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실금 수술 전 요역동학 검사 중요해"

요실금 수술 전 진단을 위해 시행하는 요역동학 검사가 불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증상만으로 요실금 수술을 시행할 경우 10명 중 2명은 실패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돼 관심을 모으고 있다. 요역동학 검사는 요도를 통해 방광 안으로 가는 관을 삽입한 후 식염수를 서서히 주입하다가 피검사자가 소변이 마려우면 배뇨를 하도록 하는 과정에서 방광과 요도의 기능을 기록하는 방법이다. 이 검사는 환자에게 고통을 주고, 요실금 수술을 망설이게 하는 주요 원인이라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논란이 됐었다.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비뇨기과 정성진이상은 교수팀이 복압성 요실금 환자에게 수술 전 요역동학 검사가 필요한지 알아보기 위해 지난 2003년 5월~2010년 6월까지 이 병원에서 요실금 증세로 요역동학 검사를 받은 1천19명을 분석한 결과, 211명만이 순수 복압성 요실금 증세를 보였고, 이 중 요역동학 검사에서 순수 복압성 요실금으로 진단된 경우는 79.1%, 20.9%는 요실금 수술 성공률을 저하시킬 수 있는 배뇨근과반사, 방광출구폐색, 배뇨근저반사 등이 동반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압성 요실금은 분만이나 임신 등의 이유로 요도 주위를 받쳐 주는 근육이나 인대가 불안해 지고 일부가 손상되어 웃거나 재채기, 뜀뛰기 등과 같이 복압이 갑자기 증가할 때 본인의 의지와 상관없이 소변이 나오는 증상을 말한다. 정성진 교수는 요실금 수술은 수술 후 환자가 느끼는 만족도가 수술 성공 여부를 결정하는데 크게 작용하는데, 복압성 요실금 이외에 다른 방광과 요도의 이상이 혼재된 경우에는 요실금 수술을 하더라도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기 힘들 수 있다며 요역동학 검사는 방광과 요도의 다른 이상을 미리 판단하여 적절한 치료법을 찾는데 매우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요실금 관련 국제학술지인 Neurourology and Urodynamics 4월호에 게재됐다. 성남=문민석기자 sugmm@kyeonggi.com

비타민D 너무 많아도 건강에 해롭다

혈액 내 농도 높을 때 사망 위험도 높아져 칼슘의 체내 흡수를 도와주고 심장질환, 우울증, 유방암, 전립샘암 등 각종 질병을 예방해주는 비타민D. 이렇게 몸에 이로운 비타민D이지만 너무 많으면 오히려 건강에 해로우며 심지어는 사망 위험도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덴마크 코펜하겐 대학 연구팀은 코펜하겐 시민 24만 7574명을 대상으로 혈액 샘플을 채취해 조사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코펜하겐 시민의 4분의 1을 대상으로 이뤄진 이번 연구에서 비타민D의 수치가 낮은 사람들이 높은 사망률을 보인 것과함께 놀랍게도 비타민D 수치가 높은 사람들에게서도 높은 사망률이 발견되었다는 것이다. 이번 연구는 비타민D의 효능에 대한 것으로는 사상 최대 규모로 이뤄진 것이다. 조사 결과 혈중 비타민 D 농도가 리터당 50나노몰(10억분의 1) 일 때 사망률이 가장 낮았다. 이에 비해 비타민D가 결핍될 경우, 즉 그 농도가 10 이하일 때는 사망률이 2.31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비타민D가 너무 많을 경우인 140 이상일 때에도사망률이 1.42배 더 높았다. 비타민D의 과소와 과다 모두 건강에 해로운 것으로 나타난것이다. 연구팀은 비타민D가 과도하게 높을 경우 사망률이 왜 높아지는지 정확한 이유는알 수 없지만 추가 연구를 통해 원인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면서도 아무리 비타민D를 많이 섭취해도 해롭지 않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반박할 만한 근거가 될 것이라고말했다. 이 같은 연구 결과는 임상 내분비대사학 저널(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and Metabolism)에 실렸으며 30일 메디컬뉴스투데이가 보도했다.

소화 돕는 섬유질 많은 음식 7가지

견과류, 양파, 키위, 사과 등에 영양분 가득 섬유질이라는 이야기를 들으면 누구나 소화에 도움을 주는 몸에 좋은 영양소로 생각을 한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일반인들이 잘 모르는 또 다른 장점이 섬유질에는 많이 있다고 말한다. 영양사이며 미국 식이요법학회 대변인 카렌 앤셀은 "섬유질은 배부른 느낌을 오래 가질 수 있게 하여 당뇨병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다"면서 혈당을 조절하고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도 낮춰준다고 한다. 섬유질의 영양상 장점을 얻기 위해서는 1,000칼로리를 섭취할 경우 14g 정도 포함해야 하므로, 대체로 하루 24~40g을 섭취해야 한다. 그러나 대부분 권장량을 채우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가 먹는 식사에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을 추가하면 쉽게 해결할수 있다. 미국 인터넷 매체 허핑턴포스트는 29일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들을 소개했다. ◆ 견과류 영양사 제시카 크랜달은 "사람들은 섬유질을 많이 가진 음식으로 항상 채소와 과일들만 생각하는데 견과류도 그에 못지않다고 말한다. 아몬드 1/4 컵에는 4g의 섬유질이 있다. 또한 견과류는 종류에 따라 각각 다른 영양분을 가지고 있으므로한 가지만 고집하지 말고 여러 가지를 먹는 게 좋다고 한다. ◆ 얼린 완두콩 냉동 완두콩은 사람들이 지나치기 쉬운 섬유질 저장고라고 할 수 있다. 앤셀은삶은 완두콩한 컵에는 4g의 섬유질이 있어 가장 손쉽게 섭취할 수 있다고권한다. ◆ 치아씨 고대 아즈텍인들이 주식으로 삼았던 치아씨는 수용성과 불용성 섬유질을 함께갖고 있어 섬유질의 훌륭한 공급원이다. 치아씨 1작은스푼에는 6g의 섬유질이 들어있다. 치아씨를 아이스티나 음료에 30분 정도 불려서 먹으면 더욱 좋다. 요구르트, 오트밀, 밥, 샐러드에 섞어도 된다. ◆ 양파 중간 크기 양파에는 2g의 섬유질이 있다. 양은 많지 않아도 좋은 종류이다. 양파에있는 다당류인 이눌린은 수용성 섬유질로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준다. 이눌린은 섬유질 보충제에 추가되지만 양파, 아스파라거스, 파 등은 자연적인 공급원이라고할 수 있다. ◆ 불구르 섬유질을 섭취할 수 있는 곡물로는 밀이 가장 좋다. 밀은 한 컵에 섬유질이 8g 들어 있다. 따라서 밀을 쪄서 빻은 불구르를 샐러드나 스프에 넣어서 먹으면 쉽게 배가 부르고 포만감을 오래 가질 수 있다. ◆ 키위 달콤하고 톡 쏘는 과일 키위에는 2g의 섬유질이 있다. 가방에 몇 개 넣고 다니면오후 간식으로 훌륭하다. 하루에 필요한 섬유질의 양도 채울 수 있다. 딸기류도 비슷한데, 특히 라스베리는 한 컵에 8g의 섬유질이 들어 있다. ◆ 사과 사과는 섬유질의 가장 기본적인 공급원이다. 섬유질이 3g 이상이면 좋은 음식인데,사과는 4g을 가지고 있다. 하루에 사과 하나를 먹는 것은 섬유질의 하루 권장량을 얻는데 도움이 된다.

일주일 이틀 이상 야근 여성, 유방암 조심!

야간 조명 노출로 생체 호르몬 이상 불러 야근을 자주 하는 여성이라면 특히 유방암을 조심할 필요가 있을 듯하다. 야간교대 근무를 하는 여성들에게서 유방암 발병 위험이 더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기 때문이다. 덴마크 연구팀의 이번 연구에 따르면 일주일에 이틀 이상 야간 근무조로 일하는 여성의 유방암 발병률은 주간 근무조로 일하는 여성에 비해 훨씬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야근을 하면서 아침 일찍 일어나는 아침형 인간의 여성들은 올빼미형보다 더욱 유방암 발병 위험이 높았다. 야간에 조명에 노출되는 것이 생체 호르몬의 이상을 불러와 이 같은 위험을 키우는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위해 1990년에서 2003년 사이에 암에 걸려 2005~2006년까지 생존해 있는 여성들 210명을 인터뷰했다. 이들 여성들과 유방암에 걸리지 않은 899명의 여성들을 비교하는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이들 두 그룹의 여성들은 근무 패턴, 일광욕 습관이 있는지, 아침형 인간인지 올빼미형 인간인지 등의 설문에 응했다. 그 결과 야간 교대근무를 했던 여성들이 하지 않은 여성들보다 유방암이 발병할 위험이 40%나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소 6년 동안 일주일에 3일 이상 야간 교대근무를 한 여성의 경우에는 유방암 발병률이 50%나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아침에 일찍 일어나는 사람들은 야간 교대근무를 하지 않는 사람에 비해 4배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반면 밤에 늦게 자는 올빼미형은 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의 조니 한센 박사는 야근이 일주일에 이틀 이내라면 생체 시계에 혼란을 가져오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그는 야근이 몇 년간 계속된다면 생체시계와 수면 패턴을 혼란스럽게 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연구팀은 야근에 따른 유방암 발병률 증가가 멜라토닌(melatonin) 생산 억제와 관련 있는 것으로 추정했다. 멜라토닌은 수면패턴을 통제하고 종양 발생을 억제하는 호르몬으로, 밤 9시부터 아침 8시 사이에 뇌의 송과선(松果腺)에서 분비되는데 야간에 빛에 노출되면 생체시계가 혼란을 일으켜 제대로 분비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야근조이면서 아침형 인간이 올빼미형보다 유방암 발병률이 높은 것도 생체 시계가 손상되었을 위험이 더욱 크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최근 다른 연구들에서도 야근에 따른 생체 시계의 교란, 그로 인한 호르몬 생산체계의 이상이 밝혀진 바 있다. 이번 결과는 직업 및 환경 의학(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저널에 실렸으며 29일 영국 일간 데일리메일이 보도했다.

“소변으로 골다공증 조기진단 가능”

동위원소 변화로 골밀도 변화 알아내 중년 여성들을 괴롭히는 골다공증. 골다공증이 심각한 것은 이미 뼈가 많이 약해진 후에야 방사선 촬영 등을 통해서 진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골다공증을 조기에진단할 수 있는 방법이 미국 항공우주국(NASA)과 애리조나 대학 연구팀에 의해 개발되었다. 현재 쓰이고 있는 엑스레이 촬영 진단은 골다공증이 진전된 후에야 할 수 있는데다 방사선에 노출된다는 단점이 있어 의료계에서는 조기에 더욱 안전한 방법으로 골다공증을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 왔다. 미 항공우주국도 우주조종사들이 무중력상태에서 뼈의 소실을 겪는 경우가 많아 골다공증 조기 진단에 관심을 가져왔다. 나사와 애리조나 대학 연구팀이 이번에 개발한 방법은 소변 속 칼슘 동위원소의 미세한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골다공증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칼슘 동위원소가 약간씩 다른 속도로 반응하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건강한 사람은 뼈의 생성과 파괴가 균형을 이루지만 골다공증에 걸리면 이 같은 균형이 깨져 동위원소비가 변하게 되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소변 샘플을 분석한결과 이 방법이 기존의 진단법에 비해 골밀도 변화를 훨씬 조기에 진단해 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를 이끈 애리조나 대학의 화학 및 생화학 교수인 아리엘 앤바 교수는 이 방법을 사용하면 인공추적자(artificial tracers)를 주입할 필요도 없고 방사선에 노출되지도 않는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이번 주 PNAS지에 발표될 예정이며 29일 메디컬뉴스 투데이가 보도했다.

아이들 신체 활동 늘리기, 친구가 최고!

적극적인 친구와 어울리면 자신도 맞춰서 변해 아이들은 친구들과 어울려 뛰어다니다 보면 성격도 적극적으로 바뀌고 활동적이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내시빌 밴더빌트 대학 연구팀은 친구들 사이의 우정이 아이들의 신체 활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해 2010년 봄 다문화 학생들이 다니는 공립학교학생 81명을 대상으로 조사했다. 학생들의 나이는 5~12세였고 모두 방과 후 교실수업에 참석했다. 연구팀은 방문 때마다 아이들에게 가장 친한 친구가 누군지 물어봤다. 이어서 아이들의 신체 활동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벨트에 조그만 가속도계를 달았다. 아이들의방과 후 프로그램에서 자유시간은 전체 수업시간의 30% 정도였는데 이때 가속도계에 측정된 수치를 중간부터 활발한 활동까지 나눠서 계산했다. 아이들은 달리기나 활동적인 게임 등을 했다. 그 결과 아이들은 친구가 활동적인지 아닌지에 따라 관계를 잇거나 끊거나 하지는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대신 친구들의 활동성 정도에 따라 자기들의 활동 수준을 친구들과 비슷하게 바꾸려고 하는 것이었다. 즉 적극적인 친구와 친하게 되면 적극적으로움직이고, 소극적인 친구와 어울리면 활동도 소극적으로 된다는 것이다. 연구를 이끈 사비나 게셀 연구원은 아이들은 끊임없이 자신들의 활동 수준을 친구들과 비슷하게 맞추려고 노력한다고 밝혔다. 또한 이번 조사는 아이들이 과거보다 앉아서 보내는 시간이 훨씬 더 많고, 운동을안 해 비만이 늘고 있는 추세에서 좀 더 활동적으로 만드는 조치를 마련하는 근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게셀 연구원은 덧붙였다. 이 같은 내용은 28일 소아과 저널에 실렸고 같은 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따가운 햇살에 피부 보호하는 음식 9가지

후추, 여름호박, 토마토 등 피부 보호제 성분 듬뿍 따가운 햇살이 피부를 상하게 하는 계절이다. 외출을 삼가거나 야외에 나갈 때마다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지만 그래도 피부 손상을 피할 수는 없다. 자외선 차단제도좋지만 피부를 햇살로부터 보호하는 데 좋은 음식도 함께 섭취해 보자. 우리가 일상에서먹는 음식들 중에는 햇살과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지켜주는 음식이 꽤 있다. 27일 미국 폭스 TV뉴스가 소개한 햇볕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해 주는 음식 9가지다. 다양한 후추가루 빨간색, 노란색, 오렌지색 후추가루는 보기에도 좋지만 카로티노이드라는 천연색소가 들어 있다. 이 성분은 항산화제로 인체에서 비타민A로 전환돼 피부 세포의 얇은 지질(脂質)층이 손상되는 것을 막아준다. 노란색 여름 호박 노란색 여름 호박을 산적 요리나 꼬치 요리로 하거나 샐러드로 먹어라. 이 호박의 밝은 색상 역시 카로티노이드에서 나오는 것이다. 잘 익은 붉은 토마토 토마토 같은 붉은색 과일에는 라이코펜(lycopene)이라는 천연 색소가 풍부하다. 역시 항산화제로 피부 보호에 효과적이다. 수박 같은 붉은색 과일인 수박에도 라이코펜이 다량 함유돼 있다. 녹차 녹차는 혈관 기능 개선, 암 예방에도 도움이 되지만 자외선으로부터 피부 세포를 보호하는 데에도 좋다. 폴리페놀 카테킨이라는 항산화 성분이 이 같은 효능을 낸다. 매일 녹차를 마시면 좋다. 코코아 코코아는 아마도 물 다음으로 가장 건강에 좋은 슈퍼푸드라고 할 수도 있다. 코코아에는 무려 712가지의 성분이 들어 있는데 항산화제와 피부 보호제가 많다. 다크초콜릿, 유기농 코코아를 마음껏 먹어라. 각종 딸기류 블루베리, 체리, 포도 등에는 안토시아닌(anthocyanin)이 풍부하다. 안토시아닌은 항산화물질 중에서도 가장 강력한 효과를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강황 뿌리 카레 재료인 강황 뿌리에는 커큐민(curcumin) 성분이 들어 있는데, 항염 작용, 면역력 개선, 뇌 활동 촉진 등의 효능과 함께 피부 보호제 역할도 한다. 지느러미가 있는 생선 오메가3 지방산이 들어 있는 생선은 건강에 두루 좋은 음식이면서 역시 피부 보호에 좋다.

초콜릿 먹으면 늙는 것 예방한다고?

산화방지 플라바놀 성분 20배 키운 초콜릿 조제 초콜릿을 먹으면 노화가 방지되는 길이 열릴까? 영국 캠브리지 대학의 연구팀이 초콜릿을 노화 방지제로 만들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영국 일간 데일리메일이27일 보도했다. 캠브리지 대학 생물공학 전문 연구소인 라이코텍(Lycotec)의 연구진들은 보통 초콜릿에 비해 코코아 플라바놀(flavanol)의 효능을 20배 더 키운 조제 초콜릿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플라바놀은 피부 산화를 개선시켜 주는 분자로, 노화를 늦춰주는 데 필수적인 물질이다. 연구진은 코코-라이코솜(Coco-Lycosome)이라고 명명한 물질이 플라바놀 효능을 키워준다고 설명하고, 이 조제 초콜릿을 한 조각만 먹어도 시중에 판매되는 초콜릿 두 개를 먹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고 말했다. 라이코텍 설립자인 이반 페타예프 박사는 초콜릿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날마다 초콜릿을 두 개씩 먹는 걸 즐기겠지만 좋아하지 않는 사람들도 있다면서 초콜릿을 좋아하지 않는 사람들도 이제 자신의 식습관을 바꾸지 않으면서도 플라바놀 성분의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고 말했다. 라이코텍 연구진은 자신들의 조제 초콜릿은 초콜릿의 맛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안전성에도 문제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영양학자인 캐리 럭스턴은 이 같은 연구결과에 대해 더욱 많은 입증 근거가 필요하다고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그는 플라바놀 성분이 흡수가 잘안되는 성분이라는 것은 맞으며 연구진이 이에 착안한 것은 현명했다면서도 그러나 좀더 확실한 임상 결과가 나와야 하며 초콜릿을 많이 먹으면 칼로리와 포화지방이 늘어날 것이라는 우려는 여전하다고 지적했다.

분당서울대병원, '우주에서의 안압 변화' 최초 입증

안압은 24시간을 주기로 일정한 패턴을 가지면서 변하는데, 이러한 일중변동에 중력이 관여한다는 것을 국내 의료진이 최초로 입증했다. 안압이란 안구 내부의 일정한 압력으로 안내압이라고도 말한다. 안구방수의 분비, 눈방수유출(안구방수유출)에 대한 저항, 상공막정맥압에 의해 결정된다.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안과 우세준 교수와 정기영 공군 항공우주의료원장은 무중력 상태에서 안압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한국인 최초의 우주인 이소연 씨에게 안압을 측정하는 방법을 교육한 후 우주비행을 하기 전 지상에서 하루 6회씩 4일간 안압을 측정하게 하고, 우주 비행 중 무중력 상태에서 하루 6회씩 8일간 안압을 측정하게 해 그 데이터를 분석했다. 그 결과, 이씨 안압은 지상에서 평균 13.0mmHg (21mmHg 이하가 정상)로, 아침에는 안압이 높고, 저녁에는 낮은 일중변동을 보였는데, 무중력 상태인 우주에서는 평균 26% 안압의 상승이 8일간 지속되었고(평균 16.5mmHg), 아침 보다 오히려 저녁 안압이 높은 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세준 교수는 중력은 머리 쪽의 체액을 다리 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머리 부위의 정맥압을 낮추어서 안구의 압력을 낮춰주는 역할을 하는데, 무중력 상태에서는 이 같은 중력의 역할이 없어서 평균 20~30% 안압이 높아진다.며 이 때문에 정상 범위 보다 높은 안압을 가진 사람이나 녹내장 환자의 경우 장시간 우주 여행을 하게 되면 녹내장성 시신경 손상으로 인해 시력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무중력 상태인 우주에서 안압의 일중변동을 측정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 이 연구는 실험 당시부터 많은 관심을 받았었다. 이 연구는 세계적인 안과의학 전문지인 Journal of glucoma에 게재 되었다. 성남=문민석기자 sugmm@kyeonggi.com

문화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