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견을 깬 질주… 뿌듯해요”

달리는 데 장애가 무슨 장애가 되나요? 으레 색안경을 끼고 바라보는 사람들의 시선이 부담스러울 뿐이죠.올해 경기마라톤대회의 주인공은 우승자가 아니었다. 그렇다고 200회 완주를 달성한 한 노(老)주자도 아니었다. 수 만명의 마음을 뭉클하게 한 감동 레이스의 주인공은 다름아닌 장애인 마라토너들이었다.이날 대회에는 우리도 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이라도 하려는 듯 경기도 장애인종합복지관(관장 최영) 소속 40여명의 장애인들이 출발선에 섰다. 도전 코스는 5㎞. 경기마라톤대회의 코스 중 가장 짧은 거리이긴 하지만 평소 운동을 꾸준히 해오지 않은 사람들에겐 벅찬 거리다.출발에 앞서 허승연 도 장애인종합복지관 교육문화센터장은 이번 대회를 통해 장애인들이 보다 편안하게 지역행사에 참가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고, 장애인 스스로 체력의 한계를 이겨냄으로써 자신의 삶을 더욱 소중하게 여길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 주고 싶었다며 모두가 최선을 다해 완주할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출발 폭죽과 함께 서로의 손을 꼭 잡은 장애인 마라토너들이 힘차게 출발점을 뛰쳐 나갔다.출발한지 40여분이 되자 마침내 첫 번째 장애인 주자가 모습을 드러냈다. 안면에 땀방울이 맺혀 있는 그의 모습은 한마디로 인간승리를 떠올리게 했다.이 기쁨을 가장 먼저 부모님께 알리고 싶다는 김태균씨(33지적장애 3급)는 앞으로도 기회가 되면 또 뛰고 싶다. 좀 더 노력해서 10㎞에도 도전해 보고 싶다며 완주의 기쁨을 전했다.김씨 외에도 장애인 마라토너들의 감동 레이스는 한동안 계속해서 이어졌다. 결국 1시간 40여분이 돼서야 마지막 주자인 한찬미씨(26여지적장애 2급)가 결승점에 골인했다.한씨는 다리에 힘이 풀려 중간에 주저앉았지만 그 때마다 손을 잡아주던 동료와 화이팅을 외쳐주는 자원봉사자, 박수를 보내주는 시민들이 있어서 오뚝이처럼 다시 일어설 수 있었다며 나도 해냈다는 생각에 너무나 기쁘고 뿌듯하다며 가쁜 숨을 몰아쉬었다.결국 이날 경기도 장애인종합복지관 소속 장애인 참가자들은 한 사람의 낙오자도 없이 모두가 완주의 기쁨을 누렸다. /특별취재반

재활복지大, 장애인 복지 앞장

한국재활복지대학(이하 복지대)이 장애인의 날을 맞아 세계 최초로 개발한 수화번역 도서와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보이스아이 기기를 청각장애인들에게 제공키로해 화제다.복지대학은 오는 20일 장애인의날을 맞아 도서(문자)를 수화로 번역하고 도서( 문자)와 수화번역을 연결하는 바코드를 활용해 개발한 보이스아이 기기를 14개 대학 장애학생 지원관계자 및 도서관 등에 제공한다.보이스아이 기기는 복지대 교육역량 강화사업팀(팀장 허일 수화통역과교수)이 청각장애 학생들에게 전공 및 교양서적의 수화 번역본을 제공, 학습 이해도와 지식정보 접근성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세계 최초로 개발한 수화사용 청각장애 학생을 위한 수화번역도서(Two-Way Book)이다.또한 복지대는 중증장애 학생들을 위한 재택 원격교육을 실시해 중증 장애인들의 고등교육 기회 확대와 평생교육의 기틀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원격교육지원시스템을 활용, 서울대를 포함해 전국 13개 대학에 재학 중인 24명의 청각장애 학생들에게 수화통역 및 속기지원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복지대학 내의 원격지원센터를 연계한 학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아울러 복지대는 대학내의 보조공학센터를 지역사회에 개방하는가 하면 보조공학 기기를 무상으로 대여하고 있다. /평택=최해영기자 hychoi@ekgib.com

‘더 큰 나눔’ 위한 화합의 한마당

경기도내 사회복지사들이 한 자리에 모여 단결과 단합의 체육행사를 마련, 선후배들 간의 소통으로 한 단계 발전할 수 있는 행사가 열렸다.㈔경기도사회복지사협회(회장 김궁자)가 주최하고 경기일보 등의 후원으로 지난 17일 협성대학교 중강당 및 운동장 인근에서 열린 제1회 경기도사회복지사대회는 도내 13개 각 시군지회 사회복지사 500여명과 각 대학에서 사회복지를 전공하는 예비 사회복지사들이 자원봉사자로 참여해 선후배가 함께하는 축제의 장이 됐다.행사는 1부 경기도사회복지사협회장배 계주 및 축구대회, 2부 사회복지사의 날 기념행사, 3부 축하공연 등의 순서로 진행됐다.이날 김궁자 회장은 대회사를 통해 1년 전부터 준비해 온 이번 행사는 오는 22일 사회복지사의 날을 기념하고 사회복지사들의 사기진작과 친목을 나누는 장으로 올해 처음 마련됐다며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서로 마음을 나누며 응원하고 하나라는 공통된 의식을 고취하는 공연을 통해 격려와 즐거움을 줄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밝혔다.또한 자원봉사자로 참여한 협성대 사회복지학과 학생들 20여명은 선배들을 가까이서 보며 열띤 응원을 펼치고, 사회복지사 선서 등을 낭독하며 함께하는 즐거움을 만끽했다.한편, 행사에는 유연채 경기도 정무부지사, 김원영 경기도사회복지협의회장, 조성철 한국사회복지사협회장을 비롯해 62 지방선거 예비출마자들도 대거 참석했다. /권소영기자 ksy@ekgib.com

“건강하시죠~ 정오의 실버DJ입니다”

안녕하세요, 정오의 실버DJ입니다성남시 중원노인종합복지관에 설치된 스피커를 타고 노인의 중후한 목소리가 울려 펴진다.오늘은 날씨가 몹시 따뜻하네요, 하지만 노인들은 환절기 건강이 무엇보다 중요하므로 조심하셔야 합니다성남 중원노인종합복지관은 지난달 9일, 노인 4명으로 구성된 방송반을 만들어 매주 화, 목요일 점심시간에 다양한 소식을 전하고 있으며 이 방송의 청취자는 무려 1천여명에 이른다.이들이 주로 전하는 소식은 건강관련 정보를 비롯해 최신뉴스 등 다양한 장르의 소식을 전하고 있다. 오후 12시 20분부터 30여분 동안 계속되는 이 방송은 뉴스 외에 클래식, 퓨전음악, 최신 대중가요 등 청취 노인들의 흥을 돋우는 음악도 곁들이고 있다.젊은 시절 사내 방송경험이 있어 방송반에 들었다는 실버DJ 김정현(67)할아버지는 함께하는 노인들에게 보다 생생한 소식을 전하기 위해 신문이나 방송을 모니터하는게 번거롭긴 하지만 방송 후 듣는 칭찬에 힘이난다며 아직 방송 초기여서 미숙한 점도 있고 아쉬운 부분도 많지만 대본작성연습, 스피치연습, 모니터링 등을 통해 그 역량을 키워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성남=문민석기자 sugmm@ekgib.com

노인층 희망근로 ‘중도 포기’ 속출

희망근로사업의 업무 강도가 높아지면서 주 참여층인 노인들이 사업 참여를 포기하는 등 중도 포기자가 속출하고 있다.13일 경기도와 일선 시군에 따르면 지난달 2일부터 6월 말까지 도내에서 한시적으로 시행하는 희망근로사업의 참여 인원은 모두 2만150명으로 집계됐다.그러나 2개월이 지난 현재 중도 포기자가 전체의 약 10%인 2천14명에 달해 각 지자체 마다 대체 근로자를 투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지난해의 경우 화단 풀뽑기나 플래카드 정비, 가로정비사업 등 단순사업이 주를 이뤘으나 올해는 공공시설 개보수, 슬레이트 지붕 교체, 공공하수도 정비 등 생산위주 사업으로 바뀌면서 노인층의 참여폭이 크게 줄었기 때문이다.또 65세 이상 노령자의 경우 안전사고 등을 우려해 주 3일이나 하루 4시간으로 근무시간이 제한되면서 급여가 50여만원으로 일반 참여자(83만원)의 60% 수준에 머무르는 것도 한 원인이 되고 있다.실제, 의정부시의 경우 1차로 750명을 배정했으나 이중 280여명이 근로를 중도에 포기해 현재 대기자 투입 등으로 63개 사업장에서 650여명이 일하고 있으며 중도 포기자중 65세 이상 노인층이 70%에 육박하고 있다.게다가 대기자 100여명 가운데 65세 이상 노인이 많아 이 사업에 투입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양주시도 1차 합격자 574명 중 439명을 배치했으나 이 중 154명이 중도에 포기했고 포기자의 60% 이상이 65세 이상 노인이 차지하고 있다.근로사업을 중도에 포기한 한 모씨(67)는 일을 하고 싶어도 작업강도가 높아 중도에 포기할 수 밖에 없었다면서 노인들이 할 수 있는 적정 강도의 작업이 배분돼 사업취지를 높였으면 한다고 말했다.이에 대해 A시 관계자는 65세 이상 노인의 경우 지난해에 비해 30㎏짜리 맨홀 옮기기 등 업무 강도가 세고, 힘든 노동에 비해 급여도 적다 보니 중도에 그만두는 사례가 늘고 있다며 나이가 많은 대기자들은 자활센터나 노인일자리사업 등으로 유도하고 있다고 말했다./의정부=이종현기자 major01@ekgib.com

사회 연재

지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