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민의 9.3%에 해당하는 429만5천여명이 주식투자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증권예탁원은 8일 작년 한 해 중복투자자를 제외한 순수 주식투자인구는 모두 429만5천754명(개인 428만2천459명, 법인 1만3천295사)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작년 11월 1일 기준 국내 총인구가 4천612만명임을 고려할 때 전 국민의 9.3%가 주식투자를 하고 있는 셈이다. 이들 투자자는 남자 258만283명, 여자 170만2천176명으로 남자가 많았으며 1인당 평균 3.1종목, 3천631주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도별 주식투자인구는 서울(130만742명)을 포함, 수도권이 235만354명으로 전체의 54.9%를 차지했다. 한편 작년 주요 결산법인의 총 실질주주(중복투자자 포함)는 1천325만4천438명이고 보유주식수는 155억9천767만6천744주로 실질주주 1인당 평균 1천177주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99년의 누적실질주주 775만명, 보유주식수 87억7천만주에 비해 실질주주는 77.1%, 주식수는 77.8% 증가한 것이다./연합
금융감독원이 작년 11월말 현재 공적자금을 지원받은 279개 금융기관에 대한 검사를 실시해 임직원 2천169명을 해임 등 징계 조치하고 1천43명은 형사고발 및 고지한 것으로 집계됐다. 또 예금보험공사는 부실책임이 있는 금융기관 임직원 1천350명을 상대로 4천523억원의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진행중이다. 재정경제부는 8일 공적자금의 운용실태 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특별위원회에 공적자금 운용현황을 보고하며 이같이 밝혔다. 진념 재경부 장관은 “공적자금을 지원받은 금융기관의 임직원에 대해서는 민·형사상 또는 행정적인 책임을 철저히 추궁하겠다”며 “특히 예금보험공사는 퇴출금융기관 채무자와 대주주가 재산을 빼돌린 사실을 적발하고 채권보전조치를 취했다”고 말했다. 재경부는 추가조성한 50조원(회수분 10조원 포함) 가운데 약 9조원을 작년 12월에 투입했다며 나머지 소요분도 조속히 투입계획을 확정해 가급적 조기에 지원하겠다고 밝혔다./연합
건설기계안전관리원이 관행적으로 사용해 왔던 굴삭기 버킷연결장치(바가지 모양으로 생긴 부분과 몸통과의 연결부분)에 대해 구조변경검사를 실시키로 하자 경기도내 건설기계 소유자들이 강력 반발하고 있다. 도내 건설기계임대업계에 따르면 건설기계안전관리원은 버킷연결장치에 유압연결장치를 설치해 사용하고 있는 굴삭기에 대한 구조변경검사를 작년 12월부터 1월말까지 실시키로 하고 기계소유주들에게 통보했다. 관리원은 건설교통부가 굴삭기 버킷연결방식을 핀 등에 의한 방식에서 유압장치로 변경하는 것은 작업장치의 설치방식이 변경된 것으로 구조변경에 해당한다고 유권해석함에 따라 유압연결장치를 장착한 굴삭기는 구조변경검사를 받아야 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건설기계임대업계는 지금까지 구조변경으로 간주하지 않아 검사를 받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었는데 갑자기 구조변경검사를 받으라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며 반발하고 있다. 업계는 특히 건설경기 침체로 경영난이 심각한 상황에서 1대당 5만원의 수수료를 부담할 경우 구조변경대상 굴삭기가 7천여대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돼 건설기계임대업계가 3억5천만원의 검사료를 부담하게 됐다며 크게 반발하고 있다. 관리원은 업계가 이처럼 강력 반발하자 최근 제작사에서 유압연결장치를 부착해 출하한 제품은 검사를 받지 않아도 되며 일반 생산업체나 정비공장에서 제품을 부착한 경우는 검사를 받도록 방침을 바꿨다. /표명구기자 mgpyo@kgib.co.kr
건설교통부는 앞으로 눈이 10㎝ 이상 올 경우 산악구간 등 취약한 구간의 도로를 차단키로 했다고 8일 밝혔다. 건교부는 전날 폭설로 영동고속도로 대관령구간과 경부고속도로 추풍령구간 등에서 발생한 극심한 교통체증 원인이 효율적인 교통통제가 이뤄지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보고 이같은 방안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건교부는 이에따라 앞으로 적설량이 10㎝ 이상 예상되는 경우 도로공사와 지방국토관리청장이 해당도로의 차단 여부를 판단한뒤 모든 차량의 통행을 금지하고 제설작업이 끝난뒤 개통시키기로 했다. /연합
빠르면 올해 하반기부터 택시에 ABS(Anti-lock Break System) 장착이 의무화된다. 건설교통부는 “택시 운행의 안전도를 높이고 교통사고 발생을 줄이기 위해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시행령을 개정, 개인 및 영업용 택시에 ABS 장착을 의무화하는 방안을 추진중”이라고 8일 밝혔다. 건교부는 상반기중 사업자와 개인 운수업자들의 의견을 수렴한뒤 시행시기를 결정할 예정이다. 건교부는 이와함께 택시사업자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현대자동차, 대우자동차 등 제조회사와 협의, 현재 50만∼70만원대인 ABS 장착 가격을 낮춰줄 방침이다. 건교부는 눈이나 비가 내릴때 제어력이 일반 브레이크보다 우수한 ABS를 택시에 설치할 경우 추돌 및 충돌사고에 따른 인명·재산 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연합
농림부는 8일 설 육류성수기를 틈탄 불법·부정축산물 유통을 막기 위해 10일부터 23일까지 전국적으로 집중단속을 벌이기로 했다. 농림부는 일반 소비자들에게도 불법 축산물에 대해 농림부 부정축산물신고센터(504-9436∼7)나 가까운 경찰서 등에 신고해 줄 것을 당부했다./연합
경기침체에 따른 국내의 취업난 가중으로 해외취업을 고려하고 있는 구직자들이 상당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취업정보 포털사이트 잡코리아(www.jobkorea.co.kr)는 최근 구직자의 해외취업관에 대해 인터넷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48%가 해외취업을 위한 구체적인 준비를 하고 있다고 대답했다고 8일 밝혔다. 직종별로는 정보기술(IT) 직종에 근무하는 응답자의 64%가 해외취업을 준비하고 있는 반면 비IT 종사자는 이 비율이 33%인 것으로 나타나 IT 전문인력들이 상대적으로 해외진출을 많이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해외취업이 되면 경력을 쌓은후 국내로 돌아오겠느냐는 질문에 대해 응답자의 49%는 현지에 남겠다고 대답했다./연합
기아자동차는 8일 오전 정몽구 회장과 영업본부 임직원, 전국 지점장, 판매점대표 등 1천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회의를 열어 올해 내수판매 목표 43만대 및 시장점유율 32%를 달성하기로 결의했다. 기아차는 올해 마케팅전략으로 ▲브랜드 1위 차종에 마케팅 역량 집중 ▲상품성개선을 통한 제품 경쟁력 강화 ▲회사이미지 및 판촉 광고 강화 ▲고객밀착 판촉 이벤트 확대 ▲지속적 신제품 개발을 통한 수익개선 등을 내세웠다. 또 옵티마·카렌스·카니발·봉고프런티어 등 4개 차종을 ‘시장 1위 차종’으로 집중 육성하고 인터넷 마케팅, 무선인터넷 서비스 등 신개념 마케팅, 데이터베이스 마케팅 등도 강화하기로 했다. 정 회장은 이 자리에서 “영업인들이 지난해 판매현장에서 애쓴 덕택에 기아차가 법정관리에서 벗어나 경영정상화에 성공했다”며 “올해는 내수 경기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43만대 판매를 반드시 달성해달라”고 격려했다./연합
인천에 대한 외국인의 토지취득과 자본투자가 늘어나고 있다. 8일 시에 따르면 외국인의 토지매입과 투자가 규제완화 및 절차 간소화 등에 의해 증가하고 있다. 지난 한햇동안 인천지역의 외국인 토지취득 건수는 모두 1천134건 206만5천㎡에 금액은 6천190억원 규모에 이르고 있다. 이중 개인 취득은 927건 84만㎡, 법인 204건 121만8천㎡이며, 나머지는 기타 단체 등이 취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 98년 말 외국인 토지취득 면적 21만6천㎡에 비교할 때 무려 10배나 늘어난 것이다. 또 지난해 외국인 투자액은 85개 업체 114건으로 6억9천880만달러에 달했다. 이는 99년 44개 업체 68건의 1억7천6만달러, 98년 33개 업체 67건의 4억2천660만달러 등에 비해 큰 폭으로 증가한 것이다. 주요 투자 분야는 숙박업이 3억6천만달러로 가장 많았으며, 식품 1억8천400만달러, 전기·전자 8천400만달러 순이다. 이와관련, 시 관계자는 “외국인들이 취득한 토지는 대부분 공장용지와 상업용지”라며 “토지 취득시 신청하는 허가·신고 등 업무에 대해 신속한 검토와 처리를 지원, 외국인 투자를 보다 활성화 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유규열기자 newfeel4@kgib.co.kr
정부는 부실 기업을 상시 퇴출시켜 구조조정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최소한의 상시퇴출 기준을 채권 금융기관에 제시하기로 했다. 상시퇴출 기준에는 작년 11·3 부실기업 집단 퇴출때 정부가 적용했던 잠재부실기업 평가기준이 반영될 것으로 보인다. 재정경제부는 8일 부실기업 상시퇴출 제도를 정착시키기 위해 금융감독위원회와 함께 상시퇴출 기준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재경부 관계자는 “정부는 퇴출대상이 될 수 있는 기업의 개략적인 기준만 제시하고 채권 금융기관이 이 틀 안에서 기업 신용도와 자구계획 등을 평가해 퇴출 기업을 최종 선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정부는 지난해 11월3일 채권단의 평가대상이 되는 잠재 부실기업의 기준을 제시하고 채권단이 여기에 해당하는 기업들의 신용위험을 평가해 처리방향을 결정하도록 했다”며 “퇴출 기준이 바뀔 경우 형평성 논란 등을 빚기 때문에 11·3 퇴출 기준이 상시 퇴출기준에 반영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11·3 퇴출때 금융기관 총 신용 공여액이 500억원 이상인 기업 가운데 ▲‘요주의’ 등급 이하이거나 ▲최근 3년 연속 이자보상배율이 1미만 또는 ▲은행별로 관리중인 부실징후 기업을 대상으로 채권단이 신용위험을 평가하도록 했다. 채권단은 이에 따라 287개 기업에 대한 신용위험 평가를 실시, 52개를 정리대상기업으로 선정하고 136개는 정상영업 가능 기업, 69개는 회생가능 기업, 28개는 일시적 유동성문제 기업 등으로 분류했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