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시 인사

◇7급 전보 ▲총무과 정영권 ▲가정복지과 최수영 ▲공영개발과 김정회 ▲건축과 정홍덕 ▲회계과 송수강 ▲환경보호과 김훈원 ▲농축산과 최순태 ▲지역경제과 김대규 ▲〃 김영임 ▲청소과 조인수 ▲세정과 백남문 ▲문화광관과 최창선 ▲팽성읍 이재학 ▲도시과 오택중 ▲송탄출장소 김명현 ▲〃 공재영 ▲〃 김정수 ▲〃 배점호 ▲〃 유흥열 ▲〃 이순덕 ▲안중출장소 김재순 ▲〃 박승호 ▲〃 신순철 ▲의회사무국 김이배 ▲여성회관 김필대 ▲통복동 이종관 ▲〃 박대장 ▲신평동 박철환 ▲원평동 오인석 ▲운동장관리사무소 안광락 ◇7급 승진 ▲기획감사담당관실 신기선 ▲팽성읍 김선기 ▲〃 최희열 ▲안중출장소 이동 ▲〃 김영환 ▲〃 송윤미 ▲〃 강경기 ▲〃 한준수 ▲〃 조장호 ▲〃 김진구 ▲〃 이석민 ▲송탄출장소 최종진 ▲〃 정형삼 ▲〃 김희삼 ▲〃 최대현 ▲〃 최영준 ▲〃 서영원 ▲〃 현병수 ▲〃 정용훈 ▲〃 박성팔 ▲〃 최태선 ▲〃 최광현 ▲〃 이종필▲〃 심동섭 ▲〃 원영구 ▲비전1동 변상용 ▲원평동 이진영 ▲민방위재난관리과 한정안 ▲수도사업소 김태근 ▲총무과 임태종 ▲보건소 이화영 ▲〃 조재복 ▲〃 이권영 ▲〃이상주 ▲〃 박록 ▲비전2동 현혜성 ▲〃 김윤주 ▲신평동 김성희 ▲통복동 홍성훈▲공영개발과 박우규 ◇8급 전보 ▲기획감사담당관실 양승찬 ▲세정과 조규훈 ▲〃 최영미 ▲〃 전영숙 ▲총무과 이정석 ▲〃 최원관 ▲회계과 최원종 ▲〃 진달래 ▲문화관광과 허미선 ▲민방위재난관리과 길영진 ▲교통해정과 안중선 ▲〃 최원용 ▲〃 정우용 ▲민원과 정용숙▲〃 손연순 ▲지역경제과 정난용 ▲공영개발과 조창래 ▲도시과 백지은 ▲의회사무국 최태용 ▲여성회관 정연숙 ▲차량등록사업소 윤경숙 ▲수도사업소 이선자 ▲〃 박찬황 ▲〃 황정희 ▲문예회관관리소 김은아 ▲보건소 이연실 ▲팽성읍 박영미 ▲농축산과이은경 ▲〃 정해용 ▲건설과 조동웅 ▲〃 박인찬 ▲청소과 이재곤 ▲건축과 조영주 ▲지적과 최용현 ▲사회과 서달영 ▲전산통계과 조윤숙 ▲송탄출장소 김차경 ▲〃 박춘금 ▲〃 송광식 ▲세정과 박승규 ▲환경보호과 이강희 ▲보건소 김명희

순수문학 보급에 힘쓰는 수필가 윤모촌씨

수필작가인 윤모촌씨(78)는 10여년 동안 파주여성문학회 회원들의 문학수업을 지도해 오며 그동안 8명이나 중앙문단에 등단시키는등 팔순을 바라보는 노구에도 순수문학 보급에 남다른 열정을 보이고 있다. 윤씨가 파주여성문학회와 처음 만난것은 지난 89년 율곡문화제 주부 백일장에 당선됐던 신윤자 전임회장을 비롯한 7명이 모여 파주여성문학회를 만들고 당시 심사를 맡았던 윤작가를 강사로 초빙하게 되면서부터. 이후 윤씨는 처음 2∼3년간은 매주, 그 이후에는 매월 빠지지 않고 문학수업을 지도해 오고 있다. 윤씨는 매년 회원이 늘어나는데다 문학소녀의 꿈을 다시금 불태우는 회원들의 열성에 못이겨 현 거주지인 군포시에서 왕복 6시간이 걸리는 먼거리도 마다하지 않고 제자들에게 문학의 올바른 이해와 수필의 진수를 가르치기 위해 파주로 향한다. “수필은 제대로 알기도 어렵고 결코 쉬운 글이 아님” 을 강조하는 윤작가는 “주부들이 살림하고 글을 쓴다는 것은 쉽지않은 일이며 이들에게 수필문학에 대해 올바로 알고 작품을 쓸 수 있도록 하기위해 기쁜마음으로 여성문학회원들을 지도하고 있다”고 말한다. 윤작가의 열의 만큼이나 제자들 역시 작품활동을 게을리하지 않아 매년 회원수필집을 펴내 벌써 ‘작은 글뜰 제11집’을 발간할 정도로 작품활동에 정진해 회원들의 작품실력은 비록 등단하지 않은 회원이라도 상당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윤작가는 1923년 연천군 왕진면에서 태어나 시인으로 활동해 오다 56세인 지난 79년에 한국일보 신춘문예 수필부문에 ‘오음실주인(梧陰室主人)’이 당선되면서 본격적인 수필활동을 시작해 그동안 수필입문서인 ‘수필문학의 이해’와 ‘수필쓰는법’그리고 수필집으로 ‘정신과로 가야할 사람’ ‘서울뻐꾸기’ ‘산마을에 오는비’등을 펴냈다. /파주=고기석기자 koks@kg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