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실업률 4.1% 전망 실업자 10만명 증가

정부는 11.3 부실기업 퇴출 판정과 겨울철요인으로 10만명의 실업자가 발생해 12월 실업률이 4%를 넘을 것으로 전망했다. 재정경제부는 13일 내놓은 ‘최근의 경제동향’ 자료에서 12월 실업자는 90만명, 실업률은 4.1%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는 9월 실업자수 80만명보다 10만명이 증가하고 실업률은 3.6%에서 0.5% 포인트나 상승한 것이다. 재경부는 부실기업 퇴출로 5만명, 겨울철 건설 일용직의 실직 등 계절적 요인으로 5만명의 실업자가 발생할 것으로 추정했다. 재경부 관계자는 “11.3 기업구조조정에 따른 예상 실업자 5만명에는 52개 퇴출기업의 실직자 2만7천명외에 대우차 부도로 인한 실직자도 포함됐다”며 “올해 연간 평균 실업률은 당초 목표치 4% 내외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재경부는 10월과 11월 집중적인 기업·금융 구조조정으로 소비·투자심리가 과도하게 위축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연말까지 과감한 구조조정으로 경제의 불확실성을 제거해 소비·투자심리를 회복시키고 경기 연착륙을 유도하기로 했다. 재경부는 이와 함께 세계에너지연구소(CGES) 등의 분석을 인용, 국제원유가가 당분간 배럴당 30달러(브렌트유 기준) 내외에서 등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2001년에는 2·4분기 이후부터 수급불안이 해소되면서 연평균으로는 25달러 내외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연합

[테마]실속재테크-금리변동과 투자수익율

금리가 끝없이 추락하고 있다. 금리의 폭락이 급반등으로 이어질 수 도 있다는 전망도 있지만 여전히 금리가 계속 하락하는 추세라는 공감대가 널리 퍼져 있다. 금리란 무엇인가? 금리는 돈의 가치이며 그 가치는 보통 백분율(%)로 표시된다. 금리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돈을 쓰고자 하는 사람이 많으면 오르고 적으면 낮아지는 특성이 있다. 이에 따라서 금융상품의 수익률도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금리의 변동을 잘알고 있어야 어떤 금융상품을 고르는게 유리한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금리의 대표격인 3년 만기 국고채나 콜금리를 관심있게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먼저 은행의 경우를 살펴보자. 은행은 대부분 확정금리형 상품을 취급하며 크게 고정금리형과 금리연동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금리상승기에는 고정금리형보다는 금리연동형 상품에 가입하는 것이 좋다. 금리연동형은 특정기간이 지나면 적용금리를 실세금리로 바꾸기 때문에 금리 상승분을 그만큼 반영할 수 있다. 반대로 금리 하락기에는 시중금리가 내려가더라도 가입시 확정된 높은 금리를 계속 받을 수 있는 고정금리형상품이 좋다. 투신사나 증권사의 경우는 은행과는 달리 모든 상품이 실적배당상품이다. 즉 채권이나 주식에 투자한 후 거기에서 나오는 이익을 투자자에게 돌려준다. 이중 채권형은 금리변동이 수익률을 좌우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금리와 채권의 수익률은 역관계에 있다. 금리가 하락할 경우에는 채권의 수익률이 그만큼 상승하지만 반대로 금리가 상승할 경우에는 채권의 수익이 하락한다. 즉 채권형펀드를 가입할 최적기는 금리 하락기다. 조금만 관심을 갖고 신문기사나 뉴스를 보면 금리 움직임의 방향에 관한 정보를 쉽게 구할 수 있다. 금융상품에 가입할 때 금리를 알고 투자를 하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은 수익률에서 많은 차이가 난다. <이경배 제일투신증권 수원지점장>

경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