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하철 도로지반 침하 부실공사 탓

1일 오전 6시20분께 발생한 인천지하철 동수역 위 도로지반 침하 사고는 부실공사로 인해 발생했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이는 인천지하철본부가 지난 10월 전국체전을 앞두고 지하철을 개통하기 위해 무리한 도로포장 등 공사를 서두르는 바람에 되메우기 작업 등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또 상수도관이 파열될 경우 수압이 높은 물이 도로 밖으로 솟구치는게 일반적인 상식인데 이같은 징후가 전혀 일어나지 않은 상태에서 지반이 내려앉았다는 점에서 부실시공의 의혹을 증폭시키고 있다. 뿐만아니라 되메우기한 흙이 물에 씻겨 나갔다면 수백㎥에 달하는 흙이 어디로 갔는지 또는 이같은 물이 지하수맥등 어디론가 흘렀다면 이 역시 되메우기 후 반복다지기를 통한 완전한 시공을 하지 못했다는 지적을 받을 수 밖에 없다. 이를 뒷받침 하듯 길이 15m 폭 10m 깊이 1.5m가량의 도로가 침하된 현장에는 매설된 상수도관과 가스관이 완충제인 모래 등으로 덮혀 있어야 하나 이를 전혀 볼수 없었다. 사정이 이러한데도 상수도본부와 인천지하철본부측은 이번 사고에 대해 책임 회피로 일관하고 있다. 지하철본부측은 상수도관이 파열돼 되메우기한 부분의 흙이 물에 씻겨나가 도로가 침해됐다는 주장이고 상수도본부측은 되메우기작업이 날림으로 이뤄져 상수관이 파열됐다는 상반된 주장을 펴고 있다. 문제는 이같은 사고가 21.9km의 인천지하철 전 복개구간에서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이다. 특히 지난해 4월 인천지하철 공사가 한국건설품질관리연구원에 의뢰해 지하철 전 구간에 대해 안전점검을 실시한 결과, 모든 구간에서 누수와 균열·백화현상 등의 구조적 결함이 나타난 만큼 이번 기회에 복개도로를 포함한 지하철 모든 시설에 대해 전반적인 안전점검을 실시, 또다른 사고를 막고 시민의 안전을 도모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김창수기자 cskim@kgib.co.kr

인천지하철 인근도로 지반침하

1일 오전 6시20분께 인천시 부평구 부평2동 676 삼능사거리 인천지하철 동수역 2번 출입구 인근 도로 지반이 길이 15m, 폭 5m, 깊이 1.5m 가량 침하됐다. 이 사고로 경찰종합학교 방면 편도 1차선과 서울방면 편도 4차선의 차량운행이 3시간동안 전면 통제돼 이 일대 교통이 극심한 혼잡을 빚었다. 또 도로침하 지점 밑 인천지하철 동수역 상수도관이 파열, 승강장 기둥을 타고 물이 흘러내려 출근길 지하철 이용 승객들이 큰 불편을 겪었다. 다행히 이날 사고는 차량운행이 적은 새벽 시간대에 서서히 진행돼 인명피해는 없었다. 사고가 나자 현자에는 가스공사, 상수도본부, 한전, 경찰·소방관, 시·구청 공무원 등 50여명과 굴착기 2대, 덤프트럭 등이 긴급 투입돼 복구작업을 벌이고 있다. 시 재난상황실 관계자는 “지하철 역사로 연결된 배수관 이음새가 파열돼 물이 스며들면서 지반이 약해져 사고가 난 것으로 보고 정확한 원인을 조사중” 이라며 “완전 복구까지는 3일정도가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고 말했다. 한편 사고가 난 지점은 삼부토건 등 3개 업체가 인천지하철본부로부터 324억여원에 도급을 받아 지난 94년 12월9일 착공해 5년만인 지난해 12월9일 공사를 마무리했다. / 김창수기자 cskim@kgib.co.kr

부평구의회 경인고속도 통행료 철폐나서

경인고속도로 통행료 징수와 관련, 계양·서구의회에 이어 부평구의회도 전면적인 통행료 징수 철폐운동에 나서기로 결정하는등 인천시민들의 반발이 확산되고 있다. 31일 부평구의회에 따르면 고진섭의원 등 의원 20명은 제82회 임시회 2차 본회의에서 한국도로공사가 수익에만 급급해 구민들에게 부당한 대우를 하고 있다며 ‘경인고속도로 통행료 징수 부당성에 대한 우리의 결의안’을 채택했다. 의원들은 결의안을 통해 “경인고속도로가 편리성에 기인한 목적을 이미 상실했음에도 인천시민들에게만 통행료를 징수하고 있다” 며 “이는 구로에 위치한 톨케이트를 부평으로 이전해 부천시민들에게 통행료를 면제해 주고, 서울 목동 5.5㎞ 구간을 지하차도로 신설, 무상이양 하는등 각종 편의를 제공하는 것과도 정면으로 배치된다”고 지적했다. 의원들은 특히 “도로공사측이 통행료 징수 거부운동이 거세지자 통행료를 30% 인하 하겠다는 미봉책으로 53만 부평구민들을 우롱하고 있다” 며 “부평구민들은 서울은 물론, 경부고속도로·서해안고속도로와 인근 시흥·장수·계양·일산·김포·판교를 갈 경우 통행료를 2∼3번씩 내야하는 불합리한 처지에 놓여 있다” 며 통행료 철폐를 요구했다. 이와관련, 이찬구 의원은 “이번 기회에 서울분기점 앞의 인천톨케이트를 즉각 철거해 부평구민과 인천시민을 수익대상으로 삼는 무책임한 교통정책을 바로 잡아야 한다” 며 “정당한 요구의 관철을 위해 부평IC에서 가두시위와 홍보전을 벌이는등 모든 수단을 동원할 것” 이라고 말했다. /김창수기자 cskim@kgib.co.kr

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