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팹리스에 차세대 3나노 공정설계 키트 배포

삼성전자는 미국에서 열린 삼성 파운드리 포럼 2019에서 차세대 3나노 GAA(Gate-All-Around)의 공정설계 키트를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업체) 고객사들에 배포했다고 15일 밝혔다. 지난해 파운드리 포럼에서 GAA를 3나노 공정에 도입하겠다는 전략을 밝힌 데 이어 올해는 실제로 팹리스 업체들의 제품 설계 지원을 위해 3GAE(3나노 Gate-All-Around Early)의 공정설계 키트를 제공한 것이다. 공정설계 키트는 파운드리 회사의 제조공정에 최적화된 설계를 지원하는 데이터 파일이다. 이를 업체가 활용하면 제품 설계가 수월해 시장 출시까지 소요 시간을 단축하고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3GAE 공정은 최신 양산 공정인 7나노 핀펫보다 칩 면적을 45%가량 줄일 수 있으며, 약 50%의 소비전력 감소와 약 35%의 성능 향상 효과가 기대된다. 3나노 이하 초미세 회로에 도입될 GAA 구조의 트랜지스터는 모바일과 인공지능(AI), 5G, 전장, 사물인터넷(IoT) 등 고성능저전력을 요구하는 차세대 반도체에 활용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업계가 주목하는 기술이다. 한편, 현지시간 14일 미국 캘리포니아주(州) 샌타클래라에서 열린 삼성 파운드리 포럼 2019에는 글로벌 팹리스 고객과 파트너사의 관계자 800여 명이 참가해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주도한 반도체 기술을 공유했다. 권혁준기자

‘갤럭시 폴드’ 망 연동 테스트…6월 출시 가능성 높아

삼성전자의 폴더블폰 갤럭시 폴드 출시가 초읽기에 들어갔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현재 이동통신사들에 갤럭시 폴드를 제공, 망 연동 테스트를 하고 있으며 이달 중 갤럭시 폴드 출시 일정을 재공지하고 다음 달 출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단말기가 네트워크에 적합한지를 파악하는 검사인 망 연동 테스트는 통상 출시 한 달~한 달반 전에 이뤄진다. 업계 관계자는 삼성전자가 문제를 보완한 제품에 대해 각국에서 전파인증 등 인허가를 새로 받아야 해서 아직 출시 일정을 확정하지 못한 것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삼성전자는 지난달 미국 리뷰어를 통해 제기된 화면 보호막 문제와 힌지 내 이물질 유입 등 문제를 해결한 것으로 전해졌다. 초기 버전은 화면 보호막이 베젤 끝까지 딱 맞게 붙어 있지 않아 손톱으로 뜯을 수 있는 틈이 있는데, 삼성전자는 보호막을 사용자가 떼어낼 수 없도록 아예 끝 부분을 본체 속으로 집어넣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힌지 부위 노출 부분도 최소화할 것으로 보인다. 기존에는 힌지의 상하단 부분이 기존 스마트폰처럼 프레임으로 막혀 있지 않아 미세한 틈이 생기고, 이 틈 사이로 이물질이 들어가거나 디스플레이가 충격을 받을 가능성이 있었다. 아울러 갤럭시 폴드 제품 포장에 주의 문구를 강화할 예정이다. 삼성전자가 최근 국내 이통3사에 갤럭시 폴드 시제품을 공급해 망 연동 테스트에 돌입한 만큼 테스트 결과에 따라 미국 출시보다 국내 출시가 빨라질 가능성도 점쳐진다. 삼성전자는 수 주 내 공식 출시 일정을 발표한다는 입장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통신 3사에 갤럭시 폴드 개선 전 제품을 지급해 망 연동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으나, 이는 여느 제품 출시 과정과 다르지 않다며 현재 갤럭시 폴드 개선 작업을 진행 중이다. 출시 일정은 정해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권혁준기자

삼성전자, QLED TV 와 사용하기 좋은 사운드바 ‘Q시리즈’ 출시

삼성전자는 14일 QLED TV와 함께 사용하기 좋은 사운드바 Q시리즈 4종을 삼성 하만카돈 브랜드로 국내 시장에 출시한다. Q시리즈 사운드바는 새롭게 적용된 어댑티브 사운드(Adaptive Sound) 기능으로 재생 중인 영상의 음향 주파수를 분석한 후 음악스포츠게임 등 각 장르에 맞는 최적의 사운드 모드를 자동으로 설정해 영상과 음향의 몰입감을 높여 주는 게 가장 큰 특징이다. 특히, TV의 AI 모드를 켜짐으로 설정하면 사운드바도 어댑티브 사운드 모드로 자동 전환되는 등 QLED TV와 연결성이 강화됐다 Q시리즈 사운드바에는 입체 음향 기술인 돌비사의 애트모스와 DTS사의 DTS:X를 탑재해 전후좌우뿐 아니라 마치 천장 위에서 소리가 쏟아져 내리는 듯한 입체적인 사운드를 경험할 수 있다. HW-Q950R은 서브우퍼와 2개의 후방 서라운드 스피커를 포함한 7.1.4채널을 지원하며, HW-Q850R과 HW-Q750R은 본체와 서브 우퍼만으로 각각 5.1.2채널과 3.1.2 채널을 지원한다. 또한, 별도의 서라운드 키트를 구매해 후방 사운드 효과를 강화할 수 있다. Q시리즈 사운드바는 와이파이가 탑재돼 스마트싱스(SmartThings)앱과 연동해 재생콘텐츠 선택볼륨 조절모드 설정 등 다양한 기능을 집안 어디에서나 스마트폰으로 간단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블루투스 기능을 갖춰 스마트폰에 저장된 음악이나 모바일 계정에 가입돼 있는 스트리밍 음악 서비스도 간편하게 고음질로 감상할 수 있다. 이밖에 게임 프로 사운드 모드가 지원돼 사운드바 상단에 탑재된 상(上)방향 스피커를 통해 게임을 할 때 더욱 박진감 있고 입체적인 사운드를 만들어 준다. 삼성전자는 차별화된 제품력으로 글로벌 사운드바 시장에서 판매량 기준 5년 연속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 추종석 부사장은 이번 Q시리즈 사운드바는 소비자가 다양한 콘텐츠를 최적의 사운드로 감상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라며 더 많은 소비자가 QLED TV와 함께 더욱 차별화된 사운드와 영상을 경험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Q시리즈 사운드바는 출고가 기준 HW-Q950R이 180만 원, HW-Q850R이 130만 원, HW-Q750R이 90만 원, HW-Q650R이 60만 원이다. 권혁준기자

경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