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 추가 인선 5명 발표
박근혜 정부 내각ㆍ청와대 주요 인선 등 포진
“국정철학 공유ㆍ전문가”… 일부선 “코드 인사”
박근혜 대통령의 대선주자 시절 싱크탱크였던 국가미래연구원이 새 정부 인재풀로서의 위력을 보이고 있다.
특히 이들은 모두 새누리당 대선 기구인 국민행복추진위원회에서 활동했던 인물들이기도 하다. 국정 철학을 공유하는 전문가들을 인선했다는 평가와 ‘코드 인사’라는 시각이 서로 엇갈리고 있다.
박 대통령이 14일까지 발표한 내각 및 청와대 주요 인선 중 미래연구원 출신은 모두 9명이다. 이날 발표한 최문기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후보자와 한만수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도 미래연구원에 적을 뒀다. 내각 장관급 인사 중 5명이, 청와대 수석 및 비서관 중 4명이 미래연구원 출신이다.
박 대통령과 함께 발기인으로 참여했던 미래연구원 인사는 총 78명으로 그 중 10% 이상이 박근혜 정부 출범과 함께 요직에 포진한 셈이다. 앞으로도 외청장 등 인선이 남아있어 추가 발탁 사례가 나올 가능성도 있다.
미래연은 외교·안보, 법·정치, 거시·금융, 재정·복지, 국토·부동산, 교육·노동, 문화예술, 여성, 과학기술 등 13개 분과로 구성돼 있다.
이 가운데 10명의 멤버로 구성된 외교·안보분과에서만 류길재 통일부 장관, 윤병세 외교부 장관, 홍용표 청와대 통일비서관 등 3명이 배출됐다.
또한, 법·정치분과에서 활동했던 곽상도 변호사와 한만수 이화여대 교수도 각각 청와대 민정수석, 공정거래위원장에 발탁됐다. 재정·복지분과 멤버였던 최성재 서울대 교수는 청와대 고용복지수석으로 일하고 있다.
이와 함께 국토분과 출신으로는 서승환 국토해양부 장관이, 여성분과 출신으로는 정영순 청와대 여성가족비서관이 있다. 최문기 미래부 장관 후보자는 과학기술분과 출신이다. 여기에 서초동 예술의전당 사장에 임명된 고학찬 윤당아트홀 관장 역시 미래연구원 회원으로 활동했다.
반면, 박근혜 정부 장·차관 인사들 가운데 경기·인천 지역 출신은 1∼2명에 그치고 있다.
이처럼 박근혜 정부가 미래연과 행추위가 각 분야 전문가들로 구성됐다는 점에서 전문성을 중시한 인사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코드 인사’라는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해 윤창중 청와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인선은 전문성을 중시했다”라면서 “공정거래위원장 역시 경력을 보면 전문성이 잘 갖춰져 있다”라고 인선배경 이유를 설명했다.
강해인기자 hikang@kyeonggi.com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