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경기 침체에도 중개업소 증가

부동산 경기 침체에도 불구 신규개업이 늘면서 경기지역의 부동산중개업소가 소폭 증가한데다 대형화 추세가 가속화되고 있다. 28일 전국부동산중개업 협회 경기도지부에 따르면 올 1월말 현재 경기지역 부동산 중개업소는 1만1천944곳으로 지난해 같은기간에 비해 5%(571곳)정도 증가한데다 법인사무소도 29곳이 늘어난 98개소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수원시 1천157개소 (54곳 증가) ▲고양 1천92개소(52곳 증가) ▲성남 분당 620개소(20곳 증가) ▲시흥 446개소(61곳 증가) ▲파주 331개소(46곳 증가) ▲김포 336개소(19곳 증가) 등인 반면 용인지역의 경우 난개발 등에 따른 규제가 강화되면서 거래부진 등으로 1년사이 46개소가 문을 닫아 830개소 인것으로 집계됐다. 중개법인의 경우 ▲고양시 일산구가 6개로 가장 많이 증가한 12개소 ▲수원시 팔달구는 4곳이 증가한 11개소 ▲구리는 3곳이 증가한 4개소 등이며 김포(4개소), 포천(2개소) 오산 (1개소) 등에 신설됐다. 협회 관계자는 “경기침체가 지속되는데도 중개업소가 늘어나는 것은 신규개업과 법인 신설 등이 늘고 있기 때문”이라며“앞으로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한 업소의 대형화 추세가 더욱 가속화 될 전망”이라고 말했다./박승돈기자 sdpark@ kgib.co.kr

건설신규인력시장 양극화

올해 건설관련 대학졸업생의 취업대란과는 대조적으로 직업훈련학교 수료생들의 취업률이 90% 이상인 것으로 나타나 신규 건설인력시장의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28일 대학들과 직업전문학교에 따르면 서울대 건축과 40명중 25%인 10명, 연세대 토목과 72명중 40%인 29명이 각각 취업한 것으로 나타나는 등 상위그룹대학의 건축과 토목 등 건설관련 대학 졸업예정자의 순수 취업률이 40%이하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도내 경기대 건축과는 78명중 31%인 24명, 수원대 건축과 48명중 31%인 15명이 취업한 것으로 집계돼 취업률은 30%내외에 그친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현장의 건설자원인 신규 건설기능인력의 현재 취업률은 90%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건설공제조합의 직업훈련학교가 이달중 배출예정인 예비 건설기능인력 388명 가운데 375명의 취업이 확정돼 취업률이 97%에 이른 것으로 밝혀져 이미 지난해 취업률 95%를 이미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전문공조 직업훈련학교 개설학과 가운데 용접과 조경직종학과의 졸업예정자 60명과30명은 전원 취업이 됐으나 현재도 관련업체들의 구인요청이 쇄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건설이 운영하는 사내직업훈련학교의 졸업예정자 300명중 현재 취업자는 250명으로 취업률이 83%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 직업학교는 현재 관련업체들의 구인요청이 계속되는 실정을 감안할 때 조만간 졸업예정자의 전원취업이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표명구기자 mgpyo@kgib.co.kr

이달부터 부실징후기업 상시퇴출제 가동

부실징후기업에 대한 ‘상시퇴출제도’가 이달부터 본격 가동된다. 2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1월 ‘기업신용위험 상시평가시스템 운용방안’을 마련한 뒤 은행별로 퇴출 평가기준을 마련하고 신용위험평가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제반 준비를 마무리했다. 금감원은 또 지난 19일 은행감독규정세칙을 개정, 상시퇴출제도 운영을 위한 법규 정비를 마무리했다. 상시퇴출제도 가동으로 채권은행들은 부실징후가 있는 기업에 대해 연간 최소 2차례 경영상태를 평가, 퇴출기업을 선정하게 된다. 신용위험 평가대상 기업은 3년 연속 이자보상배율이 일정 수준에 이르지 못하는 기업 등 작년 ‘11.3 부실기업 퇴출’ 당시의 가이드라인을 적용하되 구체적 퇴출평가기준은 채권은행이 자율적으로 마련해 운용한다. 구체적으로 보면 채권은행들은 ▲3년 연속 이자보상배율 일정수준 미만 ▲신자산건전성분류(FLC) 기준에 의한 ‘요주의’ 이하 ▲은행내규에 따라 부실징후기업으로 관리중인 기업을 대상으로 신용위험을 평가한다. 지난해 ‘11.3 부실기업 퇴출’ 때와 다른 점은 제2금융권 여신비중이 과도하게 높거나 대출금을 장기적으로 연체, 신용도가 급격히 떨어질 우려가 있는 기업도 신용위험 평가 대상에 포함된다는 점이다. 정부는 이같은 기업을 대상으로 채권은행별로 ‘신용위험평가위원회’를 구성, 반기별로 신용위험 평가계획을 수립하고 연간 최소 2회 퇴출여부를 판정토록 했다. 금감원은 만일 신용위험 평가 결과 ‘회생가능’으로 분류된 기업이 특별한 경영여건 변화없이 채권은행의 소극적인 지원으로 부실해지면 해당 은행에 경영책임을 물을 계획이다./연합

<재래시장을 살리자>안양 중앙시장

40년의 서민들의 삶을 간직하며 안양지역 경제의 잣대로 여겨졌던 안양시 만안구 안양4동 안양중앙시장. 그러나 지난 96년 유통시장의 전면개방이후 인근 대형할인점 등이 물밀듯 들어오면서 안양 중앙시장도 쇄락의 길을 걷고 있다. 1961년 안양중앙공설시장은 설립 당시에만도 283개의 점포들이 모여 중부권의 도매물류등 상권을 주도하자 80년대 중반부터 인근에 점포들이 늘어나면서 995개 점포와 300여개 노점들로 시장이 발디딜틈 없이 북적거렸다. 그러나 98년부터 불어닥친 경제난으로 인해 지금은 활황은 자취를 감추고 있다. 수도권 중부권에 재래시장이 활성화 된것은 조선시대에 한성(漢城)과 인접하고 경기도의 중심지역에 위치해 인근 농산물 등의 생산이 많아 일찍부터 시장이 발달했다. 1926년 시흥군 서이면 안양리 (현 안양시 만안구 안양1동)에 안양시장이 개설돼 매달 5일과 10일장으로 열렸으나 1960년대 안양우(牛)시장으로 변하면서 생필품 판매를 담당한 상인들이 안양4동으로 옮겨가면서 현재의 안양중앙시장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대규모 상권을 형성하고 있는 안양중앙시장도 IMF이후 불경기가 겹치고 대형 할인점의 입점 등으로 사상최대의 불황을 경험하고 있다. 이 시장에서 10여년을 장사해온 상인은 “호황을 누렸던 90년대 초 이전 매출의 10분의 1도 안되고 있다”고 한숨을 내뱉는다. 안양중앙시장 장용준 번영회장도 “안양지역에 대형 할인점이 속속 입점하고 시장 인근에 노점들이 둘러싸이면서 시장기능을 잃고 지금은 상인들이 떠나면서 공동화 현상까지 빚어지고 있다”고 말한다. 또 장회장은 “ 오후 4∼6시께는 시장을 많이 찾을 시간때인데도 주부들의 발걸음이 뜸해 시장분위가가 썰렁해 찾아오는 손님이 반갑게 여겨진다”고 토로한다. 안양중앙시장의 상권이 무너지면서 280여개의 점포들도 IMF를 견디지 못해 시장을 떠나 100여개 상가만이 시장의 명맥을 지키고 있고 주변의 노점들도 속속 문을 닫고 있어 ‘시장공동화 ’현상까지 빚어지고 있다. 시장을 찾은 주부 이미연씨(40·안양시 만안구 박달동)는 “재래시장을 찾으면 사람냄새를 맡을 수 있고 신선한 상품을 살 수 있어 좋았다”며 “그러나 지금은 대형 할인점등을 많이 찾고 편해 주부들의 발걸음 대형 할인점으로 가고 있어 재래시장의 풍속도를 찾아보기 어려워질 것 같다”고 말했다. 안양중앙시장은 오래전부터 시장현대화를 위한 준비를 해왔다. 그러나 시장허가를 받아 영업을 해온 상인들과 시장이 활성화되면서 유입된 상인들과 노점상들간에 이해관계가 얽혀 현대화 추진이 지지부진한 상태다. 시 관계자는 “재래시장의 현대화 추진을 위해서는 여러가지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나 상인들간의 이해관계로 인해 어려운 실정이다”고 말한다. ▲시장활성화 방안 안양중앙시장 번영회는 4년전부터 대형 할인점과의 경쟁을 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고객들의 편리한 쇼핑을 위해 현대화계획 등을 마련해보고 있지만 영세업체들이 재정부담등으로 인해 재건축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중앙시장측은 번영회를 중심으로 상품의 질적경쟁과 서비스수준을 높이기 위한 교육등을 펼치고 있지만 현재 인근 상권을 형성하고 있는 상인들의 참여가 미진해 이마저도 지지부진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시(市)나 상인들은 재래시장 활성화를 위해서는 우선 쾌적한 시설이 마련돼야 한다는데 인식을 같이하고 있다. 그러나 상인들은 “대부분이 영세상인들이라 6%의 금리부담을 안고 시장구조개선에 나서기가 어려운 실정이다”며 “정책적으로 무이자를 통한 정책적 지원이 있어야 가능하다”고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호소한다. 장용준 번영회장은 “상인들의 의식구조 개편이 최우선시 돼야한다”며 “이제는 재래시장도 서비스와 상품의 질로 경쟁해 대형 할인점과의 싸움에서 우위를 점해야한다”고 강조한다. 이에 상인들도 “대형 할인점처럼 냉장처리해 오는 묵은 상품이 아니라 재래시장에 오면 신선한 상품을 살 수 있는 장점과 다양한 먹거리와 볼거리가 있어 고객들이 다시 재래시장으로 돌아올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장용준 안양중앙시장 번영회장> “시장의 본래의 기능은 소비자가 직접, 상품의 질적수준을 판단할 수 있고 매일 신선한 물건을 살 수 있다는 특징이 있어 대형 할인점과의 불균형만 해소된다면 다시 재래시장의 영광을 찾을 수 있다” 지난해 10월부터 안양중앙시장 번영회를 맡아 시장상인들의 결속과 재래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온힘을 기울이고 있는 장용준회장(63). 소비자들의 발걸음을 다시 끌어모으기 위해 주차공간 확보와 시장환경 개선이 시급하다고 강조한다. -재래시장의 위축의 가장 근본적인 요인은 ▲96년 유통시장개방이후 재래시장이 쇄락의 길을 걷고 있다. 90년대 초만해도 중앙시장은 중부권 유통의 노른자위라고 불릴정도로 활황이어서 주변에 노점과 인근에 점포들이 많이 늘어났다. 그러나 대형 할인점과 시장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노점들과 늘어나는 점포로 인해 시장통행이 비좁아지고 소비자들의 발걸음이 줄어들어 지금은 중앙시장을 이끌어온 상인들도 떠나고 있다. -재래시장 활성화 방안은 ▲재래시장은 곧 서민경제이다. 재래시장이 쇄락하면 서민들도 힘들게 살고 있다는 것을 표현하고 있다.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방안이 나와야한다. 영세상인들에게 이자가 있는 건축부담금을 지원해준다고 하지만 이자를 부담하며 재래시장에서 장사할 사람은 별로 없을 것이다. 농어촌 지원처럼 재래시장도 서민경제활성화 차원에서 무이자 지원 등의 정책적인 방안이 모색돼야 한다. 또 재래시장 등도 현대화 등을 통해 소비자들이 언제든지 편안히 쇼핑할 수 있도록 시설을 완비하고 상인들의 서비스 정신도 높여야 경쟁에서 이길 수 있다. -상인들과 지역주민들에게 바라는 점은 ▲시장은 할인매장처럼 갇혀있는 공간이 아니라 열려있는 공간에서 거래가 되는 장점이 있다. 곧 신선한 물건을 인테리어된 곳에서 보고 사는 것과 열려있는 공간에서 상품을 보는 것은 차이가 많다. 신선도를 측정하고 싸게 구입할 수 있는 곳이 재래시장이다. 이제는 재래시장도 변신을 거듭해 대형 할인점에서 실증을 느낀 소비자들의 발걸음을 재래시장으로 돌리게 해야한다. /안양=유창재·홍성수기자 sshong@kgib.co.kr

경기농협, 회원조합·지소 합병 가시화

경기농협은 올해 경영정상화가 어려운 부실조합 등 회원조합 합병을 추진하며 회원조합의 지소도 2002년까지 18%인 83개 지소를 통폐합 하기로 했다. 27일 경기농협지역본부에 따르면 중앙회가 올해 경영정상화가 어려운 부실조합 등 120개 조합의 합병을 추진키로 함에 따라 관내에서 자기자본 완전잠식, 순 부실채권액이 자기자본의 2배 초과 조합, 농협법상 설립인가 기준 미달조합, 지난해말 기준 경영평과 결과를 감안해 경영약체 조합을 중점 합병 추진키로 했다. 또 합병조합의 동반부실을 막기 위해 경영지도 실시를 통해 먼저 구조조정을 한뒤 합병을 추진한다는 방침을 세워놓고 있다. 이와함께 도내 452개의 회원조합 지소중 올해 37개, 2002년 46개 등 2년간 83개의 지소를 통폐합키로 했다. 이중 회원농협은 적자점포 12개소를 비롯한 사업량 미달 5개소, 보유기준초과 19개소 등 모두 54개이며 회원축협은 적자점포 11개소를 비롯한 사업량 미달 2개, 보유기준초과 16개 등 29개다. 경기농협은 지소 통폐합을 위해 통폐합 추진 미이행 조합은 경영평가와 업적평가때 불이익을 주기로 했으며 지소를 신규 설치할 때는 고정투자 적합성 심사 등을 강화하기로 했다. /정근호기자 ghjung@kgib.co.kr

경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