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개은행 공적자금 투입완료

한빛은행과 서울은행에 구랍 31일 공적자금이 투입됨에 따라 전날 공적자금이 투입된 평화·광주·경남·제주은행을 포함한 6개 부실은행에 대한 공적자금 1차분 투입이 완료됐다. 정부는 이날 한빛은행 노조가 금융산업노조 비상대책위원회로부터 이용득 위원장의 대리서명을 받은 노조동의서를, 서울은행 노조는 전체조합원의 인준을 받은 금융산업노조 탈퇴확인서를 각각 예금보험공사에 제출함에 따라 한빛은행에 2조7천644억원, 서울은행에 6천108억원의 공적자금을 각각 투입했다. 이에 따라 구랍 30일 공적자금이 투입된 평화·광주·경남·제주은행을 포함해 6개 부실은행에 대한 공적자금 1차분 투입이 완료됐다. 은행별 공적자금 투입규모는 한빛 2조7천644억원, 서울 6천108억원, 평화 2천730억원, 경남 2천590억원, 광주 1천704억원, 제주 531억원 등으로 이들 은행은 BIS (국제결제은행)자기자본비율 10%를 맞춰 내달 2일부터 정상영업을 할 수 있게 됐다. 정부는 또 부실채권 정리 지원 등을 위해 내년 상반기중 한빛 1조8천776억원, 평화 3천389억원, 광주 2천731억원, 서울 2천216억원, 제주 1천651억원, 경남 940억원 등 2조9천703억원을 은행별 경영개선실태 등을 감안해 추가투입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내년까지 투입될 공적자금 규모는 한빛 4조6천420억원, 서울 8천324억원, 평화 6천119억원, 광주 4천435억원, 경남 3천530억원, 제주 2천182억원 등 모두 7조1천10억원이다./연합

<실속재테크>근로자주식저축 추천 종목

근로자 주식저축에 가입할 때 세액공제 5.5%뿐만 아니라 비과세 혜택까지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아직 망설이고 있는 개인투자자들이 많다. 왜냐하면 평균 주식투자비율이 총액의 30%이상이 되어야 한다는 조건이 붙었기 때문이다. 그헐다면 어디에 투자를 해야 하는가? 현재 주식시장이 전체적으로 침체돼 있는 상태이므로 단기적으로 이익을 획득하기보다는 장기적인 관점으로 바라보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근로자 주식저축의 최소기간이 1년이상이므로 현재의 주가흐름보다는 기업의 내재가치에 대비해 저평가 되어있는 종목을 선정하는 것이 좋다. 기준은 크게 재무안정성, 수익성으로 선정했다. 세부적으로 재무안정성 지표에는 부채비율과 유보율, 금융비용부담율 등을, 수익성 지표로는 ROE, 매출액 경상이익률, 순이익 증가율 등을 기준으로 내재가치 대비 저평가 되어있는 종목군을 선정했다. ▲LG애드=광고업계 2위의 대형광고사로 경기의 급격한 하강에도 안정적인 계열사 물량, 시장점유율 확대 등에 힘입어 금년 수준의 매출을 유지할 것으로 판단되고 동종업종인 제일기획에 비해 과다하게 저평가 됨. ▲제일기획 = 삼성그룹계열의 부동의 광고업 1위, 경기둔화에도 대응력이 뛰어남. ▲삼성전자 = 타업체보다 D램 원가경쟁력이 우월하고 통신, TFT-LCD, 디지털미디어등으로 매출이 다변화돼 있어 D램 리스크에 강한 사업구조를 보유하고 있음. ▲삼성SDI=세계 1위의 브라운관업체로 브라운관의 대형화, 평면화의 고부가가치 제품 위주로 전환하면서 연평균 7%의 성장과 리튬폴리머전지. PDP, 유기EL 등으로 사업다각화를 추진, 수익성이 개선될 전망. ▲한국전기초자=TV브라운관용 유리벌브의 대형화로 수익구조개선, 디지털방송 실시에 따른 수혜가 기대되며 올해 사상 최대의 실적달성. ▲SK텔레콤= 6월이후 단말기보조금 폐지와 가입자 축소 방침에 따라 금년도 큰 폭의 비용절감과 수익확대가 전망됨. 3G사업에 대한 불확실성이 부담이 되는 상황이나 동상의 지배적 시장위치는 향후에도 지속될 것으로 판단됨. 이밖에도 페타시스, 포항제철, 현대산업개발, 문배철강, 현대백화점, 한진, LG상사, 한국포리올, 신대양제등 등이 좋겠다. <이경배 제일투신증권 수원지점장>

경기, 인천 산업활동 크게 위축

내수부진 및 수출둔화가 장기간 이어지면서 경기·인천지역의 산업활동이 크게 위축된것으로 나타나 경기침체가 본격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구랍 29일 통계청 경기·인천통계사무소가 발표한 지난해 11월중 산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경기지역의 산업생산은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운송장비, 가구 및 기타 제조업종 등의 부진으로 전월에 비해 0.5% 감소했다. 생산자 제품출하도 2.4% 감소해 지난해 9월 -7.2%, 10월 -2.3%에 이어 3개월째 감소세가 지속됐고 제품재고는 전월과 같은 보합세를 유지했으나 전년동월에 비해서는 무려 34.1%가 증가했다. 소비를 나타내는 대형소매점의 매출은 경기침체로 인한 소비심리 위축으로 백화점 및 대형할인점의 매출이 부진, 전월보다 100억원이 감소한 4천937억원의 판매액을 기록했다. 인천지역의 산업생산과 생산자 제품출하도 석유정제업, 기타 전기기계, 화합물 및 화학제품의 부진으로 전월에 비해 각각 5.8%, 9.5% 감소해 지난해 9월이후 3개월째 감소세를 보였다. 이에 반해 지난달 5.0% 증가했던 생산자 제품재고는 2.0%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발주동향은 경기지역이 지방자치단체와 공기업의 발주가 다소 증가해 전월에 비해 48.1% 증가한 반면 인천지역은 공공부분의 발주 감소가 지속돼 전월보다 45.4% 감소했다. 건축허가면적은 경기지역이 178만9천㎡로 전년동월에 비해 52.9% 줄어들었으며 인천은 18만8천743㎡로 전년동월에 비해 66.1%가 감소했다./이관식기자 kslee@kgib.co.kr

경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