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기업 수출성장세 주춤

올들어 벤처기업 수출성장세가 둔화되고 있다.15일 산업자원부에 따르면 올 1·4분기 벤처기업 수출실적은 11억6천900만달러로 작년 동기대비 19.2%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작년 1·4분기 수출증가율 52.9%와 작년 평균 수출증가율 41.8%에 크게 못미치는 수준으로, 벤처업계가 극심한 조정기를 거치면서 거품이 빠진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1·4분기 벤처 수출증가율은 국내 총수출증가율(2.4%)을 크게 웃돌고 있는데다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9%로 작년보다 0.4%포인트 높아져 꾸준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산자부는 분석했다. 이 기간 유형별 수출 증가율을 보면 특허·신기술과 연구·개발(R&D) 분야는 작년증가율(51.6%, 45%)보다 크게 둔화돼 각각 1.2%와 6.9%에 그쳤으나 대표적인 ‘고위험·고수익’ 벤처캐피털 투자 벤처기업은 작년(29.6%)보다 늘어난 32.7%를 기록했다. 수출품목별 증가율을 보면 IT(정보기술) 업종으로 분류되는 전자·전기분야가 작년의 70.8%보다 크게 둔화된 26.8%(5억5천300만달러), 기계 26.7%(3억900만달러), 철강·금속 22.7%(7천400만달러) 등의 순이었다. 플라스틱·고무는 8.6%(5천900만달러) 감소했다. 한편 이 기간 당국에 확인된 벤처기업 수는 9천948개로 1만개에 육박하면서 수출 벤처기업도 작년(1천941개)보다 24.4% 증가한 2천416개를 기록했다. /연합

포철등 주채무계열 선정

올해 60대 주채무계열에 현대자동차, 포항제철 등 15개 계열이 새로 선정돼 재무구조개선약정 체결 대상이 되고 법정관리를 신청한 동아, 해태, 우방과 단일법인만 남아있는 ㈜대우, 에스오일 등 15개 계열은 주채무계열에서 제외됐다. 금융감독원은 작년말 현재 종금, 보험을 포함한 금융권의 신용공여(대출금, 지급보증, 기업어음, 매입외환, 사모사채 포함) 잔액을 기준으로 상위 60개 계열을 올해 주채무계열로 선정, 14일 발표했다. 신규 선정된 15개 계열은 현대자동차(5위), 포항제철(16위), 대우건설(24위), 대우인터내셔널(36위), 대우통신(37위), 오리온전기(38위), 현대산업개발(40위), 두루넷(41위), 하나로통신(44위), 대한해운(46위), 대우기계(47위), 대우조선(51위), 현대백화점(52위), 일진(58위), 고려제강(60위)이다. 이들 15개 계열은 앞으로 주채권은행과 차입금상환계획을 포함한 부채비율 감축계획과 계열전체의 구조조정, 지배구조 개선계획 등을 담은 재무구조개선약정을 신규로 체결해야만 한다. 또 종합상사·건설·해운·항공운송 4개 업종을 제외한 나머지 회사의 부채비율을 200% 이하로 감축해야 한다. 선정이 제외된 15개 계열은 법정관리를 신청한 동아, 우방, 해태 등 3개 계열과 단일법인만 남아있는 ㈜대우, 에스오일 등 2개사, 신용공여 규모가 적은 아남, 대우자동차판매, 신원, 세풍, 화성산업, 일동제약, 대한펄프, 농심, 조양상선, 동방 등 10개 계열이다. 올해 선정된 60개 계열 및 계열소속 기업체에 대해서는 주채권은행이 여신상황을 포함한 기업정보를 종합관리하게 되며 경영악화시 주채권은행의 주도로 처리대책이 추진된다. /연합

저금리시대 투자 키워드 ‘안정성과 환금성’

증권사에서 판매하는 원본 보전형 혼합형 펀드에 관심을 가져볼 필요가 있다. 증권사에서 판매하는 이 펀드는 신탁재산의 대부분을 채권에 투자하고 채권투자에서 발생하는 이익금으로 주식이나 선물·옵션에 투자하므로 최악의 경우 원금은 건질 수 있으며 투자여건이 좋아진다면 주가지수선물이나 옵션투자에 따른 추가수익도 건질 수 있어 6∼7%이상의 수익을 바라볼 수 있다. 특히 주가지수선물이나 옵션투자에서 얻은 수익은 비과세하므로 세후수익은 더욱 커지게 된다. 저금리시기일수록 비과세저축과 세금우대저축에 우선 가입을 해 세후수익금을 높일 필요가 있는 것이다. 또한 단기공사채형 상품에 가입을 하는 것이 좋다. 증권사에 가면 3개월, 6개월, 1년의 기간을 둔 저축상품들이 있다. 저금리시기에는 향후 금리가 오를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가급적 장기상품보다는 단기상품에 가입했다가 추후 만기시 다시 재테크플랜을 짜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품에 가입하기 전에 펀드내에 편입된 채권이 어떠한 것들인지 따져볼 필요가 있다. 채권에는 신용평가기관에서 정하는 등급이 있는데 A란 숫자가 많을수록 신용상태가 양호한 채권이며 BB+등급이하부터는 투기등급채권으로서 A등급채권에 비해 위험이 있는 대신 금리는 높은 채권이다. 일부 증권사에서는 상품명에 A등급채권형이란 명칭을 쓰는데 이것은 펀드의 편입채권이 A등급으로만 구성돼 있는 것이다. 즉 금리는 약간 낮을 수 있으나 신용상태가 아주 양호한 채권으로만 구성돼 있다는 얘기다. 마지막으로 연금저축에 가입해 노후를 위해 미리 준비할 필요가 있다. 기존에 연금저축을 가입한 사람의 경우에는 계속적으로 연금을 불입토록 하고 그렇지 아니한 사람의 경우에는 연금저축에 가입하는 것이 좋다. 연금저축은 연간 240만원 한도에서 불입금액의 100%가 연말에 소득공제가 되며 연금수령시 연금소득의 11%를 과세하는 저축이다. /제일투신증권 수원지점장 이경배

경제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