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방중소기업청은 4일 ‘제6회 미추홀 중소기업상’수상업체를 선정, 발표했다. 벤처분야 우수업체로 선정된 ㈜서한메라핀(대표·이균길)은 선박 및 운송차량 내장재로 사용되고 있는 열경화성수지 화장판과 불에타지 않고 연기가 적게나는 난연성 인테리어 마감재인 안타민 등을 독자개발한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수출유망업체로 선정된 알루미늄 부품 생산업체 동준산업(대표·서민철)은 8명의 종업원으로 구성된 소기업임에도 불구하고 99년 59만달러,2000년 130만달러의 수출실적을 올리는 등 뛰어난 기술력 바탕으로 매년 100% 이상의 수출신장세를 보이고 있는 업체이다. 경영혁신 분야 우수업체로 선정된 화장품용기 생산업체 ㈜연우(대표·기중현)는 대기업 수준의 품질관리 시스템을 도입하는 경영혁신으로 98년 53억원,99년 81억원,2000년 100억원 등의 매출신장세를 보이며 성장성을 인정받았다. /류제홍기자 jhyou@kgib.co.kr
코스닥시장의 퇴출제도가 전면 재정비된다.재정경제부 관계자는 4일 “코스닥시장의 퇴출제도에 대해 전면적인 재검토작업에 들어갔다”면서 “올해안으로 협회중개시장운영규정을 바꿔 내년부터 개선된 퇴출제도를 적용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는 진념 재정경제부 장관이 지난 2일 증시 개장식에 참석,“퇴출기준을 강화, 부실기업은 과감히 퇴출시켜 시장의 건전성을 강화하겠다”고 밝힌데 따른 후속조치다. 이 관계자는 “지난해 사회적 물의를 일으켰던 기업이 대부분 코스닥 기업이었고 코스닥의 진입장벽이 거래소보다 낮아 투자 위험성도 그만큼 크기때문에 거래소보다는 코스닥시장의 퇴출제도를 주로 점검하고 있다”고 말했다. 재경부의 다른 관계자는 “코스닥 퇴출제도 개선의 초점을 ‘강화’와 ‘탄력적 적용’에 두고 있다”면서 “퇴출 전 유예기간과 퇴출후 재등록 기간, 재무상 퇴출 요건등을 집중 점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코스닥시장에서는 지난해 모두 33개 기업이 퇴출됐으며 퇴출사유는 부도로 인한 법정관리 및 화의, 자본전액 잠식, 주식분산기준 미달 등이었다.
연간 주세 규모가 지난 99년 처음으로 2조원을 넘어섰다.4일 국세청에 따르면 99년중 맥주와 소주, 양주, 위스키 등 각종 술에 부과해 거둬들인 주세(수입분 포함)는 모두 2조47억400만원으로 전년(1조8천355억2천700만원)에 비해 9.2% 증가하면서 2조원을 사상 처음으로 돌파했다. 주세 규모는 지난 93년 1조3천723억3천200만원, 94년 1조6천405억4천600만원, 95년 1조8천403억6천200만원, 96년 1조9천741억2천800만원 등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다가 97년(1조9천651억6천300만원)에 하락세로 반전됐다. 국세청 관계자는 “주세규모가 90년대들어 지속적으로 늘어나다 97년말 외환위기가 발생한 이후 다소 줄었다”면서 “그러나 99년들어 술소비량 증가와 인플레이션 등에 영향을 받아 주세규모가 처음으로 2조원을 넘어서게 됐다”고 설명했다. 99년중 맥주에 부과된 주세는 1조2천481억6천900만원으로 전년의 1조1천957억300만원보다 4.4% 증가했으나 총주세가운데 차지하는 비중은 65.1%에서 62.3%로 감소했다. 희석식 소주에 부과된 주세는 98년(2천844억2천900만원)에 비해 15.7%나 늘어난 3천292억9천400만원이었다. 총주세중 차지하는 비율도 15.4%에서 16.4%로 증가했다. 99년의 각종 주류 총 출고량도 304만1천651㎘로 98년의 292만2천489㎘보다 4.1%증가했다. 주류별로 보면 맥주가 157만8천663㎘로 가장 많았고 희석식 소주(94만4천415㎘), 주정(26만6천311㎘), 탁.약주(18만2천508㎘), 청주(3만1천604㎘), 기타주류(2만1천314㎘), 위스키(1만407㎘), 과실주(6천429㎘) 등의 순이었다.
감리업체 폐업이 최근 2년간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감리업체간 인수합병(M&A)도 지난 99년부터 크게 늘어 우량기업 중심의 감리업계 재편이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건설감리협회에 따르면 폐업한 감리업체 수는 99년 48개, 2000년(11월말 기준) 44개사로 나타나 95년 이후 전체폐업 133개사 가운데 69.1%인 92개사가 지난 2년간 폐업한 것으로 조사됐다. 사실상 폐업상태나 마찬가지인 지난해 휴업업체 10개사를 합치면 95년 이후 전체 휴·폐업 업체수 144개 가운데 작년 한해에만 54개 업체가 휴·폐업한 것으로 집계돼 최근 감리물량 감소에 따른 감리업들의 어려움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총폐업 업체 가운데 M&A에 의한 폐업은 99년 13건, 지난해 14건 등 모두 28건으로 조사돼 우량기업을 중심으로 감리업계가 재편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반해 감리업체의 신규등록 수는 폐업 업체 급증보다 증가폭이 훨씬 큰 것으로 나타나 전체 등록업체 수는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신규 등록업체 수는 96년 386개에서 97년 575개, 98년 680개로 계속 급증하다가 99년 681개로 정체된 후 작년 11월말 674개로 집계됐다. 이와 관련 감리업계 관계자는 “외환위기 이후 대부분의 발주처들이 신규발주를 자제하고 있고 민간건축경기 역시 극도로 침체돼 있어 수주경쟁이 갈수록 치열, 경쟁력이 부족한 영세 감리업체들을 중심으로 휴폐업이 증가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우량감리업체들을 중심으로 자생력 강화를 위한 기업인수 합병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표명구기자 mgpyo@kgib.co.kr
중소기업들의 체감경기가 지난 98년 3·4분기 이후 가장 나쁜 것으로 조사됐다. 4일 기업은행이 전국 1천606개 중소 제조업체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1·4분기 중소제조업 경기전망’에 따르면 기업실사지수(BSI) 전망치는 74로 98년 3·4분기(72)이후 가장 낮았다. BSI 전망치는 98년 4·4분기 87에서 99년 1·4분기 104로 100을 넘어선 후 99년 3·4분기 121, 2000년 1·4분기 119, 2·4분기 131, 3·4분기 112, 4·4분기 111 등 최근하향추세를 보였지만 줄곧 100을 웃돌았다. BSI가 100을 넘으면 경기호전을 예상하는 업체가 그렇지 않은 업체보다 많다는 것을 의미하고 100에 미달하면 그 반대를 뜻한다. 기업은행은 “올 1.4분기 BSI 전망치가 98년 수준으로 되돌아갔다”면서 “기업들의 체감경기가 급격히 떨어지고 있는 것”이라고 밝혔다. 기업은행은 또 “경기둔화세가 지속돼 실질소득이 감소하고 소비심리가 위축됨에 따라 중소제조업체들의 채산성이 악화되고 있다”면서 “금융시장 불안에 따른 자금경색 심화와 환율불안도 경기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올 1·4분기 BSI를 업종별로 보면 전 업종에서 경기전망을 어둡게 보는 가운데 목재·나무제품(63), 비금속광물제품(49), 제1차금속(64), 조립금속제품(61) 등은 소비심리 위축과 계절적 요인이 겹쳐 지수가 크게 낮았다. 중소제조업 내수판매 BSI는 71로 나타나 전분기 실적치(81)에 비해 낮았고 중소제조업 수주 BSI도 74로 전분기 실적치(82)보다 떨어졌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소비심리가 위축됨에 따라 중소제조업체들이 설비투자를 줄이는 등 올해 1·4분기 중 내수판매와 수주를 부정적으로 전망하고 있다”고 말했다. 중소제조업체들은 경영상 어려움으로 내수부진(53.8%)과 판매대금 회수난(32.8%), 자금조달난(30.7%), 원자재가격 상승(24.6%) 등을 꼽았다.
자격 요건을 제대로 갖추지 못해 퇴출 대상으로 꼽혔던 건설업체 대부분이 구제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따라 경기도가 입찰담합·부실공사방지를 위해 강력히 추진했다고 밝힌 부실건설업체 퇴출 작업이 결과적으로 ‘용두사미’라는 지적이다. 도는 지난해 7월14일부터 12월말까지 도내에 있는 1천246개의 일반건설업체를 대상으로 ‘건설산업기본법’에 의해 자격이 미달되는 업체에 대한 실태 조사를 벌인 결과, 모두 49개 업체를 적발해 행정조치를 했다고 4일 밝혔다. 이는 1, 2차 실태조사에서 부실 판정을 받아 중점 조사대상으로 선정된 500여개 업체 가운데 3.9%에 불과한 수치로, 부실업체 대부분이 구제되는 등 퇴출 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들 업체에 대한 청문회 결과를 보면 ▲등록말소 12개업체 ▲영업정지 31개(국세체납 3개업체·등록기준 미달 28개업체) ▲과태료부과 6개 업체(하도급 계약 미통지 2개업체·건설기술자 취업 및 퇴직상황 미보고 4개 업체) 등이다. 특히 이중 18개 업체는 허가증을 자진 반납한 것으로 나타나 인위적으로 퇴출된 업체가 절반도 않돼 도가 내린 행정조치 역시 ‘솜방망이’였다는 지적이다. 도 관계자는 “이외에도 현재 우편물 반송으로 인해 공시 송달 청문 공고를 보낸 업체가 33개 더 있다”며 “지금의 방식으로는 등록 기준에 미달된다 하더라도 무조건 퇴출 시킨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최인진기자 ijchoi@kgib.co.kr
수도권지역에 대형유통업체들의 출점이 잇따르면서 지역재래시장이 불황의 늪에서 허덕이는 가운데 몰락위기에 처해 있다. 특히 올 하반기이후 실물체감경기 위축이 가속화되면서 이같은 현상은 더욱 두드러져 존립위기에까지 내몰리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경기도내 모두 63개의 재래시장이 있으나 90년대 들어서면서 백화점, 할인점 등 대형유통업체에 고객을 빼앗겨 점차 자리를 내주면서 지역유통경제의 기형적인 구조변화와 함께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다. 이처럼 중병을 앓고 있는 지역 재래시장의 실태를 파악하고 활성화 방안 등에 대해 알아본다.<편집자 주> ①수원 영동·역전재래시장 ◇지역재래시장 실태 “멀고도 먼 불황의 늪에서 헤어 나올길이 없습니다. 대형유통업체들의 잇따른 출점으로 결국 고래싸움에 새우등만 떠진꼴입니다” 수원 영동시장의 한 상인의 하소연섞인 말이다. 지난 80년대 중반까지만해도 화성·용인 등 경기남부지역에서 최대 상권을 형성, 문전성시를 이루던 수원 지동 및 영동시장일대의 경우 3천여개의 점포가 성업을 이뤘으나 최근 소비격감에 따른 불황으로 어려움을 겪는데다 백화점 및 할인점들의 신규출점이 이어지면서 재래시장의 손님을 급격히 빼앗겨 명맥만 유지하고 있는 상태다. 수원 영동시장내 여성의류를 판매하는 Y업소 이모씨(50)는 “판매량이 줄어든 것은 그렇다치고 오후 6시만 넘으면 사람조차 구경하기가 힘들어 대부분의 업소들이 전기비와 난방비라도 건지기위해 저녁 8시만되면 문을 닫는다”며 “최근 장사가 안돼 주변에 매물로 나온 점포가 부쩍 늘고 있는 상태”라고 말했다. 숙녀복 가게를 하는 김모씨(40·여)는 “지난해에는 그럭저럭 가게를 꾸려갔으나 올들어선 더욱 매출부진에 시달리고 있어 새로운 제품을 갖다놓려해도 팔지않아 엄두도 내지못하고 있다”며 “그나마 재고마저 자꾸 쌓여 걱정이 태산”이라고 말했다. 지난 1945년부터 시장이 형성된 수원 역전시장도 사정은 마찬가지로 노점상을 포함 최고 400여개에 이르던 점포가 현재 절반수준으로 줄어든 가운데 매물로 나온 점포만도 수십여개에 이르고 있다. 한 상인은 한마디로 ‘죽쑨다’는 표현이 가장 적절하다고 서슴없이 표현했다. 상인 강모씨(45·여)는 “서민들의 소비가 계속해서 꽁꽁 얼어붙은데다 백화점 셔틀버스가 동네를 돌아다니며 손님을 싹쓸이해 재래시장의 손님이 다 빠져나간다”며 “연말과 명절때의 시장분위기는 더욱 침체돼 상대적인 박탈감이 더욱 크다”고 말했다. ◇시장 활성화방안 한 유통전문가는 “백화점과 할인점이 급속히 늘어나고 있는 현실을 감안, 재래시장도 변하지 않으면 살아남기 힘들다”며 “외부적인 것인 백화점 및 할인점이 늘어나면서 손님이 줄어드는것으로 이유를 찾지말고 상인번영회 등이 주축이돼 내부적인 자구노력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서비스 및 상품의 질과 가격경쟁력을 갖춰 고객들이 시장을 외면하지 않게해야하며 환경정화, 주차장과 편의시설도 대형유통업체에 비해 뒤질 수 밖에 없는 실정으로 이에 따른 대책마련도 선행돼야 한다”고 밝혔다. 최근 대형백화점과 할인점에 밀려 침체의 늪에서 허덕이자 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상인들이 발벗고 나서고 있다. 수원시 팔달문 일번가 상인연합회(회장 이길상)는 최근 시장기능 활성화를 위해 ▲시장 증축을 위한 법률 완화 ▲재래시장 공영주차장 요금 인하 및 운영권 부여 ▲시장 주변 공공기관의 화장실 개방 등을 경기도와 수원시에 건의했다. 또한 자체적으론 상인회원을 대상으로 서비스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노후한 건물을 보수하는가하면 통행로 정비 등 쾌적한 쇼핑공간 확보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밖에 업소간 정보교환, 축제 등 이벤트 행사를 통해 지속적으로 고객을 확보해 나가기로 했다. 고객 이모씨(40)는 “최근 시장의 깨끗해진 모습과 친절해진 상인들을 보고 놀랐다”며 “고객들의 입장에서 변화한다면 우리정서가 살아 숨쉬는 있는 시장은 변함없는 사랑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자체에서도 쇠락의 길을 걷고 있는 시장의 기능을 활성화하기위해 다각적인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수원시도 시내 각 재래시장의 운영실태·발전계획 등을 조사 평가하고 상인들의 의견을 수렴, 시장 활성화 방안을 추진키로 했다. 경기도는 ▲재래시장 경영현대화 촉진 ▲영세독립점포간 체인화 ▲건전한 공정거래질서 확립 등 ‘지방중소유통업체 대책’을 마련해 추진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도는 내년2월까지 각 시·군별로 민관합동 ‘지방중소유통 대책반’을 구성해 지자체별 구조혁신계획을 수립 추진키로했다. 또한 시장 재개발·재건축을 위해 올해 시장재개발상업자금 310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며 점포시설 개선자금도 5천만원에서 1억원으로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수원시 관계자는 “자본력을 앞세운 대형 유통업체에 맞서 일반시장이 경쟁한다는 것은 역부족으로 그렇다고 무작정 손만 놓고 있으면 경쟁에서 낙오될 수 밖에 없는게 현실”이라며 “대형유통점이 갖고 있지 않는 장점을 최대한 살려 경쟁에서 살아남기위한 자구노력을 게을리 하지 말아야한다”고 말했다. 이길상 수원시 팔달문 1번가 상인연합회장은 “대형유통업체들의 신규출점 가속화로 일반재래시장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엎친데 덮친 격으로 실물 체감경기마저 급속히 냉각, 하루가 다르게 소비심리가 얼어붙으면서 서민경제의 근간이 뿌리째 흔들리고 있다”고 전제했다. 이에 “자체적으로 상인들이 침체된 상권활성화를 위해 자구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한계에 부딪치고 있는 상황으로 시 등 관계당국은 서민경제의 근간인 재래시장이 무너지면 지역 경제에 가장 큰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위기의식을 갖고 활성화 대책 방안 등을 제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승돈기자 sdpark@kgib.co.kr
중소기업청은 3일 중소기업의 정책자금 대출금리를 종전 연 7.5%에서 6.75%로 대폭 인하한다고 밝혔다. 이번 금리인하 조치는 최근 시장금리가 지속적으로 안정화 추세를 보이고 있는데다 재정경제부의 1·4분기 재정투융자특별회계 융자금리가 연 6.5%에서 5.75%로 인하된데 따른 것이다. 금리인하조치 적용대상은 중기청 소관의 창업 및 진흥기금내 융자지원사업을 통해 지원되는 정책자금 일체로서 구조개선자금, 중소·벤처기업 창업자금, 소상공인창업자금, 협동화자금, 입지지원자금, 지방중소기업육성자금 등 11개 자금이다. 또 중소기업진흥공단이 직접대출 또는 융자하는 개발기술사업화자금과 창업투자회사 등의 융자금은 종전 6.5%에서 5.75%로, 부실위험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기업에 지원되는 특별경영안정자금은 종전 8.5%에서 7.75%로 각각 인하된다. 중기청은 이번 대출금리 인하조치로 인해 그동안 정책자금을 지원받은 1만4천여개 중소제조업체의 금리부담이 연간 623억원 경감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이관식기자 kslee@kgib.co.kr
허위 세금계산서를 받아 매입세액을 1천만원 이상 부당하게 공제받은 혐의가 있는 사업자 549명이 국세청의 중점 관리를 받게 된다. 중부지방국세청은 3일 ‘2000년 제2기 부가가치세 확정신고 안내’를 통해 지난해 7∼12월의 사업실적에 대한 부가세 확정신고·납부를 오는 26일까지 받는다고 밝혔다. 국세청은 지난해 상반기중 매입세액을 1천만원이상 환급받은 사업자중 업종·사업규모에 비춰볼 때 부정환급 혐의가 있는 사업자 549명을 선별, 현재 지방청별로 환급 신고내용 등을 정밀 분석하고 있다. 분석결과 부정환급 혐의가 큰 사업자에 대해서는 당사자는 물론 거래처까지 추적조사를 통해 매입세액을 부당하게 환급받은 사업자에 대해 형사 고발 등 강력하게 제재키로 했다. 이와함께 이번 2000년 제2기 확정신고를 받은 뒤에도 신규 고액환급 신고자와 부실세금계산서 수수행위가 빈발하는 업종의 고액환급 신고자에 대해서는 사업이력과 거래처신고 내용을 정밀 분석, 철저히 검증할 방침이다. 이와함께 작년 1기 세금계산서 수수 내용을 전산 분석해 허위 세금계산서를 받은 혐의가 있는 사업자 1만4천명에 대해서도 선별해 세무서별로 조사키로 했다. 또 업소 특성상 신용카드 사용이 저조해 과표 양성화가 미흡한 러브호텔 등 숙박업소와 신고실적이 저조한 변호사와 변리사, 회계사, 세무사, 관세사, 건축사 등 주요 6개 전문직종 사업자에 대해서도 중점 관리키로 했다. 한편 중부청의 이번 부가세 확정 신고대상은 법인 6만7천명, 개인사업자 88만8천명 등 95만5천명이며 전국적으로는 법인사업자 29만명, 개인사업자 343만명 등 372만명에 이른다. /염계택기자 ktyem@kgib.co.kr
구직자가 일일이 고용안정센터나 취업전문기관을 찾아다니지 않고 안방에서 일자리를 찾아볼 수 있게 됐다. 3일 경기지방중소기업청에 따르면 중소기업특별위원회 및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 중소기업진흥공단과 공동으로 오는 8일부터 31일까지 ‘중소기업 인터넷 채용박람회’를 개최한다. 이번 채용박람회는 인터넷을 통해 기업 또는 개인이 구인·구직 등록을 하면 자동시스템을 통하여 구인·구직자가 제시한 요건에 적합한 인력과 기업을 등록자에게 각각 통지해 준다. 그후 별도의 상호면담을 통하여 채용 또는 취업을 결정토록 운영할 계획이며 인터넷 사용이 불가능한 구인·구직자는 경기중기청,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 경기지회 및 중소기업진흥공단 경기지역본부를 통해 등록 및 검색 대행 서비스도 제공한다. 경기중기청은 이번 인터넷채용박람회에 150여개의 중소·벤처기업의 참여를 유도하는 등 전국적으로 500여개의 구인업체를 참여시킬 계획이다. 채용박람회 인터넷 주소는 www.recruitingfair.com 또는 www.recruitingfair.co.kr이며 자세한 문의는 경기중소기업청 경영지원과 (031-290-6935)로 하면 된다. /이관식기자 kslee@kg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