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는 설 선물 없어요'…노인복지시설 기부 '뚝'

경기침체와 서민경제 불황으로 사회복지시설에서 지내고 있는 노인들을 찾는 발걸음이 눈에 띄게 줄었다. 노인들은 창밖을 바라보며 사람의 발길을 그리워하고 있다. 부산 북구 화명동의 모 양로원 사무실. 지난해 명절 무렵 명절이 낀 주중에 가득했던 손님 방문 기록판이 휑하니 비어 있다. 명절 전이면 개인과 단체 등에서 어르신들을 위해 들고 오던 명절 선물이 눈에 띄게 줄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해 추석 무렵 10여 건에 이르던 명절선물이 이번 설에는 2건에 그쳤다. 양로원 원장은 "경기가 어려워서 그런지 이맘때쯤이면 명절선물을 가지고 오던 기업과 단체들이 눈에 띄게 줄었다"며 "표현은 하지 않아도 어르신들이 내심 섭섭해하는 모습을 보면 마음이 아프다"고 한숨지었다. 노인들은 창가를 두리번거리며 혹시나 손님이 오나 기다려 보지만 오지 않는 손님에 허탈한 마음만 더 커진다. 이 양로원에서 생활하는 신 금난(76) 할머니는 "양로원 마당에 차라도 들어오면 트렁크에서 뭘 꺼내나 하고 유심히 보게 된다"며 "그래도 명절때면 사람들이 오곤 했는데 유독 이번 설에는 사람들이 오지 않는다"고 섭섭한 마음을 드러냈다. 사하구에 있는 모 노인요양원은 지난겨울 동안 아껴뒀던 연료비를 설 떡을 준비하는데 썼다. 지난해 추석 때는 모 기업에서 떡을 보내왔지만 올해는 소식이 없기 때문이다. 중소제조업체가 몰려 있는 사하구의 특성상 지난해엔 기업체 15곳에서 명절선물이 밀려들었지만 올해는 4곳의 기업체에서만 선물을 보내왔다. 부산에 있는 다른 노인시설들도 사정은 비슷해 간간이 이어져 오던 개인과 기업의 설 선물이 끊겨버린 곳까지 있다. 금융위기 이후 중소기업과 서민들의 생활이 어려워진 데다 최근 지진피해를 입은 아이티에 온정의 손길이 몰리면서 시설 노인들의 올해 설은 지난해보다 조금 더 외로운 명절이 되고 있다.

‘외국인 임금체불 보험’ 가입 외면

도내 일부 사업장들이 외국인 근로자 고용시 의무적으로 가입하도록 돼 있는 임금체불 보증보험 가입을 외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5일 경인지방노동청에 따르면 현행 외국인 근로자의 고용 등에 관한 법률 23조에 따라 외국인 근로자를 고용한 사업주는 임금체불에 대비해 반드시 임금체불 보증보험에 가입토록 하고 있다.이 제도는 외국인 근로자들의 임금체불 현상이 잇따르자 이를 막기 위해 지난 2005년부터 도입된 것으로 사업주는 보증보험에 가입한 뒤 매달 일정료를 납입해야 한다.하지만 이날 현재 경기도내 외국인 근로자를 고용하고 있는 3만9천77곳의 사업장 가운데 5천400여곳(전체 약 14%)이 보증보험에 가입돼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이에 따라 이들 사업장을 중심으로 임금 체불이 늘면서 외국인 근로자들의 피해가 늘고 있는 실정이다.실제로 지난 한해 동안 도내에서는 모두 4천263명의 외국인 근로자들이 회사가 보험에 가입하지 않아 임금을 지급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체불액수가 무려 112억원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외국인 근로자 T씨(35필리핀)는 5개월치 임금 500만원을 받지 못해 노동부에 신고했지만 회사는 보증보험에 가입조차 돼 있지 않은 회사였다라며 앞으로 임금을 받을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불평했다.이에 대해 경인지방노동청 관계자는 외국인 근로자 고용 사업장에 대해 1년에 두차례씩 보험가입여부를 점검하고 있으나 인력부족으로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라며 외국인 근로자들의 임금체불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보다 철저히 단속을 벌이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권혁준기자 khj@ekgib.com

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