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 라자로마을 설립 50주년

의왕시 오전동 모락산 기슭에서 의지할 곳 없는 나환우들을 치료하고 치유된 사람들의 사회 복귀를 도와주고 있는 성 라자로마을(원장 김화태신부)이 올해로 설립 50주년을 맞았다. 지난 1950년 6월2일 미국 메리놀회 선교사인 죠지 캐롤 안주교가 사회로부터 따돌림을 받는 나환우들을 위해 만든 천주교의 대표적인 나환우 시설인 이곳은 주변의 냉대속에서도 지난 반세기 동안 여러 사람들의 헌신적인 노력으로 국내뿐 아니라 세계적인 나환우 복지시설로 발돋움했다. ‘성 라자로마을’이란 이름은 신약성서에 나오는 종기 투성이의 거지 ‘라자로’(루가복음 16장 19절)와 예수께서 다시 살려주신 ‘라자로’(요한복음 11장11절)에서 따온 것으로 비록 나환우들이 지금은 고통받고 있지만 언젠가 예수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다시 살아날 것이라는 희망의 메시지를 담고 있다.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꾸준히 활동을 계속하던 성라자로마을이 본격적으로 도약기에 들어선 것은 지난 1970년 故 이경재(1926∼1998)신부가 제7대 원장으로 부임하면서 부터다. 1952년 3월부터 2년간 초대원장을 역임한 후 미국에서 근무하던 이 신부는 라자로마을의 어려움이 계속되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자원해서 다시 마을로 돌아와 세상을 떠날 때까지 28년간을 줄곧 이곳을 위해 헌신했다. 현재 노약자 나환우 110명과 치유된 자립정착민 200여명이 고 이경재 신부의 뒤를 잇고 있는 김화태 신부와 6명의 수녀, 20여명의 직원들과 함께 생활하고 있는데 성라자로마을이 지금까지 되기에는 ‘라자로돕기회’의 역할이 매우 컸다. 이경재 신부의 재부임과 동시에 만들어졌던 ‘라자로돕기회’는 회원 2만명의 큰 조직으로 성장해 이신부의 활동을 적극적으로 후원해 주었던 것이다. 라자로돕기회(회장 봉두완)는 오는 16일 오후 7시30분 서울 세종문화회관 대극장에서 성라자로마을 설립 50주년을 기념하는 자선음악회 ‘그대 있음에’를 마련한다. 이번에 마련되는 공연‘그대 있음에’는 이웃으로부터 소외당하고 격리된 채 살고 있는 나환우들에게 용기와 희망을 주기 위해 라자로돕기회가 지난 75년부터 마련해 온 음악회로 올해로 열여덟번째 마련된 것이다. 그동안 송창식 등 통기타 가수들의 콘서트를 시작으로 클래식과 팝, 연극, 오페라 등 다양한 장르를 무대에서 펼쳐왔다. 이번 공연에는 박은성이 지휘하는 서울시교향악단과 피아니스트 이경숙, 바이올리니스트 이성주, 소프라노 박미혜, 메조소프라노 김현주, 테너 박세원, 바리톤 고성현 등 국내 정상급 음악인들이 출연해 멋진 선율과 사랑을 선사할 계획이다. 뿐만 아니라 공연 수익금은 전액 국내·외 나환우 치료를 위한 기금으로 지원될 예정이다. (0343)452-5655 /박인숙기자 ispark@kgib.co.kr

세계모형선 특별전시회 열려

해양의 역사와 세계 여러나라들의 선박 발전상을 한눈에 보고 배울 수 있는 전시회가 열려 관심을 끌고 있다. 지난 3일부터 오는 6월4일까지 수원시 장안구 송죽동 만석공원내에 소재한 수원시립미술관에서 열리고 있는 ‘세계모형선 특별전시회’가 바로 그것. 부산에 있는 미니어쳐제작 전문업체인 태평양모형 주식회사가 마련한 이번 전시회는 그동안 서울을 비롯한 전국 대도시를 순회전시하면서 많은 관람객들의 호기심과 관심을 끌면서 성황리에 마친 바 있다. 수원에서는 처음으로 갖는 이번 전시회에는 떼배부터 거북선, 고려시대 보물선, 콜롬버스의 산타마리아호, 미해군의 주력항공모함, 타이타닉호 등 세계사적으로 유명한 선박모형 70여점이 전시되고 있다. 특히 지난 95년 전국 모형대회에서 대상을 차지했던 스페인 범선 산훼리페호와 97년 전국 모형대회 은상작품 미해군 전함미주리호 등 보는 이들로 하여금 감탄을 자아내는 작품들이 많이 전시돼 있어 눈길을 끈다. 서너명이 팀을 이뤄 한 작품을 제작하는데 걸리는 기간은 보통 3∼4개월 정도. 실물크기를 몇 백분의 일, 몇 천분의 일로 그대로 축소해 만드는 작업인 만큼 작업과정이 섬세하고 정교하다. 이번 전시회를 준비한 정기준 대표이사는 “전국적으로 미니어쳐를 전문으로 제작하는 업체가 몇개 되지 않고 전문 교육기관이 없을 정도로 이쪽 분야는 아직 많이 알려지지 않았다”면서 “관람객들이 모형배 전시를 통해 세계 선박사를 한 눈에 익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모형작업에 대한 일반인들의 관심과 이해를 도모하고자 몇 년째 전국을 돌며 전시회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또 현재 준비중인 전국 30대 사찰 미니어쳐가 마무리 되면 다시 한번 전시를 할 계획이며 곧 세계 100대 불가사의 제작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0331)257-2966 /박인숙기자 ispark@kgib.co.kr

한탄강변유원지서 열전! 가수왕 개최

‘서민들을 위한 무대’ 경기문화재단이 주최하는 문화소외지역 대중예술 순회공연 ‘열전! 가수왕’이 7일 연천 한탄강변유원지에서 열린 것을 시작으로 오는 12월말까지 계속된다. 도내 문화소외지역 주민들을 위해 마련된 ‘열전! 가수왕’은 노년층이나 중년층은 물론 젊은이들까지 한데 어울릴 수 있는 것이 특징. 일반 시민들이 직접 참가하는 이번 행사를 통해 삶의 활력을 함께 즐길 수 있는 무대로 연말까지 도내 문화소외 지역 주민들을 찾아다니며 모두 60차례에 걸쳐 진행된다. 가요경연대회와 함께 진행될 축하공연에는 인기가수와 댄싱팀을 초청, 신바람나는 한마당 가요잔치를 펼친다. 또한 매 공연때마다 도 생활체육협의회 소속 에어로빅팀을 출연시켜 생활체육 활성화도 기대하고 있다. 이를 위해 사회자와 함께 5인조 밴드로 구성된 공연단을 2개로 조직, 경기 남부와 북부로 나눠 재래장터나 공단 등 도내 곳곳을 누비며 순회공연을 벌이게 된다. 도는 또한 순회공연 도중 지역의 명물이나 자치단체장이 지역을 소개하는 시간을 마련해 지역홍보의 장으로도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특히 지역축제와 연계개최해 지역축제 활성화도 도모한다는 방침이다. 문의 도 문화정책팀 (0331)249-4681 /신현상기자 hsshin@kgib.co.kr

서양화, 한국화 어우러진 333인 창립전

주목받고 있는 젊은 작가 9명이 모여 각자의 개성을 한껏 발산하는 전시회를 갖고 있어 눈길을 끌고 있다. 5일부터 11일까지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 전시장에서 열리는 333인 창립전은 조각, 서양화, 한국화가 한데 어우러진 자리. 한 전시장에 아홉개의 부스를 설치해 각 부스에서 작가가 개인전 형식으로 마련하고 있는 전시다. 이번에 참여한 작가는 조각의 김낙준·김창기·임일택과 서양화의 고진오·김병찬·박인우, 한국화의 이근식·이의재·임종각 등 9명이다. 인천을 주무대로 활동하면서 왕성한 창작의욕으로 저마다 개성있는 작업을 해 온 이들은 이번 전시를 통해 그동안 단체전의 한계와 개인전의 한계를 극복하고 있다. 참여 작가 모두 같은 분야에서 활동하지만 전혀 다른 작업을 추구하고 있어 관람객들은 한 전시장에서 작가들의 작품을 서로 비교 감상할 수 있어 즐겁다. 조각 3인은 각각 그 소재와 재료면에서 서로 다른 개성을 보이고 있는데 먼저 인천청년작가협회 회장을 맡고 있는 김낙준은 철을 이용해 제작한 솟대를 선보이고 김창기는 돌을 재료로 한 비구상 설치작품을, 임일택은 페트병을 이용해 서민들의 일상을 재미있게 표현한 작품을 선보이고 있다. 비교감상 재미가 더하기는 서양화도 마찬가지. 고진오는 우리의 정겨운 자연을 유화로 표현했고 박인우는 오일 캔버스로 표현했다. 또 김병찬은 나무에 혼합재료를 이용한 ‘청산별곡’시리즈를 전시해 평면의 단조로움을 극복하면서 입체감이 주는 즐거움도 더한다. 한국화 3인의 이근식은 한지에 먹채색을 이용해 전통적 기법에 현대적 요소를 많이 가미했다. 그래서 멀리서 얼핏보면 전혀 한국화같지 않고 오히려 서양화인듯 싶은 느낌이 와닿는다. 이의재는 검은 먹선과 필치가 돋보이는 전통 수묵화를 추구한다. ‘들꽃’이나 ‘민들레’같은 작품에서는 소재자체가 주는 순수함이 작품에 그대로 배어난다. 임종각의 작품은 간결하고 깨끗하다. 붓선도 간결하고 단조로우며 채색도 선명하고 깨끗하다. 이들 ‘333인’은 이미 지난해 결성돼 부천에서 전시회를 가진바 있다. 이들은 이번 창립전을 계기로 더욱 더 창작에 매진할 계획이다. /박인숙기자 ispark@kgib.co.kr

세계 유명 아트센터 인터넷 사이트

“클릭 하나로 전 세계 유명 아트센터를 누빈다” 인터넷은 이제 시간·공간을 초월한 ‘정보의 바다’라는 개념을 뛰어넘어 우리 생활에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수단으로 자리잡고 있다. 문화예술의 향유도 이젠 전시장이나 공연장에 직접 가지 않아도 된다. 국내뿐 아니라 비행기를 타지않아도 세계 어디든 원하는 곳에서 원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예술인뿐 아니라 관심있는 일반인들도 꼭 한번은 가보고 싶어하는 세계의 유명한 아트센터를 알아본다. ▲바비칸센터(http://www.barbican.org.uk)=런던의 대표적인 문화 컴플렉스로 명성을 쌓은 바비칸센터의 홈페이지에는 미술, 음악, 영화, 연극 등의 메뉴가 준비돼 있고 일반 정보는 물론 초기화면 하단과 음악, 연극 메뉴화면에는 상주단체인 로얄 세익스피어 컴퍼니(RSC)와 런던 심포니가 랭크돼 있다. ▲사우스뱅크센터(http://www.southbank.org)=바비칸센터와 라이벌인 사우스뱅크센터 홈페이지는 음악, 공연과 무용, 미술과 함께 문학 관련메뉴가 있는 것이 특징. 또한 로얄 페스티벌홀과 헤이워드 갤러리의 메뉴가 있는데 로얄 페스티벌홀에 들어가면 주로 연주회 중심으로 자세한 일정과 부킹 정보를 얻을 수 있고, 헤이워드갤러리는 전시회와 함께 갤러리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퐁피두센터(http://www.centerpompidou.fr)=이미 파리의 명물로 자리잡은 이 곳의 홈페이지는 공공정보도서관(Bpi)과 음악·음향연구소(Ircam)를 비롯한 센터내 주요 기관에 대한 별도 메뉴와 함께 전시·박물관·교육·자료 등의 정보가 마련돼 있다. 내부에서 벌어지는 전시, 영화를 비롯한 각종 행사의 프로그램도 안내한다. ▲가슈타이센터(http://www.gasteig.de)=뮌헨의 가슈타이센터는 얼마전 타계한 마에스트로 세르지우 첼리비다케가 조련한 ‘뮌헨 필’의 근거지로도 유명한 곳이다. 이곳의 홈페이지에서 가장 핵심적인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메뉴는 Das Haus와 Besucher라는 두가지 메뉴로 가슈타이 센터의 전체적인 연혁, 뮌헨 필과 필하모닉 소개, 연간 프로그램 및 입장권 예매도 할 수 있으나 아직까지는 독일어로만 소개되고 있다. ▲링컨센터(http://www.lincolncenter.org)= 메트로폴리탄 오페라하우스와 애버리 피셔홀 등 최고의 공연장을 거느린 링컨센터의 홈페이지는 애버리 피셔홀과 알리스 툴리홀의 박스 오피스가 별도의 화면으로 독립되어 있다. 특히 이름만으로도 유명한 공연장과 공연단체들이 많다. 이밖에 케네디센터(http://www.kennedy-center.org), 호주의 시드니 오페라하우스(http://www.soh.nsw.go.au)와 빅토리안 아트센터(http://www.artscentre.net.au), 일본의 아이치 아트센터(http://www.aac.pref.aichi.jp)와 신동경국립극장(http://www.nntt.jac.go.jp), 그리고 홍콩 아트센터(http://www.usd.gov.hk/hkcc)와 2002년 개관예정이지만 벌써부터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동남아의 선두주자 싱가포르의 에스플레네이드(http://www.esplanade.com.sg) 등도 가볼 만하다. /신현상기자 hsshin@kgib.co.kr

애완동물 키울때 유의해야할점

요즈음은 아이들의 정서생활을 위해 개나 고양이, 토끼, 햄스터, 이구아나 같은 애완동물을 키우는 가정이 늘고 있다. 애완동물을 키우려면 무엇보다 관리를 잘 해주어야한다. 그렇지 않으면 질병감염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특히 어린이나 임산부가 있는 가정은 애완동물에게 구충제를 복용시켜 기생충감염을 막고 배설물 등을 깨끗하게 관리하는데 각별히 신경을 써야한다. 애완동물이 옮기는 질병들에는 고양이 침에 섞여 있는 세균이 몸에 침범해 생기는 묘조병,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의 작은 기생충이 고양이 대변을 통해 사람에게 전염돼 일으키는 톡소플라즈마증, 흙이나 먼지, 동물이나 사람의 대변 등에 섞여 상처를 통해 감염되는 파상풍과 오랫동안 발병사례가 없다가 최근에 다시 나타나기 시작하는 광견병등 여러 가지가 있다. 애완동물을 키울 때는 이런 전염병에 각별히 유의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선 먼저 애완동물의 배설물이나 이런 배설물로 더러워진 물건을 만지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또 애완동물과 뽀뽀를 하거나 음식을 함께 먹는 일은 세균감염의 위험이 있으므로 삼가한다. 애완동물로 인한 감염을 피하려면 담당수의사가 권하는 대로 때맞춰 기생충 약을 먹이고 예방주사를 맞춰야 한다. 이것이 동물을 건강하게 할 뿐 아니라 스스로를 동물기생충이나 질병에 전염되지 않게 예방하는 좋은 방법이다. 또 하나 유의할 점은 애완동물에게 날고기를 먹이지 말아야 한다. 애완용 고양이가 날고기를 먹는 버릇이 들면 쥐를 잡아 먹으려 하게 되고 이것이 톡소플라즈마 기생충에 감염되는 제일 큰 원인이다. 이밖에 어린이가 애완동물과 놀고 있을 때는 잘 지켜보아야 한다. 어린아이들은 애완동물과 뽀뽀를 하고 동물의 입에 넣었던 손가락을 자신이 빨기도 하므로 애완동물로부터 병이 옮을 수 있는 위험이 많다. 만약 애완동물을 새로 키운다면 고양이 새끼나 어린 강아지를 들이는 것보다 좀 나이가 든 고양이나 개를 들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 자란 애완동물일수록 병에 잘 안걸리고 그만큼 병을 옮기는 일도 드물기 때문이다. /박인숙기자 ispark@kgib.co.kr

아주대병원 엑시머레이저기기 도입

아주대학교병원이 라식수술과 엑시머수술을 동시에 할 수 있는 국내 최고의 엑시머레이저기기를 도입, 이달 중순부터 시력교정시술을 시행한다. 아대병원이 도입한 이 기기의 기종은 ‘테크놀라스 217 엑시머레이저’로 현재 시판중인 기기중 최고가이자 최고의 성능을 지니고 있다. 이 기기의 장점은 라식수술과 엑시머레이저수술을 모두 할 수 있다는 것과 Plano Scan 방식의 빔을 이용해 각막조직을 균일하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시력교정을 보장하면서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것. 특히 안구추적장치가 내장되어 있어 시술중 환자가 눈을 움직이더라도 환자의 시축을 따라다니면서 레이저를 각막에 조사할 수 있어서 눈의 움직임으로 인한 사고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이 기기로 시행할 수 있는 시력교정술의 대상은 -10디옵티까지의 고도 근시는 물론 심한 난시나 원시환자도 시술할 수 있으며 한쪽 눈만 근시가 심해 시력균형이 잡히지 않는 경우나 백내장 수술을 받은 뒤 생긴 난시도 교정이 가능하다. 한편 안과에서는 보다 자세한 정보를 얻고 싶은 사람들을 위해 매주 목요일 오후 1시30분부터 1시간동안 3층 회의실에서 ‘엑시머·라식 설명회’를 개최한다. 문의 (0331)219-5673 /신현상기자 hsshin@kgib.co.kr

무릎관절염 쪼그려앉는 자세가 주원인

걸레질과 빨래 등 오랫동안 쪼그려앉는 자세와 비만이 무릎관절염의 주원인이 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가천의대 동인천길병원 이수찬교수팀은 98년 7월부터 올 2월까지 무릎관절염 수술을 받은 환자 451명과 정상인 68명을 비교 조사한 결과 비만과 좌식(座式)생활이 무릎관절염의 중요 원인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퇴행성 무릎관절염은 나이가 들면서 관절연골이 닳아 없어져 생기는 병으로 아직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고 있으며 55세 이상 인구의 80%, 75세 이상의 거의 전 인구가 퇴행성 관절염의 소견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연구결과 조사대상 무릎관절염 환자는 남자의 경우 비만지수(BMI:체중을 키의 제곱으로 나눈 값)가 27.4, 여자는 26.8로 정상치(남자 22이하, 여자 21이하)보다 매우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또 환자군과 정상인의 평소 생활자세를 빨래방법, 식사자세, TV시청자세, 청소, 취침, 화장실 등 6가지로 나눠 조사한 결과 환자군의 경우 손빨래나 걸레질 등 쪼그리고 앉는 자세가 정상인보다 훨씬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걸레질과 손빨래 등 무릎을 심하게 구부리는 자세(130°이상)를 취하면 체중의 7∼8배에 달하는 무게가 무릎관절에 쏠려 큰 부담을 줌으로써 무릎관절염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 교수는 이 연구결과를 ‘슬관절 인공치환술을 받은 환자를 중심으로 살펴본 퇴행성슬관절염의 위험인자’라는 논문으로 학회에 발표할 예정이다. 이 교수는 “비만은 관절 주위에 물리적인 힘을 가중시켜 관절파괴 속도를 가속화하고 당뇨, 고콜레스테롤증 등을 일으켜 관절연골 퇴화를 촉진한다”며 “무릎관절염을 예방하려면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고 무릎관절에 부담을 적게 주는 입식(立式) 생활로 개선해 나가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연합

문화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