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선수재 혐의로 불구속 기소된 한나라당 오세응 의원에 대한 9차 공판이 28일 오전 11시 수원지법 208호 법정에서 형사1단독 김만오 부장판사 심리로 열렸으나 오의원은 출석하지 않았다. 오의원은 변호인을 통해 ‘임시국회와 한나라당 고문단회의 참석관계로 재판에 출석하지 못한다’며 지난 7일에 이어 두번째로 재판부에 재판연기신청을 했다. 지난 97년 성남 N관광호텔 사장 김모(53)씨로부터 관광호텔 허가를 받아달라는 부탁과 함께 4천3백여만원을 받은 혐의로 불구속 기소된 오의원은 지난 6차공판에 처음으로 출석, 검찰의 공소사실을 전면 부인했었다. /황금천기자 kchwang@kgib.co.kr
안성시의회 김홍근의원(47·죽산면)의 상고심이 28일 대법원에서 기각돼 의원직이 상실됐다. 김의원은 지난 6·4지방선거에서 선관위의 선거비용실사에서 선거법 113조 기부행위 제한 위반과 93조 제3항 자원봉사서 징구로 적발돼 1심에서 벌금 300만원, 2심에서 150만원을 받자 이에 불복, 지난해 9월10일 대법원에 상고했었다. 헌행선거법에는 판결이 확정된 날로부터 180일안에 재선거를 실시토록 돼있어 빠르면 16대 총선과 함께 재선거가 실시될 전망이다. /안성=엄준길기자 jkeom@kgib.co.kr
경기도교육청이 초등교사 부족현상을 타계하기 위한 초등교사 추가모집에도 모집정원에 크게 미달했다. 28일 마감된 초등교사원서접수에는 450명 모집에 186명이 접수했으며, 초등특수학교도 50명 모집에 23명만이 접수했다. 이에따라 도교육청은 올해 초등교사 부족에 따른 학교배치 등에 큰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민용기자 mylee@kgib.co.kr
수원시는 ‘수원시 시설관리공단 설치 및 운영조례’가 공포됨에 따라 공단 설립 준비를 위한 준비단을 오는 2월1일 창립한다. 한인석부시장을 단장으로 7명의 실무진이 청소년문화센터에 사무실을 두고 공단 설립에 따른 규정과 청사확보, 시설인수 등을 담당할 예정이다. 한편 올 상반기 안에 창립될 시설관리공단은 이사장과 이사, 총무 등 4개과에 임원 2명과 일반직 44명, 기능직 36명 등 총 82명의 정규직과 청소·경비 등 126명의 일용직원이 채용될 예정이다. /최종식기자 jschoi@kgib.co.kr
인터넷을 활용한 경찰의 사이버활동이 눈부시다. 경기경찰청은 지난 20일부터 산하 30개 경찰서의 인터넷 홈페이지를 구축, 민의수렴에 적극 나서고 있어 주민들로 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지방청을 비롯한 산하 모든 경찰서에 홈페이지가 구축되기는 경기경찰청이 처음이다. 서장과의 대화방은 물론 민원접수란도 마련, 신문고역활을 독톡히 하고 있다. 심지어 유실물 정보까지 띄우고 있다. 청장과의 대화방에는 이따금 직원들의 애로사항까지 게시돼 경찰행정에 반영되고 있다. 더욱 놀라운 것은 홈페이지를 구축하는데 단 한푼의 예산도 안썼다는 사실. 자체 정보처리기사 자격증을 갖춘 직원들이 직접 작업에 참여해 무려 1억원 상당의 예산절검효과를 거뒀다. 이뿐만이 아니다. 지난해말까지 거의 유명무실하다시피했던 전자결재도 근래들어 붐을 이루고 있다. E-mail 갖기 운동도 활발히 펼치고 있다. 모두 1만여명의 직원 가운데 20% 정도가 E-mail을 갖고 있을 정도. 지방청 총경급 이상 수뇌부는 내달 7일부터 5일동안 매일 2시간씩 머리를 싸메고 인터넷 사용 및 검색요령을 공부하게 된다. 허만영 정보통신과장은 “국민과 격의없는 대화를 통한 친근한 경찰이미지를 구축하기위해 홈페이지를 개설했다”며 “가능하다면 화상시스템도 만들어 청장과 서장이 직접 화상회의를 할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심규정기자 kjshim@kgib.co.kr
수원지검 수사과는 28일 그린벨트내 토지에서 불법으로 골재를 생산하거나 야적한 혐의(택지개발촉진법 위반 등)로 이모(45·서울 구로구 오류동), 홍모(40·인천시 남구 주안동)씨 등 골재채취업자 2명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검찰에 따르면 이씨는 H골재를 운영해오면서 지난해 1월부터 최근까지 시흥시 과림동 194 그린벨트내 토지 165㎡ 에 불법으로 암석파쇄기를 설치하고 1억원 상당의 골재 2만㎥를 생산, 판매한 혐의다. 홍씨는 또 지난 98년 10월 용인시 구성면 보정리 580 그린벨트내 택지개발예정지구로 지정된 김모씨(40) 소유의 농지 1만5천6백여㎡에 인근 아파트 건설공사장에서 매입한 골재 20만㎥를 야적하는 등 농지를 불법 전용하고 토지의 형질을 무단 변경한 혐의를 받고 있다. /황금천기자 kchwang@kgib.co.kr
<속보>고양시와 요진산업이 백석동 출판단지에 56층 규모의 고층건물을 신축하려면 인근에 위치한 일산소각장을 폐쇄하거나 70m인 굴뚝높이를 지금보다 230m 이상 더 높혀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관련기사 13면> 고양시민회 등 11개 고양지역 시민단체들로 구성된‘출판단지 용도변경 및 주상복합 고층 아파트 건설반대 범시민대책위원회(위원장 유왕선)는 28일 기자회견을 갖고 한국토지공사가 지난 92년 일산소각장 공사를 앞두고 실시한 환경영향평가서를 인용해 이같이 주장했다. 범대위는“소각장 주변에 신축되는 건물은 인근 주민들의 생명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연기 하강현상(Down Drought)’을 막기 위해 실제 굴뚝높이와 온도로 인한 연기의 상승고를 감안해 17.5m(굴뚝높이의 1/4)이하로 건축해야 한다”고 밝혔다. 범대위는“연기 하강현상을 무시하고 시와 요진이 56층 150m 이상 규모의 주상복합건물을 지을 경우 인근 주민들은 직접적 피해를 입게되며 소각장 근무 직원 및 요진의 건물에 입주하는 1만여명은 다이옥신 등 소각장에서 발생하는 유해물질로부터 치명적인 피해를 입게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전문가들의 의견을 인용해 “이같은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시와 요진이 건축을 강행하려면 70m인 굴뚝 높이를 최소 300m이상으로 재건축해야 하며, 이런 굴뚝은 세계적으로 존재하지 않을 뿐 아니라 기술적으로도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범대위는 시와 환경부에 연기 하강현상과 관련한 공개질의를 하고 내달 2일에는 공개토론회 등 본격적인 용도변경 허가 및 고층건물 신축 반대 운동을 전개해 나가기로 했다. /고양=한상봉기자 sbhan@kgib.co.kr
한약사시험 응시자격 기준에 반발하고 있는 약대생들중 1천여명이 약사고시에 불참해 대량 유급 사태가 불가피해지고 있다. 28일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의료인 국가시험원에 따르면 이날 치러진 약사고시에 전체 응시원서 접수자 1천727명중 722명만이 시험에 참여했고 나머지 1천5명은 결시했다. 응시자들은 재수생과 약대 편입생 등 5백여명과 전국 20개 약학대학 학생들중 당초 한약사시험을 원하지 않았던 2백여명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시험에 불참한 약대생들은 유급을 해서라도 한약사시험 응시자격까지 확보한다는 입장이어서 대량 유급사태로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국립대학들이 학생들의 유급을 기피하고 있고 일부 대학은 이미 졸업사정이 끝난 상태인 점을 감안하더라도 약사고시 불참자의 절반인 5백여명 이상의 대량 유급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과천경찰서는 28일 사채업자를 각목으로 때리고 현금 등을 빼앗은 혐의(강도상해)로 이모씨(28·수원시 팔달구 우만동)등 3명에 대해 구속영장을 신청했다. 경찰에 따르면 이씨 등은 지난 11일 새벽 2시께 수원시 장안구 정자동 P아파트 지하주차장 계단에서 유흥업소로 수금하러 가기 위해 출근하는 사채업자 이모씨(40)를 각목으로 마구 때린뒤 현금과 수표 등 모두 5천100여만원을 빼앗은 혐의다. 경찰은 최근 수원시내 일원에서 유사 수법의 사건이 10여건 발생한 것을 확인하고 이들을 상대로 여죄여부를 캐고 있다. /과천=이동희기자 dhlee@kgib.co.kr
28일 오전 9시40분께 안양시 동안구 호계2동 이순례씨(82·여)집에서 원인을 알 수 없는 화재가 발생, 이씨가 연기에 질식해 숨지고 2층 내부를 태워 300여만원 상당(경찰추산)의 재산피해를 낸 뒤 30여분만에 진화됐다. 경찰은 평소 치매를 앓은 이씨가 방안에 켜놓은 전열기구가 과열되면서 불이 나자 미처 빠져나오지 못해 숨진 것으로 보고 정확한 화인을 조사중이다. /안양=이용성기자 leeys@kg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