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부평 문화의 거리 야시장 조성사업을 둘러싼 상인 간 갈등(본보 7일 자 7면)이 일단락돼 사업이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인천시의회는 28일 의장 접견실에서 이성만 의장, 인천시와 부평구 주무부서, 문화의 거리 소속 상인 등 1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야시장 개설 관련 간담회를 했다. 상인회는 최근 안전행정부의 전통시장 야시장 사업 공모를 앞두고 공모 참여를 구에 제안했지만, 일부 상인이 반대하면서 상인 간 갈등이 빚어졌다. 이날 간담회에서도 노점상 운영 문제, 상점가 성격 변질 등을 두고 갈등이 재현돼 간담회 초반부터 고성과 욕설이 오가면서 파국으로 치닫는 듯했다. 하지만, 2시간여에 걸친 논의 끝에 양측은 부평역 상권 활성화라는 사업 취지에 공감, 서로 사과하고 사업 추진방안 모색에 뜻을 모았다. 이날 참석자들은 찬성 측 상인과 반대 측 상인이 자리를 마련해 새로운 야시장 조성계획을 협의하기로 했다. 새 조성계획이 마련되면 공청회를 다시 열어 다른 상인의 동의를 구하고, 구에 사업을 다시 제안해 안행부의 사업 공모 일정에 맞출 예정이다. 시와 구도 부평 문화의 거리가 부평역 상권의 핵심 상점가로 뛰어난 접근성과 인프라를 갖춘 만큼 상인 간 협의만 원만하게 이뤄진다면 적극적으로 사업을 추진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박용준기자 yjunsay@kyeonggi.com
유엔 녹색기후기금(GCF)의 헬라 체크로흐 사무총장이 세월호 사고에 깊은 애도를 전했다. 인천시는 헬라 사무총장이 지난 22일 서한을 보내 슬픔을 같이 했다고 28일 밝혔다. 헬라 사무총장은 서한에 GCF와 직원 모두를 대표해 비극적인 여객선 침몰 사고를 겪은 인천시와 시민 여러분께 진심으로 애도를 표한다며 희생자의 가족, 친지와 친구는 물론 사랑하는 이들의 소식을 기다리는 모든 분들에게 위로를 전한다. GCF는 가슴 아픈 비극을 겪은 인천시민에게 아낌없는 지원과 우정을 약속한다고 전했다. 이와 함께 인천시 자매우호도시에서도 애도 서한이 도착했다. 중국 톈진(天津)시 황싱궈 시장도 최근 서한을 보내 텐진시와 텐진시민을 대표해 또한 제 개인적으로 희생자분들께 깊은 애도의 뜻을 표하며 유가족 및 실종자 가족 여러분께 삼가 위로의 말씀 전한다면서 불의의 사고를 당한 귀국에 깊은 동정을 표하며 아울러 귀국 특히 인천시가 강한 정신력으로 이번 위기를 극복해 낼 것으로 굳게 믿는다고 전했다. 일본 요코하마시 하야시 후미코 시장도 서한을 보냈다. 하야시 시장은 세월호의 사고 소식을 듣고 진심으로 가슴 아프게 생각한다며 이웃이 곤경에 처해 있을 때는 그 고통을 함께 나누고 싶다. 인천시와 나아가 대한민국 국민 여러분이 하루라도 빨리 마음의 안정을 되찾을 수 있기를 진심으로 기원한다고 전했다. 김미경기자 kmk@kyeonggi.com
인천 중부경찰서는 27일 중국 국적 의붓딸을 때려 상처를 입힌 혐의(존속상해)로 A씨(56)를 불구속 입건했다. 경찰에 따르면 A씨는 지난 26일 밤 10시40분께 인천시 중구 자신의 집에서 의붓딸인 중국인 B씨(23)의 목을 조르고 얼굴과 팔 등을 때려 상처를 입힌 혐의를 받고 있다. A씨는 국제결혼 후 입국한 아내와 생활고로 말다툼하던 중 B씨가 말리자 격분, 이 같은 짓을 저지른 것으로 드러났다. 신동민기자 sdm84@kyeonggi.com
인천 연안부두에 수리차 정박 중이던 예인선이 침수돼 기름이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27일 인천해양경찰서에 따르면 지난 26일 밤 11시10분께 인천시 중구 연안부두 1잔교 인근에서 102t급 예인선이 침수돼 배에 실려 있던 연료(벙커A유) 9㎘ 중 일부가 해상으로 유출됐다. 다행히 인명피해는 없었다. 해당 선박은 스크루에 걸린 어망을 제거하는 등 수리를 위해 썰물 때 갯벌 위에 올려놨다, 밀물 때 배가 기울어 침수된 것으로 조사됐다. 인천해경은 사고 발생 후 경비함정 2척과 122구조대, 해양환경관리공단 방제선 등을 긴급 투입해 오일펜스를 치고 흡착포로 기름을 빨아 들이는 등 방제작업을 하고 있다. 신동민기자 sdm84@kyeonggi.com
인천 계양경찰서는 16일 인터넷 채팅으로 알게 된 여성의 금반지를 빼앗아 도망간 혐의(절도)로 A씨(28)를 불구속 입건했다. 경찰에 따르면 A씨는 지난 9일 새벽 2시께 인천시 계양구 계산동 한 길가에서 인터넷 채팅으로 알게 된 B씨(24여)의 금반지(시가 55만 원 상당)를 빼앗아 도망간 혐의를 받고 있다. 조사결과 A씨는 B씨와 술을 마시고서 모텔에 함께 투숙하려 했으나, B씨가 거절하자 홧김에 이 같은 짓을 저지른 것으로 드러났다. 김민기자 suein84@kyeonggi.com
16일 오전 8시 46분께 인천시 남구의 한 빌라 주차장에서 A씨(56여)와 신원불명의 50대 남성이 피를 흘린 채 쓰러져 있는 것을 주민 B씨가 발견해 경찰에 신고했다. B씨는 경찰에서 주차장에 남녀가 피를 흘린 채 쓰러져 있어 곧바로 119와 경찰에 신고했다고 말했다. 발견 당시 A씨는 피를 흘리며 누워 있었으며 50대 남성은 오른손에 흉기를 든 채 피를 흘리며 A씨 옆에 누워 있었다. A씨는 곧바로 인근 병원으로 옮겨졌지만 끝내 숨졌다. 50대 남성은 현재 중환자실에서 치료받고 있다. 경찰은 A씨가 이 남성과 몸싸움을 하다가 흉기에 찔려 숨진 것으로 보고 정확한 경위를 조사하고 있다. 신동민기자 sdm84@kyeonggi.com
사행성 불법 게임기를 제작하고 게임장을 운영한 업자가 잇따라 경찰에 적발됐다. 인천지방경찰청 생활질서계는 불법 게임기를 제작해 성인 오락실에 유통한 혐의(게임산업 진흥에 관한 법률 위반)로 게임제작자 A씨(35)와 유통업자 B씨(40) 등 2명을 구속했다고 15일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A씨 등은 해피퍼즐이라는 게임물관리위원회 등급 분류 받은 게임기의 내용을 임의로 개조해 일선 오락실에 공급한 혐의를 받고 있다. 조사결과 이들은 지난해 10월 말 연수구 옥련동 소재 모 게임장에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자동 실행되도록 개조된 게임기를 1대당 40만 원에 판매하는 등 최근까지 1천600만 원 상당의 부당이득을 챙긴 것으로 드러났다. 앞서 지난 10일 경찰은 연수구 선학동 소재 상가 지하 1층에 약 90㎡ 규모의 게임장을 차려놓고 바다이야기 게임기 40대를 이용해 불법 사행성 영업을 한 혐의로 C씨 등 3명을 불구속 입건했다. 또 7일 부평구 부평시장 주변 상가 2층 300㎡을 임대해 개변조된 게임기 70대를 운영한 혐의로 D씨 등 5명도 입건했다. D씨 등은 게임을 통해 획득한 점수를 표시한 점수표를 인근 환전소에서 10%를 공제하고 환전해 주는 방법으로 약 8천만 원의 부당이득을 챙긴 혐의다. 인천경찰청은 올해에만 불법 사행성 게임장 63건을 단속해 93명을 검거하고 이 중 3명을 구속했다. 경찰은 게임기 525대 및 현금 5천300만 원을 압수했다. 경찰 관계자는 인천아시안게임을 앞두고 불법 사행성 게임장 근절을 위해 지속적으로 단속할 방침이다고 말했다. 배인성기자 isb@kyeonggi.com
인천 계양경찰서는 15일 대형 전자제품 매장에 손님을 가장해 들어가 진열대에 보관 중인 노트북과 주변 부품을 훔친 혐의(절도)로 A씨(50)를 불구속 입건했다. 경찰에 따르면 A씨는 지난해 12월 28일 오후 8시30분께 인천시 계양구 한 대형 전자제품 매장에 손님을 가장해 들어가 종업원 B씨(27)의 감시가 소홀한 틈을 노려 노트북을 훔치는 등 지난 2월까지 모두 2차례에 걸쳐 120만 원 상당의 전자제품을 훔친 혐의를 받고 있다. 조사결과 A씨는 훔친 노트북을 직접 사용하고자 이 같은 짓을 저지른 것으로 드러났다. 경찰은 수도권 지역 대형 전자제품 매장을 토대로 같은 수법의 범죄가 있었는지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김민기자 suein84@kyeonggi.com
인천지법 형사14부(심담 부장판사)는 잠자는 동거남을 흉기로 찌른 혐의(살인미수)로 기소된 A씨(44여)에 대해 징역 3년에 집행유예 4년을 선고했다고 15일 밝혔다. 재판부는 피고인은 피해자가 잠든 것을 확인하고 흉기로 살해하려고 시도해 중대한 범행을 저질렀다면서도 잘못을 깊이 반성하고 있고 술을 마신 상태에서 우발적으로 범행한 것으로 보이는 점 등을 고려했다고 양형 이유를 밝혔다. A씨는 지난 1월 4일 오전 2시40분께 인천시 남동구 자신의 집 안방에서 여자관계, 금전 문제 등으로 말다툼을 벌인 뒤 잠이 든 동거남 B씨(39)의 목을 흉기로 한 차례 찔러 살해하려 한 혐의로 기소됐다. 이민우기자 lmw@kyeonggi.com
인천지역 초등학생의 전염병 감염률이 전국에서 가장 높아 전염병 예방교육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15일 교육부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초등학생 278만 3천997명 중 2만 5천212명이 수두 등 전염병 감염 의심 학생인 것으로 조사됐다. 전염병 감염 의심 학생 중 수두 감염이 1만 2천386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수족구병(4천970명)유행성 각결막염(2천510명)유행성 이하선염(2천179명)인플루엔자(1천817명)결핵(28명) 순이었다. 특히 인천지역은 초등학생 1천 명당 15.8명이 전염병 감염 의심 학생으로, 전국 평균(9.1명)을 크게 웃도는 것은 물론 전남(3.2명)서울(5.4명)경기(11.4명) 등 17개 시도 중 가장 높은 수치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지역 내 전염병 감염 의심 초중고교생 3천457명 가운데 초등학생이 차지하는 비율이 무려 72%(2천489명)에 달했다. 이처럼 지역 초등학생들이 수두 등 전염병에 노출된 것으로 나타나 위생보건 교육 등 예방교육이 시급히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신학용 국회의원(새정치민주연합계양갑)은 장시간 집단생활을 하는 학생들의 질병 관리 대책이 시급하다며 학생들에 대한 예방교육을 정례화하는 등 적극적이고 가시적인 조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시교육청 관계자는 학교와 가정에서 각종 전염병 예방 수칙을 지키고, 학생들이 평소에도 청결한 위생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지도하겠다고 말했다. 김민기자 suein84@kyeonggi.com