고 있다. 실업극복운동 인천본부는 31일 오전 11시30분께 연수구청 앞에서 ‘연수구청 음식물쓰레기 위탁업체 선정과정 비리의혹 규탄대회’를 갖고 선정과정 공개와 선정비리 의혹 해명, 선정 재실시 등을 요구했다. 실업극복운동 인천본부에 따르면 구는 지난해 12월29일 음식물쓰레기 처리를 민간업체에 위탁할 수 있는 내용의 관련조례를 제정, 공포하고 같은 날 인터넷과 1개 지방일간신문에 2000년도 위탁처리업체 공모 공고를 낸뒤 지난 15일 접수를 마감했다. 그러나 실업극복운동 인천본부는 구가 음식물쓰레기 처리 민간위탁조례를 공포하자 마자 서둘러 업체선정 공고를 내는 바람에 응찰할 기회조차 없었다고 주장했다. 윤관석 실업극복운동 인천본부 사무처장은 “이같은 급조행정의 이면에는 선정업체를 이미 내정해 둔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든다” 고 주장했다. 이와관련, 구 관계자는 “인터넷은 물론, 국가계약관계 법령에 따라 1개 신문에 공고를 냈다” 며 “선정과정에 어떠한 비리도 없었으며 아직 업체가 선정된 것도 아닌데다 응찰 업체들의 자격이 미달되면 재입찰 공고를 낼 수 도 있는 상황” 이라고 말했다. /김신호기자 shkim@kgib.co.kr

검단동 주민 국회앞 항의집회 파문학산

<속보> 인천시 서구 검단동 주민들이 국회 선거구획정위원회의 결정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는 가운데(본보 1월29일자 1면 보도), 선거구 획정에 시가 방관하고 있다며 투쟁위원회를 조직, 국회 앞에서 항의집회를 갖는등 파장이 확산되고 있다. 31일 서구 주민들은 ‘검단지역 선거구 획정 백지화 투쟁위원회’를 조직한 뒤 성명서를 내고 “지난 95년 3월 검단지역의 서구 편입당시 약속했던 여러 사업들이 지켜지지 않는 상태에서 이번 선거구 획정안은 주민들을 분노케 하고 있다” 며 “이번 사태를 더 이상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투쟁위는 이어 “새천년 민주당에 확인한 결과 선거구 획정 당시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의견수렴이 있었음에도 시는 일체의 주민의사를 수렴하지 않은채 현재의 선거구 획정안에 일방적으로 동의해 주었다” 고 주장했다. 투쟁위는 또 “이는 5년전 시가 검단주민들에게 제시한 지역발전 약속이행과 주민불편 사항의 해소 요구가 서구청과 지역구 의원을 통해 계속 높아지자 그 힘을 분산시키려는 의로로 밖에 볼 수 없다” 고 말했다. 이와함께 투쟁위는 정치권이 선거구 획정안을 철회치 않을 경우, 오는 4월 총선에서 독자적 후보를 내세울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날 검단지역 주민 500여명은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에서 항의 집회를 갖고 선거법 합의안 철회를 요구한 뒤 인천시청을 방문, 최 시장 면담을 요구하며 시위를 벌였다. /유규열·한경일기자 newfeel4@kgib.co.kr

인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