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공고.문산고 학생들 수해복구 자원봉사

“수해로 고통받고 있는 강원도 주민들을 생각할 때 학생이라고 가만히 있을 수 없어 봉사에 참여하게 됐습니다” 지난 96년과 99년 수해로 어려움을 겪었던 문산고등학교(교장 김동윤)와 파주공업고등학교(교장 이영순) 학생들이 강원도 강릉시를 찾아 수해복구 봉사 활동에 구슬땀을 흘렸다. 지난 14일 밤 11시 파주공업고등학교 학생 40명은 파주시민회(대표 윤조덕)에서 제공한 차량으로 강원도 강릉시 옥계면 북동리를 찾아 봉사활동을 펼쳤다. 이에 앞서 지난 11일 밤 10시 문산고교 박근우 교감과, 교사, 학생 40명은 ‘수해지역 자원봉사 문산읍협의회’에서 제공한 셔틀버스를 타고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임곡리에서 수해복구활동에 참여했다. 이들 학생들은 삽과 들것을 들고 수해로 가옥과 마을 곳곳에 쌓여 있는 흙과 돌을 실어 나르며 집안 곳곳을 청소했다. 복구에 참여한 민대한군(고2)은 “수해지역 현실이 TV보도 내용보다 훨씬 심각했다”며 “지난 96년과 99년 문산수해로 어려움을 겪고 있을 때 많은 자원봉사자들의 손길로 인해 아픈상처를 치유할 수 있었던 것처럼 강원도 수해 주민들도 하루빨리 재기하기를 기원한다”고 말했다. 김영선 파주시자원봉사센터 소장은 “수해를 3번이나 당한 파주 시민들은 누구보다도 수해로 인한 어려움을 잘 알고 있다”며 “수해민들을 돕는데 학생들까지 앞장서는 아름다운 모습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파주=고기석기자 koks@kgib.co.kr

광명시청 회계과 문정호씨 실무서 발간

광명시청 회계과 계약담당 문정호씨(50·행정6급)가 ‘실무핵심 예산회계·계약제도의 해설’이란 책자를 발간, 본청, 사업소, 동사무소 예산회계담당자, 공사감독관 등에게 배부해 실무담당자들로부터 호평을 받고 있다. 문씨는 지난 4개월동안 평일은 물론 주말을 이용해 자료를 직접 수집하고 편집을 통해 행정분야별 경쟁력을 높이는데 심혈을 기울여 왔다. 총 5편과 부록으로 구성된 이 책자의 제1편에는 정부회계실무가, 제2편에는 지방자치단체 예산회계, 제3편 계약제도 관련 법령구성 및 체계, 제4편 정부계약실무, 제5편은 물품·조달·공유재산으로 이뤄져 있으며, 부록편은 재무회계규칙, 인지세법, 공채소화기준, 적격심사기준, 건설공사 감독자업무지침 등으로 구성됐다. “공직자로서 실무서를 편집한데 대해 큰 보람을 느낀다”는 문 담당은 “책자를 통해 실무자들이공무원들의 업무 수행에 많은 도움이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한편, 문 담당은 지난 97년 도심지에서의 전원주택형 주거공간개발 논문과 99년 일반직 공무원의 승진제도에 관한 연구논문(행정학석사학위논문)을 발표, 경기도 시·군행정연수대회에서 2위에 입상하기도 했다. /광명=권순경기자 skkwon@kgib.co.kr

윤태운 이천도자기축제 실무추진위원장 인터뷰

“세계도자시장이 한·중·일 3국으로 집약되는 상황에서 이제 이천도자기는 한국도자기의 표준과 비전을 가늠하는 척도가 될 것으로 확신한다”는 윤태운 이천도자기축제 실무추진위원장(56·이천도자기조합 이사장). 윤 위원장은 특히 이번 도자기 축제와 관련 지난 15회를 치러오는 동안 이천도자기축제는 이제 양과 질적인 면에서 많은 발전을 거듭해 온 만큼 지역민은 물론, 관람객 모두에게 감동을 주는 축제로 승화해야 할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요지. - 축제를 맞는 소감은. ▲이천도자기축제는 지난 15년 이상을 거쳐오면서 지역 축제로는 전국 여느 축제에 뒤처지지 않는 모범적 축제로 자리잡았다. 더불어 양적팽창은 물론 질적인 면에서도 우수해 이천도자기는 이제 전국에서도 그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으며 나아가 이천의 인지도를 한단계 끌어올린 이천 문화 전달의 산파역할을 해 왔다고 생각한다. - 이천도자기의 특징은. ▲이천 신둔지역은 도자 요장의 집성촌이라 할 수 있는데 이것이 바로 이천도자의 경쟁력을 높이고 있는 밑거름이라 생각한다. 인근 여주 등과는 달리 이천도자기는 그 예술성이 탁월해 한국도자의 본거지임을 감히 자신한다. - 조합을 어떻게 이끌어 나갈 것인지. ▲도예인의 의식변화와 더불어 기술 및 각종 디자인 개발 등을 통해 그 경쟁력을 확보토록 하고 앞으로 개인능력향상에다 요장의 특성을 살린 기술개발, 그리고 판매 마케팅 전략을 적극 발굴해 자생력을 키워 나갈 것이다. - 끝으로 당부하고 싶은 말은. ▲인위적으로 관람객을 끌어들이는 것이 아닌 관람객 스스로 찾아드는 축제가 돼야 할 것이다. 그렇기 위해서는 이천시민 스스로 관심과 참여가 절실하고 나아가 이제는 관주도가 아닌 민간주도로 행사가 이뤄져 신명나는 한마당이 진정한 의미의 지역축제라 생각한다./이천= 김동수기자 dskim@kg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