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 성남, 안양 등 대도시 지역금고들의 합병계약이 잇따라 이뤄지고 있는 등 도내 새마을금고의 구조조정 작업이 가속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새마을금고연합회 경기도지부에 따르면 지난해 7월부터 본격적인 구조조정에 돌입, 98년말 265개에 이르던 금고수가 지난 9월말 현재 215개로 줄어들었으며 수원과 안양 등 도내 대부분 지역금고들의 합병계약이 잇따르 있어 내년 2월말까지 150여개 까지 줄어들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수원지역의 경우 N금고와 2개의 Y금고 등 3개금고가 합병계약을 맺은 것을 비롯, B금고와 S금고 등 2개금고, K금고, S금고, 2개의 M금고 등 4개금고, M금고와 P금고 2개 등 모두 11개의 금고가 합병계약을 맺은 것으로 알려졌다. 또 성남시의 경우 2개의 S금고가 합병이사회를 완료한 것을 비롯해 S금고, Y금고, J금고 등 3개금고, 2개의 J금고가 각각 합병계약을 맺었으며 의정부시는 D금고, J금고, H금고 등 3개금고와 K금고, N금고 등 2개금고가 각각 합병계약을 체결했다. 이와함께 의왕시 O금고와 B금고 등 2개금고, 평택시 S금고, J금고, S금고 등 3개금고가 신설 합병계약을 맺은 것을 비롯, 현재까지 도내 40개금고가 합병추진중에 있는 등 도내 대부분 지역에서 이같은 합병작업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오는 20일 이후 해산총회가 잇따라 열릴 것으로 보이며 합병계약 또한 확산될 전망된다. 다만 구조조정 작업이 다소 늦은 안양시와 부천시 등은 아직까지 합병계약조차 이뤄지지 않고 있어 전체적인 구조조정 작업에 차질이 우려되고 있다. 새마을금고 연합회 경기도지부 관계자는 “단계적으로 이같은 합병작업이 완료될 경우 올해안에 200개미만, 내년 2월말까지 금고수 150여개까지 줄여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강경묵기자 kmkang@kgib.co.kr
LG백화점 안산점은 12일부터 14일까지 국전작가 출신의 서예가 호암 오환섭 선생의 친필 수능합격휘호 ‘訓’을 즉석에서 무료로 작성해 준다. 이번에 무료로 제공되는 합격기원훈은 25×60㎝의 화선지위에 효암선생이 고객이 보는 앞에서 직접 붓으로 글을 써넣어 증정하는 방식으로 12일부터 주말 3일간 오후 1시부터 7시까지 희망하는 모든 고객에게 제공된다. 기본적으로 준비된 문장은 ‘진인사 대천명’을 비롯 ‘유지경성’(뜻이 있으면 반드시 끝을 맺으라), ‘자강불식’(내가 강하려면 부단히 노력하라), ‘마광’(연마를 해야 빛이 난다) 등이다./박승돈기자 sdpark@kgib.co.kr
◇경기농협지역본부는 10일 지역본부 회의실에서 작목반원 및 회원농협 직원 7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토양검정 경연대회를 가졌다. 이날 경연대회에서 평택 팽성농협 조남균씨(57)가 최우수상을 차지하는 등 9명이 토양검정 우수자로 선정됐다./정근호기자 ghjung@kgib.co.kr
㈜신도리코는 11월 한달간 고객사은행사를 중심으로 한 ‘신도리코 한아름 대축제’를 시행한다. 이번 행사기간중에 NT4140과 NT2080을 구매한 고객을 대상으로 분당 15매 이상을 출력할 수 있는 복사기로 교환할 경우 최고 90만원까지 할인해 판매하며 신도리코 복사기를 구매할 경우 구입가의 50%를 12개월 무이자할부판매 한다. 또한 1년간 복사용지를 제외한 모든 소모품, 부품, A/S의 무상제공이 이뤄지며 경품추첨을 통해 복사기 구매가 전액환불, 팩시밀리 증정 등 푸짐한 경품행사도 벌일 예정이다. 신도리코의 한 관계자는 “이번 고객사은 대잔치를 통해 그동안 지속돼온 복사기 시장점유율 1위의 자리를 확고히 지켜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박승돈기자 sdpark@kgib.co.kr
경기·인천지역의 어음부도율이 안정세를 찾고 있다. 10일 한국은행 수원·인천지점에 따르면 지난 10월중 경기지역 어음부도율은 0.3%로 전월 0.24%보다 0.06%포인트 상승했으며 인천지역도 0.42%로 전월 0.41%보다 0.01%포인트 증가하는데 그쳤다. 경기지역의 경우 부도업체수가 54개로 전월 49개보다 5개가 증가했으며 기업규모별로는 중소기업 부도업체가 31개로 전월보다 8개가 늘어난 반면 개인업체는 25개에서 23개로 줄어들었다. 인천지역의 업종별 부도액은 제조업이 95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금융업(58억원), 자동차·운수장비업(47억원), 도·소매업(12억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수원과 인천지역 신설법인수는 47개와 192개업체로 꾸준히 창업이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정근호기자 ghjung@kgib.co.kr
대우채환매 80%확대 첫날인 10일 우려했던 대규모 환매사태는 일어나지 않은 가운데 투신·증권업계는 평온한 분위기를 보였다. 10일 투신·증권업계에 따르면 이날부터 대우채에 대해 80% 환매에 들어갔으나 내년 2월8일까지 기다릴 경우 대우채 원리금의 95%를 보장 받을 수 있어 고객들이 환매를 자제, 대부분의 투신·증권사 객장은 평소와 다름없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투신업계는 대우채권이 편입된 공사채형 펀드의 주식형전환과 하이일드펀드로의 전환 등 각종 대체상품 판매에 주력, 당초 우려했던 대량 환매사태는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금융감독원은 이날 오후 3시 현재 한국·대한투신 등 대형 7개 투신·증권사의 환매추이를 집계한 결과 환매지급액은 2조3천458억원으로 평소(7천290억원)에 비해 1조6천여억원 증가했다고 밝혔다. ○…대우채 환매로 인한 금융대란의 진원지였던 투신사들은 그동안 대우채 환매에 대비해 유동성 비축과 대체신상품 발매 등으로 분주하게 이날을 준비, 당초 우려와는 달리 평온한 분위기에 안도의 한숨. 다만 각 투신·증권사 영업점으로 환매가능여부 확인과 신상품내역에 대한 고객들의 문의전화가 평소보다 2배이상 쇄도. ○…LG증권 동수원지점 관계자에 따르면 “투신사에 비해 대체상품으로의 전환은 10분의1에도 미치지 못하는 등 미비한데도 걱정했던 환매사태는 일어나지 않은 것은 물론 실제 환매요구 자체가 거의 없었다”며 “내년 2월까지만 기다리면 원리금의 95%를 받을 수 있다는 점이 고객들의 환매자제의 가장 큰 원인”이라고 말했다. ○…대한투자신탁 남문지점 관계자는 “지난 환매때 각 영업점마다 대기인원수가 밀려 복잡했던 것과는 달리 차분한 분위기를 연출했다”며 “투신사의 경우 주식형전환 등 대체상품으로의 전환비율이 70%수준에 달하는 등 실제 환매대상 고객의 비율이 줄어든 것도 대량환매가 일어나지 않은 원인으로 생각된다”고 밝혔다. /강경묵기자 kmkang@kgib.co.kr
경기도내 아파트 전세가격이 9월초 이후 두달째 보합세를 유지하고 있다. 이는 가을철 예상됐던 이사수요가 그다지 많지 않은데다 상반기부터 계속된 물건 부족현상이 어느정도 해소됐기 때문이며 특히 일부 지역에서는 하락현상까지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경기도내 부동산중개업소들에 따르면 매달 1천만∼2천만원씩 오르던 성남 분당신도시 정자동 정든동아아파트 37평형 전세가격은 1억3천500만∼1억4천만원선으로 지난 8월말(1억2천500만∼1억3천500만원선)에 비해 최고 1천만원 정도 오르는데 그쳤다. 지난 여름 전세가 상승을 주도했던 고양 일산신도시 지역의 경우 탄현동 건영아파트 27평형은 지난 9월중순 형성됐던 5천500만∼6천만원선에서 계속 거래되고 있으며 마두동 백마금호아파트 31평형 전세는 8천500만∼9천500만원으로 지난 8월말 이후 500만원 정도 올랐다. 평촌신도시 무궁화진흥아파트 31평형은 8천500만∼9천만원선으로 지난 8월말 전세가격이 그대로 거래되고 있으며 군포 산본신도시 화성아파트 38평형 전세가격도 지난 9월초의 9천만∼9천500만원선과 변동이 없다. 오히려 일부 아파트 전세가격은 조금 떨어져 분당신도시 구미동 동아제일아파트 38평형의 경우 지난 8월말 1억3천만∼1억5천만원선으로 오른 뒤 변동을 보이지 않고 있다가 최근 1억3천만∼1억4천만원선으로 하락했다. 수원 영통지구 청명동신아파트 37평형도 지난 6월 7천500만원에서 지난 8월 1억원으로 뛰었지만 9월초부터 오히려 가격이 떨어져 현재는 9천만∼9천500만원선에 거래되고 있다./유재명기자 jmyoo@kgib.co.kr
지난 5월 이후 늘어났던 경기지역의 미분양 아파트 물량이 8월을 고비로 줄어들고 있다. 10일 경기도에 따르면 지난해말 1만9천181가구였던 도내 미분양 아파트 물량이 지난 5월말 1만4천721가구로 줄어들었다가 신규 공급물량의 증가와 맞물려 다시 늘어나기 시작, 8월말 1만7천518가구를 기록했다. 이후 감소추세로 돌아서 10월말 현재 미분양 아파트수는 1만4천626가구로 지난 5월 수준을 회복했다. 미분양 아파트가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것은 10월들어 가구당 2천만∼4천만원이던 아파트 중도금 대출규모가 3천만∼5천만원으로 확대된데다 금리도 연리 12%에서 8.5%로 낮아져 아파트 구입자금 마련이 용이해졌기 때문이다. 게다가 민영주택 재당첨 제한기간(2년)이 폐지된 5월 이후 쏟아졌던 아파트 공급물량이 9월이후 줄어든 것도 미분양 아파트를 줄이는 데 한몫을 한 것으로 도는 분석하고 있다. 그러나 올해 공급목표인 11만5천가구(단독·다세대 포함)가운데 15%에 해당하는 1만7천500여 가구분이 미공급인 채로 남아있어 연말 미분양 아파트 증감추세의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유재명기자 jmyoo@kgib.co.kr
그린벨트 해제 방침 발표이후 땅값 상승 등 개발 기대심리가 확산되면서 그린벨트 땅주인들이 농지임대를 꺼림에 따라 임차농들이 농사지을 땅을 확보하지 못하고 불안해하고 있다. 이같은 현상은 그린벨트 해제예상 지역인 고양, 하남 등에서 쉽게 찾아 볼 수 있으며 일부 임차농들은 재계약을 하지 못하고 다른 곳으로 이주하거나 영농을 아예 포기하고 있다. 10일 도내 그린벨트 지역 임차농들에 따르면 그린벨트 완화발표 이후 땅주인들이 그동안 3∼5년으로 장기계약하던 것을 1년으로 줄이는 단기임대 위주로 전환하고 있으며 그린벨트 해제이후 손쉽게 팔기 위해 시설물 철거를 요구하고 있다. 또한 임대료 인상이나 직접 농사를 짓겠다며 땅을 비워주도록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그린벨트내에서 농지를 임대해 농사를 짓는 경우 대부분 고정투자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시설채소나 시설화훼를 하기 때문에 단기 임대차 조건으로는 지속적인 영농보장이 되지 않아 어려움이 많고 시설물 철거 또한 엄두도 내지 못하고 있다. 이에따라 임차농들이 다른 곳으로 이주하려해도 마찬가지 실정으로 임대농지조건이 까다로워 영농을 포기해야 하는 지경에까지 이르고 있다. 고양에서 농지를 임차해 화훼농사를 하는 김모씨(45)는 “그린벨트 해제가 예상되자 땅주인이 농지위의 비닐하우스를 철거하는 조건으로 재계약을 요구해 왔다”며 “시설하우스를 하는 농업인이 시설철거를 하라는 것은 임대차재계약을 하지 않겠다는 것으로 볼 수 밖에 없다. 다른 농지를 임차하기 위해 여러 곳을 알아보고 있지만 여의치 않아 걱정이 태산”이라고 밝혔다. 하남에서 5천여평을 임대해 상추를 재배하는 신모씨(39)도 10여년이 넘도록 농사를 지어온 하우스를 올해말까지 철거해 줄것을 요구하는 땅주인 때문에 난감해 하고 있다. 임차농들은 “그동안 땅주인들의 특별한 요구가 없어 농사에만 전념을 할 수 있었으나 그린벨트 해제 방침 발표이후 무리한 요구가 많아 영농에 어려움이 많다”며 “그린벨트 해제지역의 임차농들을 위한 정부의 지원 등 대책마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정근호기자 ghjung@kgib.co.kr
LG백화점은 기존제품을 중고가격으로 처분하면서 저렴하게 신제품을 구입할 수 있는 보상교환판매를 대대적으로 실시한다. 구리·안산·부천점은 오는 25일까지 압력솥을, 구리점은 15일부터 18일까지 가습기를, 부천점은 12일부터 18일까지 신사정장 및 겨울코트를 보상 및 교환 판매한다. /박승돈기자 sdpark@kg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