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60대 주채무계열에 현대자동차, 포항제철 등 15개 계열이 새로 선정돼 재무구조개선약정 체결 대상이 되고 법정관리를 신청한 동아, 해태, 우방과 단일법인만 남아있는 ㈜대우, 에스오일 등 15개 계열은 주채무계열에서 제외됐다. 금융감독원은 작년말 현재 종금, 보험을 포함한 금융권의 신용공여(대출금, 지급보증, 기업어음, 매입외환, 사모사채 포함) 잔액을 기준으로 상위 60개 계열을 올해 주채무계열로 선정, 14일 발표했다. 신규 선정된 15개 계열은 현대자동차(5위), 포항제철(16위), 대우건설(24위), 대우인터내셔널(36위), 대우통신(37위), 오리온전기(38위), 현대산업개발(40위), 두루넷(41위), 하나로통신(44위), 대한해운(46위), 대우기계(47위), 대우조선(51위), 현대백화점(52위), 일진(58위), 고려제강(60위)이다. 이들 15개 계열은 앞으로 주채권은행과 차입금상환계획을 포함한 부채비율 감축계획과 계열전체의 구조조정, 지배구조 개선계획 등을 담은 재무구조개선약정을 신규로 체결해야만 한다. 또 종합상사·건설·해운·항공운송 4개 업종을 제외한 나머지 회사의 부채비율을 200% 이하로 감축해야 한다. 선정이 제외된 15개 계열은 법정관리를 신청한 동아, 우방, 해태 등 3개 계열과 단일법인만 남아있는 ㈜대우, 에스오일 등 2개사, 신용공여 규모가 적은 아남, 대우자동차판매, 신원, 세풍, 화성산업, 일동제약, 대한펄프, 농심, 조양상선, 동방 등 10개 계열이다. 올해 선정된 60개 계열 및 계열소속 기업체에 대해서는 주채권은행이 여신상황을 포함한 기업정보를 종합관리하게 되며 경영악화시 주채권은행의 주도로 처리대책이 추진된다. /연합
경제
경기일보
2001-05-15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