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스타그램 오류, 아직도?…이용자들 '분통'

대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인스타그램(Instagram)이 지난 밤부터 오류를 일으키며 이용자들이 불편을 겪었다. 4일 국내 인터넷 커뮤니티와 웹서비스 장애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다운디텍터 등에 따르면 인스타그램은 지난 3일 밤 11시께부터 게시물이 제대로 보이지 않은 오류가 발생했다. 인스타그램 접속오류는 올 들어 지난 1월과 3월, 4월, 6월에 이어 이번까지 5번째다. 3월에는 인스타그램 뿐 아니라 페이스북, 왓츠앱 등이 전세계적으로 장애를 일으켰다. 당시 페이스북은 서버 구성 변경이 문제를 일으켰다고 사과한 바 있다. 이용자들은 나만 그런 줄 알았는데업로드도 안 되고 답답하다, 벌써 몇번째냐. 유독 인스타그램만 계속 이런다며 거듭된 장애에분통을 터트리고 있다. 이에 대해 인스타그램측은 트위터를 통해 이미지 및 동영상을 업로드하거나 전송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이용자들이 있다는 걸 인지하고 있다며 문제가 발생해 죄송하며 가능한 빨리 정상화 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인스타그램 오류는 콘텐츠 전달 및 보안 서비스 제공 업체인 클라우드플레어가 CPU 과부하로 서비스를 중단하면서 초래된 것으로 알려졌다.

'롤토체스' 전략적 팀 전투, 한국 도입 연기

온라인 게임 '리그 오브 레전드' 롤토체스의 한국 도입이 연기됐다. '리그 오브 레전드' 운영진은 28일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전략적 팀 전투 모드의 한국 지역 도입이 당초 일정인 28일보다 다소 늦춰지게 됐다"고 밝혔다. 운영진 측은 "타 지역의 사례를 면밀히 검토한 결과, 한국은 접속 집중도가 매우 높은 편에 속하기에 동일한 이슈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했다"며 "현재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고, 몇 가지 해결책을 테스트 중이다"라고 설명했다. 타 지역에서 발생한 이슈는 로그인 대기열, 전략적 팀 전투 모드 게임 시작 시 과도한 매칭 대기열 발생, 매칭 대기열이 과도하게 발생할 경우, 다른 모드(소환사의 협곡, 칼바람 나락등) 매칭에 대기열 발생 등이다. 운영진 측은 "이 중에서 전략적 팀 모드의 매칭 대기열이 다른 모드에 영향을 주는 부분을 최우선으로 개선하고 있다"며 "금일 내 여러 지역에서 테스트를 진행할 예정이며, 개선 상태에 따라 전략적 팀 전투의 미 도입 지역 오픈 일정이 결정될 것"이라고 전했다. 전략적 팀 전투는 8명의 유저가 참여해, 라운드마다 몬스터 혹은 유저와 대결을 펼쳐 최후의 1인을 가리는 모드다. 플레이어는 챔피언 조합 및 배치 등을 지정할 수 있고, 직접적인 전투는 자동으로 진행된다. 장건 기자

‘BTS 월드’ 시작됐다…26일 게임 정식 출시와 함께 타이틀곡 최초 공개

방탄소년단 매니저 게임 BTS월드(BTS WORLD, 개발사 테이크원컴퍼니)가 26일 저녁 6시(한국 시각 기준) 전세계 176개국에 출시된다. 넷마블은 앞서 이날 오후 4시부터 애플 앱스토어, 구글 플레이를 통해 사전 다운로드가 가능하도록 했다. BTS 월드는 방탄소년단의 데뷔 전 시점으로 돌아가 이들을 세계적인 아티스트로 성장하는 스토리를 담은 스토리텔링형 육성 모바일 게임이다. 이 게임은 방탄소년단을 성공으로 이끄는 메인 스토리 외에, 각 멤버들이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추가 콘텐츠 어나더 스토리도 선보인다. 이용자는 멤버 각자의 개성을 콘셉트로 구성한 가상의 스토리를 통해 방탄소년단의 다양한 매력을 느낄 수 있다. 1만여장의 사진과 100여편의 영상 등 다양한 독점 콘텐츠를 포함하고 있으며 문자메시지, SNS, 음성 및 영상 통화 등 이용자가 방탄소년단 멤버들과 1:1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다양한 교감 콘텐츠도 제공한다. 또한, 멤버들의 모습과 목소리가 담긴 방탄소년단 카드를 수집 및 성장시킬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해 더욱 다양한 스토리를 즐길 수 있다. 넷마블은 정식 출시와 함께, 방탄소년단 일곱 멤버가 함께 부른 단체곡이자 타이틀곡인 Heartbeat (BTS WORLD OST)가 게임을 통해 최초로 공개된다고 밝혔다. 게임 인트로와 메인 로비에서 재생되는 이 곡은 28일 BTS WORLD OST 앨범 발매 전까지 48시간 동안 오직 BTS월드 게임을 통해서만 들을 수 있다.

경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