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시장서 ‘독주’…D램 점유율 47% 전망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 삼성전자가 독주체제를 굳힐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IHS마킷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삼성전자가 올해 3분기 글로벌 D램 시장에서 점유율 47%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했다. 앞서 삼성전자는 지난해 4분기 점유율이 18분기 만에 40%를 밑돌면서 2위인 SK하이닉스(32%)가 바짝 추격해왔다. 하지만, 삼성전자의 D램 시장 점유율은 올해 1분기 41%로 올라섰고, 2분기에는 43%를 기록했다. 반면 SK하이닉스는 올해 들어 점유율이 1분기 30%, 2분기 28%로 떨어졌고 3분기는 27%에 그칠 것으로 전망됐다. 작년까지만 해도 가파른 성장세가 예상됐던 미국 마이크론도 올해 3분기 점유율 예상치가 22%로 떨어졌다. 삼성전자의 3분기 D램 매출액은 76억4천500만달러(약 9조 1천억 원)를 기록해 작년 동기(120억 4천100만 달러)의 60% 수준으로 쪼그라들 것으로 전망됐다. 다만, 작년 3분기 이후 쭉 줄어들기만 하던 매출이 올해 3분기부터 다시 상승세를 타는 것이어서 실적 개선에 대한 기대가 나온다. 이밖에 삼성전자는 글로벌 낸드플래시 시장에서도 올해 1분기 점유율 33%, 2분기 38%, 3분기 39%를 차지하며 업계 1위를 이어갈 전망이다. 낸드플래시 시장 2위인 일본 도시바의 경우 지난 6월 정전사태로 인해 2분기 점유율이 18%에 그쳤고 3분기에도 19% 정도로 비슷한 수준일 것으로 예상된다. SK하이닉스는 올해 3분기 점유율 10%로 전분기(11%)보다 소폭 하락할 것으로 전망됐다. 권혁준기자

POOQ과 옥수수 통합한 WAVVE 본격 서비스 시작…무엇이 달라졌나

SK텔레콤의 옥수수(oksusu)와 KBSMBCSBS 등 지상파 3사의 푹(POOQ)을 통합한 온라인 동영상서비스(OTT) 웨이브(WAVVE)가 18일 본격적인 서비스를 시작했다. 웨이브는 기존 푹의 동시접속, 화질, 제휴서비스에 따른 35종에 달하는 복잡한 요금 체계를 단순화하고, 이용자 혜택을 늘린 것이 특징이다. 요금제는 ▲베이직(HD) 7900원 ▲스탠다드(FHD) 10900원 ▲프리미엄(UHD 포함 최상위 화질) 1만3900원 등 3종이다. 런칭을 기념해 신규 가입자에게 베이직 상품(월 7900원)을 3개월간 월 4000원에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특히 스마트TV 등 대형 스크린에서도 즐길 수 있는 스탠다드 및 프리미엄 요금제는 계정 하나로 여러 명이 동시에 즐길 수 있다. 스탠다드는 2명, 프미엄은 4명까지 동시 접속이 가능하다. 웨이브 월정액 상품 가입자는 비용 추가 없이 1000여편 영화와 추가되는 인기 해외시리즈도 즐길 수 있다. 매니페스트, 사이렌, 더퍼스트 등 미국 드라마 3편은 웨이브가 국내에 최초로 공개하는 작품이다. 다만 옥수수 사용자들의 소장용 VOD는 웨이브로 이전되지 않는다. 이와 함께 프로야구 실시간 중계 및 여러 경기 동시 시청, 5GX VR, 5GX 미디어, e스포츠 경기 하이라이트 등을 제공한다.

삼성 갤노트10, 역대 최대기간인 출시 25일만에 100만대 돌파

삼성전자의 하반기 야심작인 스마트폰 갤럭시노트10이 역대 최단기간에 100만대를 돌파했다. 삼성전자는 지난달 23일 출시한 갤럭시노트10의 국내 판매량이 16일 기준 100만대를 넘어섰다고 17일 밝혔다. 이는 갤럭시S와 노트 시리즈를 합쳐 역대 최단기간인 출시 25일 만의 기록이다. 삼성전자 측은 전작 대비 2배 이상 빠른 속도라고 설명했다. 기존 최단 기록은 2017년에 출시된 갤럭시S8(37일)였다. 갤럭시S2(40일), 갤럭시S10(47일), 갤럭시노트8(49일), 갤럭시노트9(53일)가 뒤를 이었다. 갤럭시노트10은 노트 시리즈 최초로 일반ㆍ플러스 두 가지 모델을 출시하고, 전작과 차별화된 디자인을 적용한 것이 인기 요인으로 꼽힌다. 출시 전 사전 판매량 역시 전작보다 2배 이상 많은 130만대를 기록했다. 갤럭시노트10과 갤럭시노트10 플러스의 판매 비중은 각 37%, 63%로 집계됐다. 특히 6.3인치 크기의 갤럭시노트10 출시로 여성 고객 비중이 40%로 전작 대비 약 10% 증가했다. 20대 고객 비중도 전작 대비 5% 증가한 약 20%를 차지했다. 삼성전자는 최근 갤럭시노트10을 활용한 사회공헌활동도 확대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갤럭시노트10 출시와 함께 지속가능개발목표(SDG) 달성을 위해 유엔개발계획(UNDP)과 파트너십을 발표한 바 있다. 권혁준기자

경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